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해외 포닥을 도전해봐도 좋을까

2024.03.26

5

2173

안녕하세요 이번년도에 박사 졸업하는 학생입니다. 박사 졸업 후 해외포닥을 가고 싶은데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현재 분야는 재료공학으로 해외 포닥의 길이 맞는 선택인지 의문이 들어 이 곳에 질문을 올립니다. 선배님들의 현실적인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저는 SPK 학석박 출신입니다. 전문연을 해서 나이는 한국나이로 29살입니다. 분야는 바이오메디컬디바이스 분야입니다. 실적은 그리 좋지 않습니다. IF 10점, 15점 저널 1편씩 총 2편의 1저자 논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저자 논문은 3~4편 정도 됩니다. 올해 목표로는 1저자 논문 2편을 퍼블리시하는 건데, 모두가 인정할 만한 저널 (네이처 사이언스 자매지)에 나올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힘들겠지요. 비슷한 저널 (10~15점 정도)에 나올 것 같아요.

저는 현재 회사취업 (삼전, 하이닉스)을 해야할지, 해외포닥을 도전해봐야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주위에서는 나이가 어리니까 해외포닥을 준비해보라고 하지만 저는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연구가 재밌어서 계속 하고 싶은 맘은 있긴 한데, 제가 현실적으로 인서울 대학의 교수나 국가연구소의 PI가 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그 이외의 직장에서 PI는 하고 싶지 않습니다. 금전적으로 회사취업과 큰 차이도 나고, 제대로 된 환경에서 연구를 할 수 있을 것 같지가 않습니다. 결혼을 약속한 사람이 있어서 해외포닥은 길게 하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가더라도 1년 혹은 1년반 정도가 될 것 같아요. 가서 실적을 낼 수 있으면 좋지만 기간도 짧고 어렵다면 국내에서 하던 거 마무리하거나 다시 한국 돌아올 생각입니다. 그때까지도 취업을 하지 못한다면 국내포닥을 더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SPK 학석박 출신 + 10~15점 정도의 저널 4~5편 + 해외포닥 경험 1~1.5년

정도로 학계에 남아 PI가 될 수 있을까요? 선배님의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4.03.27

해외포닥의 경험과, 또 운좋아서 거기에서 실적이 추가되면 경쟁력이 생기긴 합니다.
로저스랩 출신들이 전세계 유수대학에 임용이 됐기에, 그들중 잘 찾아서 컨택해보세요.
그리고 솔직히 해외포닥1년은 정말 짧습니다. 혹시 결혼문제가 있으면, 어떻게든 데려오거나 하시는게 좋습니다.
1년-1년반 장거리 정말 어렵습니다. 저도 결혼예정자 1년가량 장거리하다가 (중간에 2달정도 휴가받아서 제가있던곳에 같이 있긴했지만), 여자측이 너무 힘들어해서 결국 혼인신고만 하고 데려왔습니다.
가정도 중요하기에 잘 고민해서, 해외포닥을 갈만한 가치가 있을지 생각해보세요. 1년-1년반이면 임용시장의 경우에는 사실상 가자마자 원서 이곳저곳 넣으면서 경험하셔야 될 정도입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4.03.27

해당 분야 10-15점짜리 저널 4-5편에 해외 포닥 1.5년은 경쟁력이 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분야가 정말 잘 맞는 다는 가정 하에 지방사립대 임용을 노릴 수 있을 것 같네요. 해외 포닥 2-3년 정도 진행하시고 자매지 급 저널을 CV에 추가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