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연구실 인턴

2025.05.12

8

518

안녕하세요.

현재 스타트업에서 AI개발직으로 일하고 있는 학사 졸업생입니다.
올해부터 대학원(AI)을 입학하기로 마음을 먹었는데요.
취업을 위한 스펙(자격증, 대회 수상, 플젝 등)은 쌓아놨지만, 석사 진학과 관련해서는 사실상 학벌도 학점도 부족한 편이고 변변찮은 인맥도 없는 상태라 최근 고민이 많습니다.
내년 1학기 입학을 목표로 두고 있는데, 최소 ssh(특수대학원 X)까지는 들어가고 싶습니다.

1. 부족한 학벌(지방국립대)과 학점(3.7 정도, 전공 4점 초반대)인데 어떤 걸 가장 먼저 준비를 해야할까요? 일단 자소서와 연구계획서를 써놔야할까요?
2. 스펙 부족으로 인하여, 입학 1년을 미루고 내년엔 연구실 인턴을 1년 하고 나서 지원을 하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 이 외에 지나가시는 천사같으신 분께서 짧은 조언이라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5.12

근데 현업에 있다가 굳이 대학원을 가려는 이유는 뭔가요? (순수하게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5.12

저두 윗 댓과 궁금하네요,, 굳이 대학원을 왜 가나요 여기서는 다들 취업하려고 난리던데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5.12

저도 위에 분들이랑 대부분 동의하는데, 연구직을 하고 싶으신건가요? Ai 프로그래머가 아니라? 아니면 학위가지고 이직을 하고 싶으신건가요?

현업에 있으신 분이면 굳이 인턴을 해야하나 싶긴 한데요, 논문을 써본 경험이 없으면 현업에 있었다고 해도 크게 이득보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특히 기업에서 서비스 제공했던 경험들이 아카데미에서 바로 도움이 되는 연구분야가 좀 한정적일 것 같네요.

자격증이나 대회 경험들도 입시에 크게 영향을 못 미칠 것 같아요. (예전에는 ai 경험이 다들 없어서 의미가 있었는데, 지금은 논문 쓸 준비가 된채로 지원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

일단 어디든 작성자님의 경력이나 연구와 align이 잘 되는 곳에 컨택을 해봐야할 것 같은데요.. 솔직히 지금 입시 경쟁이 과열된 것 같아서 학벌이랑 학점도 부족한데 연구 경험도 없어서 쉽지 않을 것 같네요. 눈 많이 낮춰서 한국에서 대학원갈빠에 이직이나 취업 계속 있는게 낫지않을까 싶습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