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UNIST 교수 처우 공유

노래하는 버지니아 울프*

2025.02.23

14

8032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2.23

내용 감사합니다. 태뉴어관련해서 혹시 "카더라"인지, 아니면 거의 구체적으로 정해진건지 궁금하네요.
한국사회에서는 JCR 상위 몇퍼센트에 집착하는거 솔직히 이해가안되지만, 제가 정출연에 있을때도 저널인지도 무관 top5%인지 아닌지만 중요하게 봤습니다. 그 기준으로 보통 s급특허라고해서 미국특허 출판 지원여부도 갈리는느낌이였고요.
예를들면, 사어는 현재 8퍼가량입니다. 이경우 JCR 7%에 포함을 안시킬지, 혹은 JCR 7%혹은 저명한 저널들을 포함한지가 조금 궁금합니다.
우리나라가 유독 저널퀄보다 JCR 집착이 심한듯해서요.
또한 저는 카이스트에서만 있어왔는데, unist의 경우에도 학과장의 입김이 많이 셀까요? 우리는 태뉴어나 신임교수뽑을때 학과장의 입김이 많이세서, 학과장을 명예직으로 선호하는 교수들이 많고 마찬가지로 정교수즈음의 교수님들이 보직을 맡으셨던거로 기억해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23

저도 교수가 되고 싶어요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24

UNIST 현직입니다. 반갑습니다 ㅎㅎ

테뉴어 부분 도움이 될까하여 내용 추가합니다. 7년차에 떨어져도 기회 한 번 더주고, 7년차에 어려우면 2년 미루는것도 가능해서, 미루기 + 2번째 도전이면 11년차에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연구 실적 기준은 과마다 꽤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숫자는 일부 과에서는 거의 불가능). 그래서 본인 분야에서 잘한다는 기준을 생각을 해보시면 되고, 생각보다 너무 어렵진 않지만 그렇다고 널럴하지도 않습니다ㅎㅎ 질 높은 연구 꾸준히 열심히하면 다들 달성하시는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