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기준으로 타 분야 대비 필요 길이가 짧은 편입니다. (물론 appendix까지 하면 비슷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지만) 그렇다보니 main content에 대한 길이가 짧아서 technical solution에 대한 설명, 아이디어의 양도 상대적으로 작게 들어갑니다. 물론 ai 쪽도 이론 논문들은 technical 한 얘기들 엄청 들어가기도 하는데, 전반적으로 그렇다는 겁니다.
2024.04.05
케바케인거 같습니다. 워낙 AI 연구 하는 사람이 많아서 논문도 넘쳐나는데 제대로 된 논문 나오려면 학습만 수십번 돌려봐야죠. 학습 한 번에 며칠 걸리는 분야도 있고 하루면 결과 다 나오는 분야도 있어서… 연구실 컴퓨팅자원이랑 인력도 생각하면서 비교해야 합니다. 간단한 CNN적용해서 논문 나오는 분야부터 트랜스포머는 기본으로 깔고 가는 분야까지 천차만별이죠
2024.04.05
R1 대학 AI 분야 교수 지원자 보면 답 나옴 무슨 탑티어 논문을 열 몇 편씩 들고오는데 타분야 사람이 보기에는 말이 안되는 숫자임; 심지어 저랑 같이 입학한 동기들 중에 몇 명은 AI 박사도 2,3년 만에 끝내고 나감; 참고로 제 분야에서는 탑티어 3,4편 있으면 SPK 교수도 가능한데 역사상 이 분야에서 탑티어 10편 넘게 쓰고 졸업한 박사생이 있을까 싶음 그런 면에서 AI 분야가 양적으로 많이 나오는 건 분명한 듯 근데 그래봤자 남들도 많이 쓴다는 거라 상대적 평가는 더 치열한게 함정
2024.04.06
수도권 사립대 ai분야 교수입니다. 박사들마다 교수들마다 실적은 전부 케바케이니 남들과 비교하는게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저는 임용당시에 탑티어 2개와 상위티어 3개로 임용되었습니다. 탑티어 10개 1저자로 들고있으신 신임 교수님들은 들어본적도 본적도 없네요. 만일 주변에 ai탑티어 10개단위로 들고 계시면 서울대 교수로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여유롭게 되실겁니다.
대댓글 1개
2024.04.06
윗분은 미국r1 또는 미국 상위권 학교임용을 말하는것 같습니다. 한국은 공급이 미국같지 않아서 말씀하신 정도가 맞습니다.
2024.04.05
2024.04.05
2024.04.05
2024.04.06
대댓글 1개
202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