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포닥과 포닥지도교수 관계?

2025.08.21

6

121

박사과정 말년차인데 국내 내지는 해외에서 포닥을 할지 말지 고민 중입니다
포닥 펀딩 대주는 교수님이자 supervisor인 분을 포닥지도교수라기 보다는 PI라고 해야되려나요?
보통 기브 앤 테이크가 어떻게 되나요?
저는 연구를 하고 포닥지도교수님은 인건비랑 연구장비 지원해주는 대신 논문에 이름 올려주고 사사 표기해주기 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8.21

천차만별 같습니다.
공동연구자 컨셉도 있고
그냥 박사 때 하던 거 이어서
쭉 계산만 하는 사람도 있고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8.21

분야가 달라서 우리 분야는 펀딩 알아서 가저와야하는데 쓴이 분야는 펀딩 대줌?
포닥이 자기 과제하면서 pi는 디스커션해주고 논문쓰면 교신저자 주고 쓸 수 있는 인맥 있으면 써주는 게 pi 능력이고
대신 포닥은 자기가 하는 실험 학생들한테 가르쳐주고 교수가 본인이 해본 실험중 학생이 해야하는 실험이면 논의해서 시간 내서 알려주거나 하는 게 포닥이라서 학생들 디스커션도 그렇고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8.21

미국이면, 미국에서는 포닥도 박사과정 연장의 제자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독립적인 연구자가 되기 위한 마지막 관문이죠. 그래서 교수들도 고용한 연구원이 아닌 제자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월급(펀딩)을 직접 주시는 경우면 더더욱요. 지금 제가 그렇거든요.
인건비를 주신다는건 당연히 거기서 프로젝트를 맡으실건데, 사사 표기는 하셔야 하고 그 주제로 논문 쓰는겁니다.
그리고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 하셔도 되는데, 돈이 안드는거면 그냥 쓰시고, 대신 교수님을 라스트 저자로 넣어주시면 됩니다.
교신 표기는 분야by분야니 뭐.. 저는 제가 교신합니다. 라스트만 주면 되구요 교수님은.

그리고 물론 가서 미국의 포닥 대상의 프로젝트들 지원해서 직접 딸 수도 있구요. 그러면 더 에이스가 되는거죠.
참고로 혼자 연구해서 논문쓰고 단독저라로 출판하면 좀 교수가 싫어합니다. 물론 연구실 기자재를 전혀 쓰지 않았다면(시간, 공간 포함) 모르지만요.
교수님 이름은 꼭 넣어주세요. 사사도 주제가 비슷하면 넣구요..

결론은, 포닥 지도교수도 흔히 말하는 슈퍼바이저이고, 석사/박사 학위 지도교수랑 동일하게 CV에 넣으시면 됩니다.
사실상 Dr.가 붙는 연구구상 혼자해서 혼자 논문 쓸줄아는 박사과정 정도의 인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