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강화학습 독학을 하는중인데 제가 노트북밖에 없는데 노트북이 별로 좋지않아서 약간의 렉도 걸리고 해서 찾아보니까 원격pc서비스라는게 있더라고요 혹시 이런 서비스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원격pc임대 서비스해서 찾아보니까 다 윈도우만 깔려있던데 강화학습을 원격pc임대 서비스로 해보신분 계신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09.26
학교 서버 쓰세여 gpu 서버 아무리 가벼운거 써도 시간당 피씨방보다 비싸요
대댓글 4개
2024.09.26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학교서버 쓴다는게 정확히 어떤말이죠? 원격pc임대 보니까 달에 최소3만원정도면 적당한 사양으로 쓸수있는거 같던데
2024.09.26
학교 서버를 쓰라는 말이 내 컴퓨터에서 작업을하지말고 학교에있는 워크스테이션에 작업을 보내라는 말인데요. 쉽게 말해서 높은 하드웨어 성능을 빌려서 쓰라는거죠. 원격 pc 임대랑 같은 맥락입니다 하드웨어를 어디서 빌려쓰냐의 차이이지. 그리고 딥러닝을 하시려면 gpu 성능이 중요한데 그래픽카드는 소모품이라 원격으로 하드웨어 빌려서 쓸 때 gpu 는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추가됩니다. 그래서 딥러닝을 제대로 하고 싶으면 데이터도 많이 다뤄야되고 학습속도 개선을 위해 gpu 사용량이 많아질텐데 그럼 3만원으로는 택도없습니다. 공부할때는 그정도로 작업량이 많지않을 확률이 높으니 colab 을 사용해보시는것도 하나의 옵션이 될 수 있을 것 같고 작업량이 좀 많아지면 데스크탑 따로 하나 구매하시던가 연구실에 소속돼있으시고 연구실에 고사양 컴퓨터에 작업을 보내서 이용하는 방식을 추천드립니다.
2024.09.26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학부생이어서 실험실 들어가기전에 노트북으로 Isaac gym 이라는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는데 노트북의 팬의 소리가 너무 시끄러워서 데스크탑도 없고 하니까 원격pc로 하면 괜찮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글을 써봤습니다
2024.09.26
코랩을 쓰든 aws 서버를 쓰든 학교서버를 쓰든 다 결국엔 원격 PC 이용하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딥러닝은 gpu사용량이 많고 가격이 비싼 소모품이기 때문에 그런 서비스들 이용할 때 이용량이 늘어나면 청구되는 금액이 매우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높은 수준의 연구나 작업을 하고 싶을때는 컴퓨터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근데 보통 그정도 사양의 워크스테이션은 굉장히 고가라 개인이 구매해서 이용하는게 아니라 대학원 연구실이나 회사에가면 관련분야인 경우 그런 하드웨어를 보유하고있고 거기에 원격으로 접속해서 작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일단은 공부하시는 거니까 라이트하게 코랩에서 주는 무료사용량 가지고 시작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2024.09.27
구글 클라우드, AWS, Azure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하면 본인 원하는 환경으로 셋팅해서 쓸 수 있을텐데요...
2024.09.26
대댓글 4개
2024.09.26
2024.09.26
2024.09.26
2024.09.26
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