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Nature BME vs Nature com

2024.07.28

5

1406

단독 1저자라고 가정했을때 두 논문의 차이가 유의미하나고 생각하시나요 아님 BME가 조금 낫긴 한데 큰 차이가 없다고 보시나요?

굳이 예를 들지만 e클과 c클 정도의 차이인지 아님 c클 내에서 옵션 차이인지 정도 되겠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4.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c클 풀옵이면 e클깡통보다 비싼거아니냐...

2024.07.29

Nat. Comm. 도 물론 자매지로 분류하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학계인식은 Nature 000 부터가 자매지로 인정하죠.

가장 큰 차이는 Nature 본지 / 자매지 (월간지) 는 editing / review 와 관련된 정보들을 공유하며, 출판 논문수도 년간 200~ 300편 내외로, 8000편 이상 출판되는 Nat. Comm. 과는 큰 차이가 있죠. (다학제 및 목정성의 차이로 편수가 많은것도 있습니다)

따라서. 물론 BME가 신생 자매지다 보니 메이저 자매지 (Materials, electronics) 보다는 덜 할지언정 Nat. Comm. 과는 비교할 필요없이 우위에 있다봅니다. 리뷰 및 리비전도 더욱 쉽지 않으리라 예상합니다.

2024.07.29

당연히 bme..
Bme에서 컴으로 트랜스퍼 추천도 할껄요

2024.07.29

BME는 모르지만, 윗분들 말씀대로 보통 본지/자매지 -> 넷컴/사어 트랜스퍼 이 경우가 대다수케이스입니다.
저도 본지는 안내봤고, 자매지만 내봤고, 트랜스퍼도 당해서 넷컴/사어에 게재한경우도 있어요.
사실 에디터 운, 리뷰어 운 도 많이 타기때문에, 넷컴/사어정도에 실린 논문이 자매지보다 못하다고 말할순없지만, 그래도 저자들 입장에서는 우선순위는 무조건 자매지라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가 좋아하는 정량적 평가로할때 넷컴/사어는 6-8% 저널인것도 아쉽긴하죠.

대댓글 1개

2024.07.29

*정성적 평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