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현직 교수입니다. 교수 처우에 대해서 한 번 게시판 논의가 지나가긴 했지만, 정보 공유차 조건을 공유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1. 연봉 및 수입 - 조교수: 대략 9,000 - 10,000 만원 사이 - 부교수: 대략 12,000 - 14,000 만원 사이 - 정교수: 대략 15,000 - 20,000 만원 사이 (학과장 등 보직에 따라서 수당 차이 크게 남, 타 학교와 다르게 UNIST는 학과장 순번제 아니고 정교수만 가능)
- 연구과제 수주에 따라서, 간접비 수입액의 일부를 돌려줌 (재작년 연구비 수주액이 약 10억이었는데, 작년에 1,000-1,500 정도) - 연구과제 연구수당: 이건 본인 하기 나름 (학생 많이 뽑아서, 학생 인건비 많이 주면 연구수당도 증가) - 산학과제 인건비: 본인이 하기 나름. 여기에서 교수들간 연봉 차이 엄청 벌어짐 - 정부용역: 과제책임자 약 370만원/월 잡을 수 있음. 역시 하기 나름 - 외부자문 및 수당 등: 적당히 기업 자문 잡으면 1건에 500-1,000씩 받기도 하고 (더 받으시는 분들도 있는데, 역시나 능력에 따라), 일일 회의 참석 수당은 보통 30-50
- 본인(부교수) 작년 수입 구조: 연봉 12,000 만원 (근로소득) + 약 10,000 만원 (기타소득) = 약 22,000 만원 (산학과제가 없다보니 상대적으로 수입이 적음), 기타소득은 필요경비를 제외하고 세금을 매기다 보니, 실제 체감 연봉은 근로소득 22,000 만원 보다 높은 듯
2. 수업 - 의무 시수는 1년 6학점 (2과목) - 그러나, 소수학과의 경우 1년 6학점만 강의해서는 학과 유지가 어려워서, 9-12학점까지 강의하기도 함
3. 테뉴어 조건 - 테뉴어 신청은 만 7년차가 되는 직전 학기에 (임용 후 6년 반이 지난 이후) 서류 준비해서 제출 - 명시적 기준은 없으나, 경험상 아래 정도면 비벼볼 수 있는 정도 가능 - 논문: JCR 상위 7% 이내 저널에 교신저자로 10편 이상 포함 총 교신저자 논문 20편 이상 (지도학생 논문 반드시 있어야 함, 간혹 외부 연구자들하고만 논문 쓰시는 분들이 계셔서) - 추천서: 외국인 4명 (유명 대학 정교수) + 국내 외부 대학 4명 (가능하면 설/포/카 정교수) + 교내 2명 (지도교수는 안됨) - 연구과제: 최소 기준은 없으나, 그래도 사람 구실 했다고 할 정도는 있어야할 듯 (못해도 연 평균 3억은 과책으로 해야하지 않을까) - 교육: 시수 펑크 안내고, 강의평점 적당히 받으면 문제 없음 (테뉴어 받고 열심히 강의 안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조교수/부교수로 강의 조금 준비하면 강의평가 적당히 받는건 어렵지 않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2.23
내용 감사합니다. 태뉴어관련해서 혹시 "카더라"인지, 아니면 거의 구체적으로 정해진건지 궁금하네요. 한국사회에서는 JCR 상위 몇퍼센트에 집착하는거 솔직히 이해가안되지만, 제가 정출연에 있을때도 저널인지도 무관 top5%인지 아닌지만 중요하게 봤습니다. 그 기준으로 보통 s급특허라고해서 미국특허 출판 지원여부도 갈리는느낌이였고요. 예를들면, 사어는 현재 8퍼가량입니다. 이경우 JCR 7%에 포함을 안시킬지, 혹은 JCR 7%혹은 저명한 저널들을 포함한지가 조금 궁금합니다. 우리나라가 유독 저널퀄보다 JCR 집착이 심한듯해서요. 또한 저는 카이스트에서만 있어왔는데, unist의 경우에도 학과장의 입김이 많이 셀까요? 우리는 태뉴어나 신임교수뽑을때 학과장의 입김이 많이세서, 학과장을 명예직으로 선호하는 교수들이 많고 마찬가지로 정교수즈음의 교수님들이 보직을 맡으셨던거로 기억해요.
테뉴어 부분 도움이 될까하여 내용 추가합니다. 7년차에 떨어져도 기회 한 번 더주고, 7년차에 어려우면 2년 미루는것도 가능해서, 미루기 + 2번째 도전이면 11년차에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연구 실적 기준은 과마다 꽤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숫자는 일부 과에서는 거의 불가능). 그래서 본인 분야에서 잘한다는 기준을 생각을 해보시면 되고, 생각보다 너무 어렵진 않지만 그렇다고 널럴하지도 않습니다ㅎㅎ 질 높은 연구 꾸준히 열심히하면 다들 달성하시는 것 같습니다.
2025.02.23
대댓글 1개
2025.02.23
대댓글 2개
2025.02.24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