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타이상 랩 지원해보세요. 인기랩도 컨택해보시구요. 3학년 여름방학 혹은 겨울방학부터 인턴해서 눈도장 찍으시면 가능성 있습니다
2024.05.29
보통 석박통합을 뽑아서 석사만 하시고 싶다면 컨택단계나 면담하실 때 확인하시구요. 석박 5년이상 하실텐데 랩실을 신중하게 고르셔야 합니다. 그리고 서울대 물리는 1학년때 코스웍 시키고 랩실배정은 2학년부터로 알고 있습니다. kp는 모르겠구요.
2024.05.30
진심어린 답글 너무 감사드립니다!
2024.05.29
등수가 낮은게 아니라면 충분해 보입니다. 컨택 잘 해보새요
2024.05.29
그 학점이면 경쟁력 있으실 거예요
2024.05.30
대학원 합격은 문제없지만 연구실 컨택이 더 중요합니다. 혹시 관심분야가 있으실까요? 세 학교마다 강점분야가 조금 달라서요. 무턱대고 학교 이름만 보고 덜컥 갔다가는 인생 꼬이는 시발점입니다. (제 경험입니다...) 지금부터라도 관심있는 랩에서 나온 논문들 읽어보면서 공부하시면 원하는 랩 충분히 가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5.30
답글 남겨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저는 응집물질 물리 실험 전공을 희망하는데, 세 학교중 어디가 강세일까요? 그리고, 원래 이번 여름 방학부터 자대 교수님 랩실에서 학부연구생을 하려했는데, 학부연구생은 하지말고, 지금이라도 가고싶은 랩실 찾아서 인턴을 하는게 맞을까요?
2024.05.31
응집물리쪽은 포공 광학쪽이 카이스트로 알고있습니다. 응집물질 실험 동일 분야인데 가고싶은 랩실 찾아서 방학 인턴이라도 하면서 눈도장 찍는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4.06.01
고체 실험이라면 포스텍이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가장 잘하는 듯 합니다. 서울대랑 카이스트에도 좋은 랩이 많이 있으니 인턴을 지금부터라도 할 수 있으면 하는 것이 당연히 좋죠. 다양한 분야 논문들 읽어보면서 어느 부분에서 흥미가 생기는지 찾아보시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2024.05.28
대댓글 1개
2024.05.28
2024.05.28
대댓글 4개
2024.05.28
2024.05.29
2024.05.29
2024.05.30
2024.05.29
2024.05.29
2024.05.30
대댓글 3개
2024.05.30
2024.05.31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