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UNIST 교수 처우 공유

노래하는 버지니아 울프*

2025.02.23

14

9333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2.23

내용 감사합니다. 태뉴어관련해서 혹시 "카더라"인지, 아니면 거의 구체적으로 정해진건지 궁금하네요.
한국사회에서는 JCR 상위 몇퍼센트에 집착하는거 솔직히 이해가안되지만, 제가 정출연에 있을때도 저널인지도 무관 top5%인지 아닌지만 중요하게 봤습니다. 그 기준으로 보통 s급특허라고해서 미국특허 출판 지원여부도 갈리는느낌이였고요.
예를들면, 사어는 현재 8퍼가량입니다. 이경우 JCR 7%에 포함을 안시킬지, 혹은 JCR 7%혹은 저명한 저널들을 포함한지가 조금 궁금합니다.
우리나라가 유독 저널퀄보다 JCR 집착이 심한듯해서요.
또한 저는 카이스트에서만 있어왔는데, unist의 경우에도 학과장의 입김이 많이 셀까요? 우리는 태뉴어나 신임교수뽑을때 학과장의 입김이 많이세서, 학과장을 명예직으로 선호하는 교수들이 많고 마찬가지로 정교수즈음의 교수님들이 보직을 맡으셨던거로 기억해요.

대댓글 1개

노래하는 버지니아 울프작성자*

2025.02.23

테뉴어는 대략적으로 그렇다라고 밖에 말씀드릴 수 밖에 없습니다. 변수가 너무 많아요. 현 총장의 방향성(논문 중시, 국제협력, 연구비 중시 등), 그 테뉴어 심사 시기에 다른 학과 테뉴어 신청한 교수의 수준은 어떤지, 동일 학과에서 테뉴어 받았던 사례 등 고려할게 너무 많습니다. 그래서 지난번에 통과했던 논문 실적이랑 같아도 떨어지는 경우도 있고요. 반대인 경우도 있습니다.

JCR 부분은 그래도 여유있게 고려해주는 편입니다. 출판 당시 7% 이내 였거나, 테뉴어 심사 시에 저널 순위가 상향되어서 7% 안에 드는 경우 모두 인정해주고, 2년 IF 순위, 5년 IF 순위 중 하나라도 7% 이내면 마찬가지로 어느정도 인정해주고 있습니다.

학과장의 영향력은 다른 학교 대비해서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꼭 신임교원 임용 뿐만 아니라 다른 권한 들도 다른 학교에 비해 높은 편이다 보니, 정교수가 맡고 있습니다.

2025.02.23

저도 교수가 되고 싶어요

대댓글 2개

2025.02.23

이제 석박통합 시작하는 학생인데, 어떤 마인드로 대학원 생활을 하면 교수가 될 수 있을까요?
노래하는 버지니아 울프작성자*

2025.02.23

왜 교수가 되고 싶은지부터 생각해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2025.02.24

UNIST 현직입니다. 반갑습니다 ㅎㅎ

테뉴어 부분 도움이 될까하여 내용 추가합니다. 7년차에 떨어져도 기회 한 번 더주고, 7년차에 어려우면 2년 미루는것도 가능해서, 미루기 + 2번째 도전이면 11년차에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연구 실적 기준은 과마다 꽤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숫자는 일부 과에서는 거의 불가능). 그래서 본인 분야에서 잘한다는 기준을 생각을 해보시면 되고, 생각보다 너무 어렵진 않지만 그렇다고 널럴하지도 않습니다ㅎㅎ 질 높은 연구 꾸준히 열심히하면 다들 달성하시는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노래하는 버지니아 울프작성자*

2025.02.24

중요한 정보 추가 감사합니다. 저기 있는 테뉴어 논문실적은 하한에 가깝다고 보면 될 듯 합니다.
논문 많이 나오는 화공은 이 실적으로는 어렵죠.
말씀해주신 대로 내 분야에서 괜찮게 한다(SKP 비슷한 연차 교수들과 비교해서)가 정확한 기준인듯하네요.

2025.02.24

정부용역 과제책임자 약 370만원/월 잡을 수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요? 정부과제는 연구수당 외에 교수가 가져가는게 없는 줄 알았는데

대댓글 1개

노래하는 버지니아 울프작성자*

2025.02.24

정부과제와 다른 학술용역이 있습니다.

2025.02.24

안녕하세요? csai분야도 저널을 써야하나요? 아니면 탑컨퍼런스를 jcr %랑 매핑시켜주는 등의 제도가 있나요? 예를 들어 bk if4점은 jcr 상위 10% 등..

2025.02.24

cs 및 ai 분야는 학회 위주입니다. 정보과학회에서 관리하는 우수학술대회 목록을 위주로 학과 기준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규정 자체는 비교적 단순합니다. 해당 연구 분야 커뮤너티에서 인정받는 분에게 테녀를 주는 방향성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5.02.24

전 UNIST 하고 상관은 없지만, 사실관계가 비슷해보이는 것도 있고 좀 어설프게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이 섞여 있는 것 같은데 부교수님 맞으신지요?
위 정보가 맞고 부교수님 맞으시다면 대학 포함, 모든 회사 조직 포함해서 특히 학과 내부 규정 등은 대외비 사항이라 계약 위반이고 제재나 소송 조심하셔야 하실 것 같습니다.

2025.03.06

부교수로 신규 임용되어서 테뉴어까지 최대 11년 미룰 수 있나요?

대댓글 1개

2025.03.06

아 그리고, 다른 대학에서 이직하면 다른 대학에서 부교수 실적도 테뉴어 심사 실적에 포함되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