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6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2 - 무슨 초등학생들이 디지몬이 쎄냐 포켓몬이 쎄냐 비교하는거같음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1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27 - 난 주말에 연구하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강제하는건 문제가 있을듯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2 - 닥쳐 좀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1 - 아이디어 차원인건 SKY 학부생이 더 획기적인걸로 output 할 수 있다고 봅니다만, 보고서, PPT, 논문 작성 등은 박사가 잘하지 싶네요.
순수 아무 도움/조언 없이 혼자 스스로 다 한다면요;
아직 학부생인거 같은데 아직 인생 얼마 안살아보셔서 수능 잘치고 SKY간 사람이 만능처럼 보이나 본데, 그 사람들의 노력을 폄하하는건 절대 아니고 인정하지만, 연구랑 수능은 다릅니다...
그리고 내가 볼 때 글쓴이는 훗날 박사과정하다 포기하거나 빌런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보임; 생각 수준하고 정신연령이 딱 사춘기 온 중2~3정도네요;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0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21 - 미국에서 학부 했는데 어떤 학부생이 네이처 본지 1저자로 내기도 함. 비교하면 끝도 없음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5 - 아니 누가 쉬지 말랬나요? 주말에 공부도 안 하고 꼬박꼬박 쉬는 애들은 애초에 학문하고 어울리지 않는다는거지요. 도피성 진학해서 주말마다 노는 애들 괜히 찔려서 튀어나오네.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6 - 중딩급 능력의 박사생은 봤습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8 - 앗 취업 도피처가 아니었다고?!?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1 - ㅋㅋ 희대의 명언: 모든건 결과가 말한다.
주말에 뼈빠지게 나오고 새벽까지 해도 보고서 개판에 논문 안적고 실험 야매고 기초지식 없고.. 그러면 좋은 연구자는 아님.
성실한 연구자가 좋은 연구자랑 동일하지 않음. 이런건 선진국 문화를 받아드리는게 맞는듯. 미국은 철저히 실적주의임. 주말? 출퇴근 시간? 아무도 신경암씀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0
석사때는 괴수랩이었고, 직장4~5년 다니다가 박사왔는데
2024.06.16

이것저것 들쑤시며 공부는 많이했는데 좋은 실적을 못 냈음...
교수님도 돈되는 대기업 프로젝트나 하셨지 논문에는 관심이 없으셨고...
명분상으로는 논문을 왜 못쓰냐고 뭐라하시는 구도였지만, 실질적으로는 논문 작성에 관심이 없었음.
실제로 1년에 국내논문 박사과정 위주로 1편,2편 나와야 많은 연구실이었음 ㅠㅠ
크게 실망하고 직장 4~5년 다니다가 다른 교수님한테 박사왔는데...
뭐 모든게 완벽할 수는 없지만
따오시는 프로젝트도 연구성격이 강하고 (석사때는 대기업 용역이었음)
프로젝트 수행하면서 아이디어도 조금씩 붙여보니 국내논문도 쉽게 되고 조금만 살을 붙이면 해외저널에도 실릴수 있고...
연구에 조금씩 재미가 붙어가고 있음...
박사학위를 취득하기에는 솔직히 조금 모자랄수 있는 학교 네임밸류긴 하나,
지도교수님도 적극적이시고... 잘 온거 같음...
열심히 해서 빨리 졸업하고 싶음.. 교수님도 실적만 채우면 (sci 2편 or Q1 1편) 3년이든 4년이든 그냥 졸업시킨다 하심..
-
370 45 123793
연구주제 변경하고 싶어요.. 김GPT 0 1 1093
개구리는 올챙이 시절 모릅니다. 김GPT 13 1 1863
박사과정 나간다 vs 버틴다 김GPT 0 5 2956-
0 2 822 -
1 2 987
푸념하고싶네요 선배님들 김GPT 2 2 939-
15 15 16182
교수님 마음 하나도 모르겠다. 김GPT 52 16 8392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203 41 24815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78 90 38938-
151 49 5672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73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6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1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9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0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1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7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6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6 - CCUS 연구 랩실 어디가 가장 실력있나요? 질문 및 추천
4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6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73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6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1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9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0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1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7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6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6 - CCUS 연구 랩실 어디가 가장 실력있나요? 질문 및 추천
4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6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06.16
대댓글 3개
2024.06.16
2024.06.16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