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석사 나 다박 가능할까요

2025.05.26

18

2398

저는 현재 YK에서 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현재 공익 근무중입니다

지원 시점은 복무 끝나고 초과학기도 해야해서
트럼프 내려가면 그때 할거 같습니다

저는 Neuroscience, Neuroengineering BCI 연구에 굉장히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동물실험을 좋아하는 편인데 국내에는 이런 연구를 하는 곳이 많지 않고 더 나아가 임상도 하고싶은데 더더욱 없어서
유학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제 CV를 간단하게 나열하면
GPA: 3.2/4.0
토플: 95 ( 올릴 생각 있음)
기타 외국어: JLPT N2

학점이 좀 낮은 이유는 아무랴도 공대 X 공대 복수전공이라….
많이 힘들었습니다

연구실 경험:
A연구실 12개월 - 제 연구 주제로 공모전 당선되어 연구비 지원 받고 개인 연구 진행

B연구실 6개월 - 신생랩이어서 랩장으로 연구실 전체세팅 했고, 연구 방향도 잡았습니다 리뷰논문이 나왔습니다

학회경험
A 국제 학회 초록제출 및 포스터 발표 1회
B 국제 학회 초록제출 및 구두 발표 1회
- 이거 관련하여 수상을 하였습니다
B 국제 학회 메이커톤 대회 수상
국내학회 초록제출 및 포스터 발표 1회


논문
Review Paper SCIE (IF 5.0)
갑자기 랩실을 나가게 되어서 2저자로 강등 되었습니다


그외
국내 대회에서 뇌질환, 뇌공학 부문 대회에서 수상이력
국제 학회 서울 학생 지부 집행위원장
학과 학생회 차장

등등이 있습니다

다박을 제일 원하긴 합니다
지원하게 되면 랭킹이 낮은 학교를 주로 지원하고
15~20개정도로 지원하고자 합니다
Top 50~120정도

랭킹이 낮다고 합격하는것도 아니고 높다고 떨어지는것도 아닌걸 알아서 고민이 많습니다

미국 석사를 랭킹이 낮은 학교애서 하고 박사를 탑티어를 노리는것도 생각을 해봤는데
RA를 얻기도 힘들고 학비가 많이 비싸다고 들어서 고민입니다

다박을 지원해보는게 좋을지
석사를 써보는게 좋을지 고민됩니다

또 추천인이 가장큰 문제인데
A 연구실 교수님, 박사님, MD 총 3명
B 연구실 교수님 1명

이렇게 4분이십니다
15~20개를 지원하는데
학교당 3개의 추천서를 원하니
추천인들의 부담이 클것 같아 죄송스러운 마음도 큽니다

초과학기라 1년을 더해야하는데
그 사이에 연구실에서 인턴을 하면서 추천인들 더 늘리는게 나을까요?


질문 정리
1. 다박 가능성
2. 석사, 다박 고민중
3. 추천인을 위해 추가 학부인턴 필요할지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5.26

복전이라고 학점이 낮은건 정당화되지 않습니다. 학점을 먼저 최대한 끌어올리시는게 좋아보여요. 트럼프 퇴임 후에도 그동안 못뽑힌 인원들이 지원할거라 이후에도 여전히 빡셀겁니다.

2025.05.26

1년 1억 학비 감당 가능하면 미국 석사 이후 박사가 가장 아웃풋이 좋긴 하죠. 석사는 어드미션 기준이 다박보다 훨씬 여유롭기도 하고요.

대댓글 1개

2025.05.26

캐나다 석사후에 미국 탑티어 박사 노려보는건 어떻게 생각하세요??

2025.05.26

Hell no

2025.05.26

캐나다 석사도 1억들어요 캐나다가 미국보다 결코 안쌉니다...

대댓글 1개

2025.05.26

캐나다 석사는 미국 석사보다 펀딩이 잘되어있다고 알고 있어서요
학비도 미국보다는 저렴하구욘

2025.05.26

캐나다의 누구나 명문대로 아는 그 소수의 대학 빼고는 미국의 50위 언저리의 영향력 (추천서 등등)을 가질텐데 그럼 미국 50위 언저리 규모가 충분히 큰 주립대에서 열심히하면 RA따기 캐나다만큼 쉽습니다.

대댓글 3개

2025.05.27

토론토 대학 같은 캐나다 대학은 석사 지원시 직전 60학점 성적만 반영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러면 제가 1,2학년때 좀 말아먹은거라
3.8/4.0 정도가 나오는데 탑스쿨이나 펀딩이 조금 수월하게 가능할까요??

2025.05.27

학점은 더이상 안중요해요. RA는 랩을 컨택하고 그 교수를 설득하는 거에 가깝습니다. 순위가 낮은 대학은 가보면 알겠지만 연구하려는 학생이 적고 석사학생은 불성실해서 글쓴이가 열심히 한다면 기회가 많은거에요.
토론토 대학은 좋은 학교입니다. 안가봐서 잘은 모르지만 그 수준 학교면 ra 경쟁이 있을거라 믿어지고, 지금의 글쓴이 접근법으로는 몇학기동안 못 얻을 가능성 있습니다.

2025.05.27

학점은 탑스쿨의 미니멈을 맞추기 위한 숫자인것이고
RA와 펀딩을 위해서는 다른 정성적인것들이 필요한것이군요
연구경험을 바탕으로 한 열정이라던가 비전이라던가 이런것들을 교수님과 이야기하며 설득하고 제가 그 모습을 보여주면 확률이 올라가겠군요
감사합니다

2025.05.27

연구경험이랑 성과 충분하니 다이렉트박사 지원하세요. 석사했다가 석사때 성과못내면 오히려 손해입니다. 스펙에 비해 너무 본인을 평가절하 하는거 같은데 탑스쿨에서 top 50까지 지원해보세요. 첫댓처럼 시기가 안좋을수도 있겠지만 어차피 미박입시는 운입니다. 추천서는 웬만하면 1년인턴하면서 교수님한테 받으세요.

대댓글 1개

2025.05.28

다박을 도전해볼만한 가치는 있다는 말씀이시죠?
정답이 딱딱 나오는게 아니니까 더 힘든거같네요
제 수준이 어느정도인지도 모르겠고
감사합니다

2025.05.27

요즘 현실적으로 미국 석사 RA펀딩 따긴 하늘에 별입니다. 석사면 그냥 학비 낸다고 생각하세요.

2025.05.28

캐나다에는 학교수, 연구 인프라가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오히려 다이렉트 합격률은 미국이 높을 수 있습니다.
캐나다 경우 펀딩을 석사도 주는데, 인터내셔널의 경우 교수님이 감당해야하는 등록금 비율이 높아서 phd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025.05.28

그냥 박사로 지원해보세요. 굳이 석사로 지원할 이유는 없을듯 합니다. 만약에 학교에서 석사로 받아야겠다 싶으면 박사로 지원해도 석사로 오퍼 나올겁니다. 요는 굳이 돈 내야하는 석사로 지원할 필요 없다는 겁니다.

다들 지금이 더 어려울 거다 하시는데 풀펀딩 미박합격은 언제나 쉽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스펙 올리셔서 평가 받으려고 하셔도 결국 합격은 타겟 랩실에서 하는 연구와 자기 분야가 일치하는지 교수가 판단해서 할 일이라서,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하는 랩실을 먼저 찾는게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제가 경험한 입시를 보면 대학들이 Holistic assessment를 하기 때문에 경쟁률이 심한 경우에는 다른 지원자들과 비교해서 부족한 부분이 있는지 있다면 지원자의 다른 장점이 부족한 부분을 매꿔줄 수 있는지를 봅니다. 결국은 정량적인 기준만 넘는다면 결국 상대평가라서 운도 어느정도는 따라줘야 하는 것이구요. 그런 관점에서 봤을때 학점이 낮은 부분은 논문으로 어느정도는 커버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국제 학회 발표 실적이나 이런 부분들도 생각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우도 있구요.

아무튼 그냥 박사로 바로 지원해보세요. 굳이 돌아갈 이유 없어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5.29

해답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박 도전해보고 안되면 국내 석사하고 다시 도전해보죠 뭐
속이 좀 뚫리는 기분이네요

2025.05.29

그냥 박사로 지원해보세요, 충분히 가능합니다.
20-70위권 추천 드립니다. 많이 쓰세요.
학점은 고고익선이긴한데 연구가 많이 되어 있으셔서 커버 가능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5.29

감사합니다 도전해보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