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랩에서 계산물리로 석사하는 학생입니다 tddft를 하고있고 유명하진 않은 software를 가지고 method development를 하고 있습니다 코드를 완성하면 몇몇 물질에 적용해서 출판하고 석사논문완성하게 될 계획입니다 개인적으로 박사학위는 하고싶지만 그 이후 산업체에 가고 싶습니다. 최근 배터리시뮬레이션 쪽에 관심이 생겨서 박사학위는 머신러닝과 배터리 시뮬레이션(DFT를 이용한) 계산화학랩에 가고 싶은데 제 학사와 석사가 물리학이라 이런 transition이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행복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4.09.10
지난번에도 동일한 글 올리신 거 같은데 여기서 무슨 구체적인 조언을 구하겠어요? 인터넷에서 모르는 사람들이 해도 된다고 하면 하시고 하지 말라고 하면 안 하실 거에요? 제발 인터넷에서 조언 구하지 마시고 본인이 진학 원하는 화학 랩 교수님과 면담을 하고 조언을 구하세요.
대댓글 1개
2024.09.11
이게 현실적인 계획인지도 잘 모르겠고, 이렇게 transition하는 분들도 흔하지 않아서 랩 동료들도 잘 모르더라구요. 지금 랩도 마음에 들지만, 좀 더 관심 있는 랩실에 관심이 가는거라, 교수님게 직접 가기는 좀 개인적으로 부담스러운 감이 있어서 먼저 사전 조사를 하고 고민해보려고 올려봤습니다. 아직 석사 학생에 불과해서 커넥션이 따로 있지도 않고 부족한 점이 많아서 조언들 좀 얻어보려고 올려봤습니다. 거슬리게 해드렸다면 죄송합니다
2024.09.10
오우 물리과 method development 하시는 분들은 소재분야에서 대환영 입니다 이론적 기초가 탄탄하면 응용도 보통 잘하기도 하고 머신러닝은 물리랑 관련 없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요즘 소재 쪽 머신러닝 기법들이 양자역학이나 통계역학 쪽 개념들을 가져와서 만든 것들이 많아 물리에서 방법론 했으면 확실히 메리트가 있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9.11
답변 감사합니다! 소재분야라고 하면 재료과인가요? 이론적인 부분은 확실히 타과생들보다는 우위에 있다고 생각은 해보았습니다. 머신러닝도 이론은 간단히 맛만 봤는데 말씀해주신대로 그런 개념이 익숙해서 매력이 왔더라구요. 터무니 없는 계획은 아니인 것 같으니 좀 더 적극적으로 탐구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9.11
써주신 것은 계산화학이라고 했는데 베터리나 머신러닝이라고 하면 재료에서 많이 해서요 요즘 이론 분야에서는 재료, 화학, 물리의 구분이 옅어지고 있긴 합니다 오히려 재료보다는 물리나 화학 같은 자연대가 연구에 확실히 더 유리해요
2024.09.12
그렇군요. 주변에 보기롱 계산화학쪽에서 배터리쪽 연구하는 것 많이 보아서 생각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9.11
물리화학 랩에서 물리전공이 손해보는 경우는 거의 없음. 특히 계산화학 쪽이면 보통은 오히려 환영할듯
대댓글 1개
2024.09.12
그렇군요.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2024.09.11
올해 KIAS 전자구조 계산학회에서 질문 했던 학생인가요?
대댓글 2개
2024.09.12
아닙니다 전 해외에서 학위중이라…
2024.09.12
아 그렇군요. 배터리 계산은 특정 몇몇 그룹이 잘하는데, 그 그룹에 갈 수 있으면 좋고 아니라면 다른 분야에서 잘하는 그룹에 가는게 맞지 않나 싶네요.
2025.03.18
해외대면 이번에 PhD 어플라이하셨으려나요? 저는 미국에서 박사중인데, 적어도 저희 연구실은 Physics/Math background인 학생들 꽤 있습니다. 다른 이론 연구실들도 비슷한 것 같구요!
2024.09.10
대댓글 1개
2024.09.11
2024.09.10
대댓글 3개
2024.09.11
2024.09.11
2024.09.12
2024.09.11
대댓글 1개
2024.09.12
2024.09.11
대댓글 2개
2024.09.12
2024.09.12
202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