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1저자+단독저자 vs 1저자(본인 1명)+2저자 1,2명

2025.07.01

14

1019

보통 실험을 도와주어도 2저자에 넣어주는게 보편적인가요?

나중에 기업이든 연구소든 1저자+단독저자를 더 잘 쳐줄까요 아니면 협업과 같은 부분에서 1저자 (본인 1명)+2저자 1,2명을 더 높게 쳐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7.01

뭔소린지 나만 이해안가나ㅋㅋ

대댓글 5개

2025.07.01

글 그대로임요 난독임? 어떤게 더 메리트 있는지 물어보는거잖음요

2025.07.01

글쓴이가 글 ㅈㄴ 못쓰는 저급한인간같은데? ㅇ난독이라니ㅋㅋㅋ

2025.07.01

제목부터 이상함.
앞에만 보면 논문 2개 말하는 줄 알았는데, 뒤에를 보면 2개를 얘기하는건 아닌 것 같고

그리고 글 내용도 이상함.

보통 실험을 도와주어도 2저자에 넣어주는게 보편적인가요?
: 보통+보편 굳이 2개 단어를 중복해서 쓸 이유가 있음?
실험만 도와줬는데 참여저자로 넣어주는게 일반적이냐? 를 묻는거 같으니까
'실험만 도와주어도 2저자에 넣어주는게 보편적인가요?' 라고 하시던지요...

나중에 기업이든 연구소든 1저자+단독저자를 더 잘 쳐줄까요 아니면 협업과 같은 부분에서 1저자 (본인 1명)+2저자 1,2명을 더 높게 쳐줄까요?
: 이걸 보니까 제목을 이해했음.
'1저자, 교신저자' vs. '1저자, 2저자, 2저자, 교신저자'

둘 다 똑같이 봄.
협업? 협업 능력을 굳이 논문으로만 증빙할 수 있나? 개인적 경험을 자기소개서 혹은 면접에서 어필 못 한다면 본인 잘못임.

2025.07.02

아니 작성자야 글을 남이 알아먹게 써야지ㅋㅋㅋㅋㅋ
지가 ㅂㅅ같이 써놓고 나보고 난독이라네
안봐도 사회생활 ㅈ박은 전형적인 MZ네ㅋㅋㅋ
박사따고 일하는데 요새 애들 뽑으면 너같은 MZ들이 많더라ㅋㅋ 지가 잘못한건 모르고 남탓이 패시브야ㅋㅋㅋ

2025.07.03

단독저자의 개념을 모르시는듯. 그리고 2저자와 공저자의 개념도 잘못쓰고 있고.
그리고 교신저자의 언급도 부재라, 글쓴이 글을 이해 못하는게 아니고 글쓴이가 물어본 정확한 비교대상을 이해못하는거임.

2025.07.02

무조건 1저자 보죠... 능지 딸리나

2025.07.02

나는 작성자가 글 이해되도록 적었다고 생각함. 질문 자체가 본인이 1저자일때, 유리한게 단독 1저자냐, 협업한 1저자냐 묻는 게 맥락상 뻔히 느껴져서 오해할 소지 자체가 없는데..

대댓글 1개

2025.07.02

지금 그게 문제가 아닌것 같네요.
그런 늬앙스겠거니하긴하지만 여러 사람들에게 정확하게 이해가 안되는건 사실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난독이냐고 묻는 인성이 문제라고 보네요.

2025.07.02

글을 애매하게 적긴했는데 작성자 인성은 쓰레기인거 맞는거 같음 ㅋㅋㅋㅋ

2025.07.02

보통 단독저자라함은 1저자이자 교신인 경우, 즉 진짜 이름 한명 드가는거 아닌가? 보통 포닥이상급이 혼자 쓸 때.
1저자, 교신저자 vs 1저자, 2저자, 교신저자 를 말하는거면 차이 없음..

2025.07.02

일단 ‘1저자+단독저자’가 어떤 경우인지 굉장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단독저자란 보통 1저자(=주저자) 한 명이 작성한 논문에 쓰는 표현입니다.

그런데 ‘+’ 뒤에 단독저자를 덧붙였으니 이상한 표현인 것이죠.

사실 비교를 원한 두번째 경우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2저자가 1, 2명이라니요.
2저자는 1명 밖에 존재할 수 없습니다.
그 다음은 3저자죠.
정확히 기술하려면 공저자 1, 2명이라고 했어야죠.

그 앞에 설명한 것으로 보아 단독저자 논문과 공저자 한두 명이 있는 주저자 논문을 비교해 달라는 것 같은데 그걸 저렇게 써놓고 읽는 사람이 알아서 찰떡같이 이해하라는 건 굉장히 무리한 요구입니다.

굳이 답하자면 ‘거의’ 차이 없습니다.

아주 간혹 교수 임용이나 재계약 평가할 때 단독저자가 유리한 경우가 있습니다만 대학원 초기에 쓴 논문은 이런 기관 및 하교가 정한 논문 유효기간 (보통 3-5년) 을 넘기게 마련입니다.

대댓글 2개

2025.07.02

아, 그리고 실험을 도운 사람을 공저자로 포함시키는 일은 보편적인 일을 넘어서 마땅히 그래야 하는 겁니다.

2025.07.03

글쓴놈이 논문에 대한 개념이 없으니 제목부터 못알아먹게 쓴걸로 보임. 저도 +가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겠고 2저자 1,2명도 무슨 소린지 모르겠음. 무슨소린지 모르겠다며 설명을 다시할 기회를 준건데 대뜸 난독이냐거리는거보고 지잘못도 모르는 mz라는걸 깨달음ㅋㅋ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