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옮기는 것에 대해 조언해주세요.

2024.04.10

9

1386

저는 과기원중 하나에 이번 신입학한지 1달 된 학생입니다 ㅠㅠ

제가 학부가 명문대가 아니라서(인서울 중하위권) 합격했을때 엄청 기뻣는데 막상 와보니 생각과는 많이 다르네요.
제가 현재 고민인 것은 연구실 분위기와 사람들 입니다. 신생이라기에는 조금 된, 교수님이 임용하신지 6년정도 된 연구실인데요 랩실 구성원끼리는 서스름 없이 친하게 지냅니다만은 저는 그 무리에 속하지 못하고 걷도는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입학한지 얼마안된 신입생이라 제가 뭘 몰라서 그렇게 느낀다고 생각했는데요. 한달정도 지내보니 정말 너무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험등을 물어보면 스스로 공부하라고 하고요 대화중에 본인들끼리 아는언어 (학교지명의 줄임말등)을 사용해서 대화에 끼고싶은 마음에 무슨 뜻인지 물어보니 지내다 보면 알게된다고 하면서 절대 알려주지 않습니다.
제가 뭔가 실수를 하면(모르고 에탄올을 싱크대에 버리거나 샘플을 떨어트려 오염시키는 실수 등)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저를 향해 화를 냅니다. 제 생각에는 실수가 맞지만 그정도까지 욕먹을 일인가 싶습니다 ㅠㅠ
같이 들어온 동기는 자대생이라 그런지 아는것도 많고 적응도 빠른것 같아서 더 비교되고 힘든 상황입니다.

솔찍히 말하면 자퇴하고 다른 과기원의 연구실을 찾아보고 싶습니다. 지금하는 연구분야에 크게 미련도 없고요 다만 다른곳에가도 그곳이 좋은곳일지, 제가 이상해서 적응을 못하고 있는건지 고민입니다...
교수님도 이만하면 진짜 착하시고 돈도 잘 챙겨주시고요...
하지만 석박통합으로 넣었는데 도저히 저 사람들과 같이 지낼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저 자신도 계속 질문에 대답을 안해주니 어느 순간부터 모르는 것을 질문할 때마다 위축되고 실험을 할때도 성공보다는 실수하지말자라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ㅠㅠ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다른 연구실을 찾아보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버티다 보면 시간이 해결해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4.10

저랑 비슷한 상황이라 고민되시겠네요.. 저는 동기도 없어서 하루종일 말도 안하고 지내는 중인데 혹시 동기랑 친해져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대댓글 1개

2024.04.11

ㅠㅠ 고생하시고 계시는군요.
그나마 동기하고 가장 친해서 고민도 털어놓고 하는데 이게 쉽지가 않네요....

2024.04.10

고생이 많으시네요. 실험 물어보실 때 매뉴얼이나 유튜브 영상, gpt 등 찾아보시고 어떻게 하는건지 step 별로 정리하시구요. 이렇게 하는게 맞는지 적절한 시간에 선배에게 검토해달라고 해보세요. 부탁할때는 이렇게 하는게 표준이라고 생각하지만 신입생 입장에선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렇게 했는데 안알려주면 나가는 것도 방법입니다. 아니면 매뉴얼 샅샅이 보고 장비회사에 전화하면서 독학하셔도 되는데 신입생이 하기에는 위험해서 선배 검토는 필수입니다. 사고나거나 장비 망가트릴 수 있어요

대댓글 1개

2024.04.11

최대햐 알려주신대로 해보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4.04.11

와 나랑 같은 문제 있는 사람이 여기도 있구나…타학교 출신은 거의 다 비슷한가ㅠㅠㅠ저는 석사만 하기도 하고 어차피 다른 곳 가서도 비슷하면 돈이랑 시간만 더 허비할거 같아서 이 악물고 제 과제, 공부만 하다 가려고요 어차피 후배들 들어오면 또 분위기 달라질수도 있죠

대댓글 1개

2024.04.11

맞아요 ㅠ 다른곳이 더 좋을 거란 보장이 없어서 함부로 가기도 힘들어요 ㅠㅠ

2024.04.11

에탄올 ㅋㅋㅋㅋㅋ 아세톤도 싱크대에 귀찮아서 많이버리는데....

2024.04.11

지명가지고 저러는건 실화인가... 초딩인줄

2024.04.11

실험실마다 케바케라 보는데, 지금정도면, 보통 정도의 실험실 분위기로 보이며, 저라면, 버텨볼 것 같습니다.
우선, 많은 경우 신입이 왔을때 잘 챙겨주기 보다는, 실험실에 맞출 수 있는 멤버인가를 지켜보는 경우가 많음.(심지어, 어떤 선배는 후배 처음부터 잘해주면, 후배 망치는 길이라고 하며, 챙겨주지 말라고 하는 선배도 있었음.)
대부분의 인원이 많은 실험실은 1. 교수가 힘들게하거나(그러면, 실험실 멤버들끼리 뭉침) 2. 선배 또는 선배그룹이 힘들게 하거나(후배들끼리 뭉치고 챙겨줌), 3. 딱히 그런 것이 없다면, 그룹끼리 나누어지거나(박사과정라인 또는 포닥라인별, 또는 여자멤버 라인들 등 다양하게 봤음) 합니다. 그러면, 해당라인의 사람들끼리 잘 챙겨주는 경우가 많지요. 4. 강하게 라인이나 이런 것이 없으면, 지금처럼 알아서 지낼 가능성이 꽤 있는데, 초기정착에 챙겨주는 사람이 없어 힘들긴 하지만, 모두 장단이 있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