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컨셉인가? 니들이 뽑지 말든가. 정출연이 뭐라고 분야맞고 실적 좋음 뽑는거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9
- 그쪽 조직에 지방대 박사 들어왔다고 생각해봐 안짜증나는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8
- 님이 실적 더 쌓아서 교수 이런 쪽으로 빠지셨어야죠. 님이 고만고만하니까 같은 조직에서 일하는 거죠.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49
- 너 같은 애도 뽑은거 보면….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52
- 근데 내가 포공 출신이라 좀 긁혀서 이거 좀 알아봄. 물론 요즘 포공이 좀 얘기도 많고 위기다 위기다 하는 거 인정하고
서울대 카이스트가 많이 잘하고 있는 것도 인정함. 우리도 좀 위기 극복하고 세계 대학순위도 높히는게 필요해보임.
근데 내가 이거 기자랑 통화해서 1인당 논문 개재 건수 레퍼 알려달라 했는데, 이거 논조가 진짜 악질임.
대학알리미에서 공시자료 찾아보면 수치 확인할 수 있는데, 저 기자가 쓴 1인당 논문 개재건수는 "국내논문" 기준임. 이게 진짜 개 악질임.
어느 탑스쿨에서 국내논문 개제로 순위 매김? 이거 수치는 거의 랜덤 샘플링 해도 비슷할텐데. 그냥 기자가 아무거나 포스텍이 꼴찌하는거 가져온거라고 밖에는...
그래서 1인당 국제 논문 개재 / 1인당 sci급 논문 개재를 확인해봄. 해당 지표를 보면
포스텍: 1.09, 1.08
카이스트:1.08, 1.07
서울대: 1.02 / 0.95
이 순서임. 결과적으로 포스텍은 1인당으로는 아직 잘하고 있음. 앞으로 어떻게 되느냐가 문제지만, 그건 학교에 남은 분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린거고. 어쨌든 기자는 지금 자기 입맛에 맞게 수치를 가지고 장난치고 있음.
내가 이걸로 기자님한테 수정이 필요하다고 전화 넣었는데, 그래서 수정된게 아래임ㅋㅋㅋㅋㅋㅋ 아무튼 각자의 생각을 존중함.
"이처럼 우수한 학생들이 포스텍을 외면하면서 연구 품질도 떨어지고 있다. 포스텍의 지난해 국제 기준 논문 실적은 310.45편으로 KAIST(723.55편)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국내 기준 교원 1인당 논문 실적을 봐도 0.0689편으로 KAIST의 0.0886편에 비하면 한참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포스텍보다 뒤에 문을 연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도 각각 0.1077편과 0.0872편, 0.0977편임을 고려하면 국내 과학기술특성화대 중 최하위라는 의미다."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0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2019.02.06
7
5967

먼저 저처럼 대학원 진학에 대해 정보가 부족한 학생을 위해 좋은 사이트를 개설해주신 관계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제가 이번에 대학원을 진학하려고 정보를 찾아보다가 막혀서 선배님들께 몇 가지 여쭤 보고 싶은 사항들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어요.
1. 수학과 연관된 과를 나왔는데 타과로 대학원을 진학하고자 하는데 타과, 타대학생이면 자과생들로 부터 텃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텃새를 부려도 진학하고자하는 마음은 확고하지만 마음의 준비는 해야 할 것 같아서 질문남깁니다.
2. 제가 학점을 4.5만점에 3.98을 받았는데 이 성적이면 서연고서성한 대학원 진학에 어려울지 걱정됩니다. 그리고 공인어학능력시험 (예:토익)는 어느 정도여야 합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대학 입학처에 찾아봐도 커트라인은 공지되어 있지 않아서 선배님들께 여쭙고 싶습니다.
3. 제가 후기 대학원에 입학하고자 하는데 컨택시기가 언제쯤이 적합한지 궁금해서 질문남깁니다. 제가 졸업한지 2년 정도 되었는데 다른 글에서 4학년 1학기쯤에 컨택한다는 글을 보고 연락드립니다. 컨택 전에 자과 대학원생과 먼저 연락해서 교수님의 성향을 파악한 다음에 컨택하는 것이 적절한지 고민되어 글 올립니다.
4. 컨택할 때 어떤 정보를 포함하여 이메일로 남겨야 하는 지 궁금해서 여쭤보고자 합니다. 저의 학과나 대학원 진학 포부 정도를 생각하고 있는데 첨가할 부분이나 절대 하면 안되는 글 등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제가 대학원 진학에 궁금한 점이 많아서 질문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모든 분들께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조언남겨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모두들 올해에는 더 좋은 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0
1
828
-
101
6
22911
-
1
7
4319
김GPT
예비 선배님들0
5
3098
김GPT
대학원 선배님들 질문 있습니다0
1
451
김GPT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0
3
3748
-
100
18
19913
-
0
1
938
김GPT
선배님들의 고견 여쭙겠습니다.0
0
849
명예의전당
나의 선생님 (자랑 포함..)116
18
13225
-
264
58
24980
명예의전당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78
46
3254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 김박사넷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new!)
770
-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활동하는 분중에 성추행문제 있는 분이 있네요.
20
-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1
- 서울대나 카이스트 AI 대학원 갈 수 있을까요?
20
-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3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19.02.07
2019.02.07
2019.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