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주입식 입시수능 공부 잘해서 학부 잘 간거랑 설포카에서 졸업논문쓰고 연구자로서 역량발휘되는것이랑은 별개의 문제임.
2024.07.15
궁금하면 본인한테 직접 확인하세요 혼자서 추측에 망상주접 그만 떨고
대댓글 1개
2024.07.17
제목 때문에 오해하신거 같은데요, 제가 궁금한건 저렇게 skp학부 출신들도 연구적응을 못하는경우가 생각보다 자주 있는가입니다.. 그냥 궁금했어요 다 잘할거 같은데 아닐수 있나 싶어서
2024.07.15
너무 남한테 관심이 많으신 거 같네요. 본인 할 거나 잘하시길
2024.07.16
공부못하는 애들의 특징...
대댓글 2개
2024.07.16
그 특징이란 무엇입니까? 무식한 저에게 가르침한번 부탁드립니다
2024.07.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 실력 올릴 생각 안하고 남 점수에나 관심 갖으면서 비교하는거요
2024.07.16
작성자의 글에서 수준이 들어납니다. 타인에게 관심 갖기 전에 직계(성골)와 방계(진골) 단어 구분이나 먼저 잘 하세요.
대댓글 2개
2024.07.16
ㄹㅇ 진골이라 쓰인거 읽을 때 성골이 더 순수하고 높은 의미 아닌가...? 하면서 의아했음ㅋㅋㅋㅋㅋ
2024.07.16
무식한 지방대 출신을 이렇게 친히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높은 식견에 탄복합니닷!!!
2024.07.16
저는 카이스트에서 학위받았는데 졸업한연구실이 그래도 학과내에서 선호도가 높고 규모가 큰 연구실이였어서, 자대생 70%, 포공학생들 10%, 그리고 나머지 타학교(인서울상위권+학점좋은) 들로 구성됐습니다. 제 주변에도 타대생이 많지않다보니 일반화는 어렵지만, 확실한건 연구하는건 학부입학할 때와는 다릅니다. 자대생 출신중에서 중간에 번아웃오거나 아니면 나름열심히하는데 연구갈피 못잡아서 박사과정만 6-7년 하는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학부가 좋으면 대체로 전공지식도 잘 쌓아져있고 천재는 거의없어도 똑똑함도 상향평준화돼있다고는 생각하지만, 그게 대학원 그리고 이후까지 간다는 보장은 절대 없습니다. 한예로 지도교수님께서 아직 40후반이시지만 박사졸업생이 이제는 20명넘는데, 그중 약간 연구실 역사상 전설적으로 연구잘하시고 지금 해외대학에서 교직하고계신분의 학부는 인하/아주대 입니다. 그분이 학위과정 이후에도 해외포닥/현직에 계시면서 좋은모습 보여준 덕분에 후배들이 해외네트워킹/박사/포닥가는데 지도교수보다 더 도움 많이 받은것도 크고, 성품도 정말 좋은분이라서 다들 본받고 싶어하는 분이에요.
대댓글 1개
2024.07.17
그런 분들은 진심 존경합니다 닮고 싶기도 하구요 ㅋㅋ ㅜ
2024.07.16
작성자 수준 참 알만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7.16
뛰어난 식견으로 불쌍한 지방대출신 한번 평가결과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넙죽.
2024.07.16
댓글들 왜이렇게 문맥파악도 못하고 짜증내면서 자기가 본 것들 안알려주는지? 글쓴이는 까려고 하는게 아니라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것 같고 대댓봐도 겸손히 더 알고자 하는것 같은데..?
대댓글 1개
2024.07.17
감사합니다 ㅜ 그냥 spk 학부출신분들도 제가 있던 곳에서 봐온 친구들처럼 중도포기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있는지 그저 호기심 차원에서 궁금했습니다.
2024.07.15
2024.07.15
대댓글 1개
2024.07.17
2024.07.15
2024.07.16
대댓글 2개
2024.07.16
2024.07.18
2024.07.16
대댓글 2개
2024.07.16
2024.07.16
2024.07.16
대댓글 1개
2024.07.17
2024.07.16
대댓글 1개
2024.07.16
2024.07.16
대댓글 1개
2024.07.17
2024.07.16
2024.07.17
대댓글 1개
2024.07.17
2024.07.17
대댓글 1개
2024.07.17
2024.07.17
대댓글 1개
2024.07.17
2024.07.17
대댓글 1개
2024.07.21
2024.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