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삼전의 몰락은 한국 사회와 교육의 한계지

2024.10.22

32

10759

갤럭시 휴대폰 화소수 ddr

엑시노스도 숫자 ddr만 치고 개구림

대학 연구도 각종 논문 정량적 순위, 숫자에 매몰



이걸 삼전 윗대가리 몇명의 문제라고 생각하는게 웃기다

한국 사회의 위계질서 , 돈과 실적만 쫓는 제조업식 사람갈아넣기 조직문화

현상과 학문 그 자체를 추구하는게 아닌 정형화된 문제풀이 위주의 교육.



지금 젊은세대의 역량이 떨어지는 문제도 아니다.

과거의 연구나 혁신이 좀 더 쉬웠을 뿐이지. 라뗴는 일본이겼는데 왜 너네는 못하냐

이런소리는 전형적인 X소리다. 현재의 경쟁이 훨씬 더 어렵다.

ai분야는 세계 초천재들과 경쟁하는거다



한국이 세계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꽤 잘하는건 맞다. 중요한건

한국이 선진국이라는거고 미국,일본,유럽보다 못하면 못하는거라는거임

그래도 제조업 fast following, 사람갈아서 정교하게 제품만드는건 한국이 잘하는거같다

과연 한국이 못했던걸(소프트웨어,기초연구) 잘하게 할 수있을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2개

2024.10.22

AI는 미국 중국 따라가기 바쁠 것 같음. 따라가기만 해도 감지덕지. 점점 격차는 더 커질거라.

2024.10.23

젊은세대 역량 떨어지는것도 맞음. 특히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과거 열악한 환경에서도 탑저널에 논문쓰던 독보적인 기성세대 교수들이 있었는데, 지금처럼 좋은 환경에서는 그런 사람들이 쏟아져나와야 하는데 과거보다 조금 더 많을뿐임. 말씀하신대로 한국의 정량적이고 숫자를 추종하는 문화와 관련이 깊다고 생각함. 오랫동안 더 깊게 파고들면 큰 연구가 될 연구거리들을 실적을 만드려고 적당한 선에서 끊다보니 논문 수는 채워지지만 정말 훌륭한 양질의 논문은 예상만큼 잘 안 나옴.
내가 해외에서 포닥하면서 대가 랩에서 구르면서 차이를 느낀게, 국내에 있는 연구 잘한다는 연구자들은 (물론 극소수 분들은 안 이렇겠지만) 정말 좋은연구 될만한 것들을 적당한 선에서 만족하고 논문내는데 급급하다는 부분이었음

대댓글 2개

2024.10.23

한국 연구자들의 성과는 좋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걱정은 지금이 피크가 아닐까 하느냐는 것이죠. 지금 잘나가는 중진 교수들은 이공계 위기가 시작되기 전에 대학 입학한 사람들이었고, 인력과 R&D 투자의 합이 이전 세대들보다 좋았다고 보여집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두고봐야 합니다.

2024.10.24

네, 연구성과 좋아지고 있는것 맞습니다. 근데 정말 fundamental하게 중요한 연구를 하는 분들은 거의 없습니다. 한국이 산업계에서 fast follower 전략을 내세워서 성공했던 것처럼, 학계에서도 해외에 있는 대가들의 연구를 빠르게 fast follow해서 좋은 연구를 선점하고 있죠. 물론 그게 좋은 연구라는 것임에는 이견이 없지만, 그 분야의 핵심이 되는 독창적인 연구라고 하기에는 많이 부족하죠. 오히려 연세드신 중진 교수들이 과거에는 간혹 독창적인 정말 좋은 연구를 했습니다만, 요새 잘하는 젊은 교수들은 다들 fast follower에요.
옆나라 일본의 경우에는 주류와는 먼 연구들도 많이 하고 그래서 학문적 갈라파고스라는 욕을 먹기는 하지만, 해외의 연구들을 fast follow하는 분위기는 덜하고 연구의 중요도를 떠나서 독창적인 연구를 많이 하고 있죠. 그러다가 그 연구가 주류가 되면 그 분야의 대가가 탄생하게 되는거고요. 일본은 극단적인 사례이기는 하고 이렇게 되어야할 필요는 없지만, 배워야할 부분은 분명히 있습니다.

2024.10.23

미국이 패권국인데 한계가 뚜렷함
미국이 덜 탐내는 걸 (제조, hbm) 빨리 캐치해서 1위 하는게 현명할 지도

대댓글 1개

2024.10.23

메모리가 그랬죠.

2024.10.23

국내 대기업 생활을 하며 6년간 느껴봤는데
나는 오히려 우리 아버지 세대와 우리 중간 세대에서 의식의 큰 변화가 있었다고 봄
회사에 온 지 석사+박사 할 정도의 시간을 지내며 여러 사람들을 만나보니 진정한 의미의 기술자들이 사라지고 있는 풍토임
옛날에 아버지 세대의 사람 중 나는 "풍차에 대해 잘 알아요"라는 말을 말그대로 A to Z를 잘 압니다.의 의미였다고 한다면 지금 우리 사회에 컨센서스는 "풍차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을 압니다"로 바뀌어서 떠넘기기 식의 하청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봄
이게 무언가에 대한 깊은 이해를 못하게 산업의 근본부터 뒤 흔들고 있음.
추가로 반상문화의 고착화도 문제임.
얼마 전 블라인드에서 삼전에 대한 업무 방식의 고찰에 대한 글로 보고 문건 (장표)를 만드는데 상사의 입맛에 맞추기 위해 글을 엄청 고치는게 정도를 지나쳤다는 글이 나오기도 했는데, 대기업들은 그야말로 장표의 천국임.
장표를 잘 만드는 사람이 어떠한 부서인지 막론하고 참된 인재인 상황. 연구조직에서의 연구기량은 죄다 외주업체에 맡겨버리고 이상한 곳에만 매진하니 우리나라의 밑천이 드러나는 중이라 봄.
단순히 젊은 세대들의 기량 약화가 문제가 아니고 어느 순간부터 찾아온 기형적 착취구조가 우리 삶에 드러나기 시작한거임

2024.10.23

글쎄요, 글쓴이의 주장에 많은 부분 공감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삼성도 one of them이어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성공한 회사는 몰락의 길을 걷습니다. 노키아, 인텔, GE가 교육이 문제여서 망했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요새 나이키가 힘든데 정말 격세지감입니다. (그 나이키도 MJ가 NBA 선수가 갓 되었을 당시에는 1등이 아니긴 했지만요.) 그래서 창업보다 수성이 더 어렵다고 하지요.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요새 삼성이 힘든 대신 하이닉스가 치고 올라왔고, 또 다른 기업들이 클 수도 있겠지요. 얼마 전까지 애플, 지금은 엔비디아가 잘나가지만, 나중가면 또 모르죠. 애플만 해도 AI가 뜨니 뒤쳐졌다는 평을 듣지 않습니까.

대댓글 1개

2024.10.23

GE는 에너지, 에어로스페이스, 헬스케어로 분사이후 되살아나는 중.

2024.10.23

철학의 부재가 만악의 근원이라고 봄
그 빈자리를 물질만능주의가 채워넣고 있으니 어디에 쓸지도 모르는 돈을 그냥 추구하기만 함

2024.10.23

결국 지 자식들 덜떨어졌다고 말하는 꼴이고 그렇게 키워놓고 뒷담화 하는거니 닥치고 반성이나 해라.

2024.10.23

한국의 사회와 교육의 한계라면 왜 하이닉스는 잘 나갈까요? 하이닉스는 다른 나라 이야기인가요?
삼성의 위기를 삼성 내부가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찾는다는것은 또다른 저의가 있는게 아닌가 싶네요..ㅎㅎ

대댓글 4개

2024.10.23

하닉이 유럽 미국과 경쟁한거임? 삼성이랑 경쟁에서 이긴거뿐이구만 . 그래서 한국이 ai 경쟁에서 미국이겼음? 배터리 OLED 메모리 전부 중국이 추격중이구만

2024.10.24

애초에 AI 경쟁할 수가 없음
한국이 미국보다 AI 잘하면 미국이 위협 느끼고 가만히 안 둠

2024.10.25

삼성이 메모리에서 30년간 세계1위였는데 하닉이 삼성 이기면 세계1위인거지 미국 유럽 메모리 업체들 마이크론 제외하고 나가떨어진지가 언젠데. HBM으로 AI 메모리쪽은 우리나라가 꽉 잡고있으니 오바떨지마라

2024.10.28

글의 전체적인 논조는 알겠고 동의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게 삼성의 부진과는 관련이 큰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당장 HBM 을 포함한 메모리 시장 점유율만 검색해보셔도 반례는 스스로 찾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글쓴이 분께서 하고싶은 말을 정해놓고 삼성을 가져다 붙인 형태인데, 그렇게 치면 어떠한 주장이라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AI나 기초연구 하시는 대학원생 같으신데, 아무쪼록 하시는 연구 잘 풀리시길 바라며, 답답하실땐 캠퍼스라도 뛰고 오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024.10.24

하이닉스는 어느 나라 기업?

2024.10.24

능력도 없는 딸피들이 자리차지하고 눌러앉은 결과지 뭘 ㅋㅋㅋ

2024.10.24

너무 단순한 해석이라고 봄. 애플은 미국 기업중에 기업문화 수직적인걸로 유명함. 그래서 메타, 구글, MS 같은데 가면 애플 출신 널렸음. 오래 일하기 힘든 회사임. 그렇게 빡시게 몰아쳐도 애플 성과는 좋음. 애플 문화가 창의적이어서 ?? 10년이나 된 얘기지만 이미 창의성에서 멀어진지 오래임 애플은. 난 경영과 전략에 있다고 봄. 내가 일하는 카메라 모듈 산업을 보면 오직 애플만 자기가 디자인함. 다른 폰회사들은 카메라 모듈회사가 디자인함. 그래서 애플은 특허를 자기가 보유함. 계약도 불공정하게 맺어서 카메라 회사는 특하권 주장 못하고 공정 데이터도 다 애플에서 가져감. 이런게 전략임. 노키아가 세계 최고기업이라고 불릴때도 노키아는 이렇게 하지 않았음. 난 삼성의 문제가 한국의 문제라고 보지 않음. 모든 임직원이 창의적일 필요는 없음. 모두 창의적이기만 하면 실제로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해야하는 노가다성 없무는(물론 단순무식하면 해결못하지만) 누가함 ??

대댓글 8개

2024.10.24

창의성도 결국 공부 빡시게 한 애들이 창의적이게 되는거. 창의성이 어디서 완전히 새로운걸 가져오는거라고 착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무에서 유가 생길리가 없음. 뉴튼이 말했듯이 우리 모드는 거인의 어깨위에서 쬐금 더 나가는거임. 그게 우리가 말하는 창의성이라는 거고.

2024.10.24

창의성도 결국 공부 빡시게 한 애들이 창의적이게 되는거 -> 이렇게 말하는 애들중에 창의적인 애들 한명도 못봄 . 대충 견적이 보인다

2024.10.24

창의성이라는 것도, 아는게 많아야 발휘가 되는거죠. 아는게 많다=넓게 빡공을 한다.

2024.10.24

잘 받아들인다고 새로운걸 제시할 수있는건 아니죠. 그게 한국학생들의 최약점 이고요. 어떻게 공부하느냐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직관력과 상상력이 뛰어나야 하죠. 공부 빡시게하면 창의적이다. 이런 주장은 정말 터무니 없습니다.

2024.10.24

글쎄요.
저한테는 공부 빡공한다 -> 아는 것에 대한 범위가 넓어진다 -> 학문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융합 혹은 신규 아이디어가 차오른다 -> 창의성이 활성화된다라는 Flow의 시작점을 빡공이라고 보고 있고. 단순히 빡공하면 창의력이 활성화된다라는 1차원적 인과관계를 말하는게 아니라서요.

2024.10.25

글쓴이 논리에 따르면 요즘 LLM은 최고로 창의적이겠네요

2024.10.26

논리를 이해못하셨네요. 힘내세요.

2024.10.27

원글의 방향이 원래도 뚜렸하지는 않아서, 전 그중에 창의성 이슈를 얘기한 거 뿐이죠. 여러분이 아무리 공감못해도 창의성은 공부 많이 한 사람에게서 나오는게 맞습니다. 물론 여러분들이 공부한 방식 말구요. 성공을 위해서 억지로 공부하는게 빡공이라고 생각하시죠 ? 창의적인 사람들은 공부를 즐겨요. 게임처럼. 그러면 효율성이 엄청나게 차이나죠. 감정과 기억이 밀접하거든요. 기억력이 뭐가 중요하냐구요 ? 어짜피 논문보면 다나오는데 ? 재료 없이 뭘 만들수 있다고 정말 믿으세요 ???

2024.10.24

교수님들이 Fundamental한 연구 소중한 걸 모르겠습니까 설마. 깊은 연구에는 자본과 시간이 요구되는데, Fundamental한 연구로는 연구과제를 딸 수가 없죠. 학생들한테 인건비 없이, "우리 돈 없지만 깊은 연구해보자"라고 하면 대학원 진학을 할까요?

대댓글 2개

2024.10.24

나는 그게 문제라고 생각함 . Fundamental 한 연구를 해보자고 해서 하는거 자체가 문제임. 내적 동기와 호기심에 이끌려서 하는게 아니라 " 이제 우리도 큰 주제 한번 도전해보자 " 이래서 하는게 과연 결과를 낼 수있을까? 궁금

2024.10.24

저는 잘 모르겠네요. 저한테는 ~연구를 해보자는 게 호기심과 내적 동기라서요. 저한테는 상동입니다.

2024.10.25

우리가 너무 1등 주의에 빠져있음. 반도체 생산국 전세계 얼마없음. 유럽에 반도체 생산국없음. 미국 아니면 대만 이정도임. 반도체 장비 회사들은 네덜란드, 일본 몇몇있긴하지. 반도체 장비가 반도체를 만들어야 의미가 있지. 지금 고전하고 있지만 이런 주목받는것 다른나라에서는 생각도 못함. 이탈리아,프랑스, 영국등등 첨단 기술회사 그렇게 많지않음. 이렇게 얘기하면 강소 회사 있다고 하지말고. TSMC 처럼 주문회사랑 경쟁하지 말아야함. 반도체 특성상 미국이 가지고 있는 패권 우리가 가질거야 하는 순간 중국처럼 두들겨맞음. 그냥 미국 아래에 줄서는것이 나을수 있음. 지금와서 주입식교육바꿔서 창의적인 인재 양성한다고 미국 수준의 기술을 뛰어넘는다 이런거 불가능함. 미국에서 행하고 있는 첨단기술은 교육뿐아니라 이민정책 기술우선주의 등 그 나라 문화가 만든거임. 노벨상 하나 없는 나라가 어떻게 지금 사회문화를 바꿔서 신기술을 만들어. 불가능하고 tsmc처럼 미국에 납작엎드리는 것이 좋은 전략임. 미국을 지원사격해주고 쓸데없이 경쟁하지말고.

2024.10.25

한국대학 깔때는 언제고… 삼성이 대학 만든다며? 지그들이 못할땐 남탓 ㅋ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