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석박사 전공 잘못선택하면 인생 난이도 엄청 올라간다.

2024.01.20

20

9631

정말 수 많은 석박사,교수를 만나봤다.
결론은 세부전공에 따라 인생 난이도가 너무 다르다
차라리 대졸 4년 인생이 훨씬 쉬워보일 정도이다.

취업이 잘되는 세부전공을 하면 학벌 등 기타 스펙이 좀 쳐져도 사기업 어디든 간다.
그러나 취업이 잘 안되는 경우는 너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석,박사 때 우주를 다룬다고 해보자.
졸업하고 갈 수 있는데가 거의 없다.

차라리 우주를 공부안하고 대졸로 그냥 일반 사기업에 취업했을 경우
평생 기대소득과 안정성은 석박사보다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매우 높은 확률로 고졸 대기업 생산직보다 당신의 인생 난이도가 올라간다.

그래서 석사만 하고 대졸 신입 지원을 하는 경우에는 그냥 대졸 신입애들보다 나이가 많다느니, 우주를 전공해서 핏이 안맞다느니 등의 이유로 밀려진다.
직무와 관련없는 석사를 했다는 그 자체만으로 이미 당신은 폐급이 되어 버린 것이다.
대학원에 발을 디딘 순간부터 당신의 인생은 박살이 난 것이다.

누구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인생에 돈이 전부가 아닙니다. 연구가 재밌어서 하는겁니다."
절대 다수는 계약직 신분이거나 백수인데 연구가 재미있을 수가 있나?
이건 돈이 문제가 아니다. 본인의 소속과 신분의 문제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4.01.21

저는 생각이 조금 다른게,
취업이 잘 되는 분야인지 4~6년 전에 예상할 수 있나요?

대댓글 3개

2024.01.21

맞음. 근데 원글 보면 전공을 잘 예상하고 선택해야한다는 얘기가 아니라 단순히 "안팔리는 전공을 하게 됐을때" 결과가 안좋다는 얘기를 하려고 한듯. 이유야 어찌됐든

2024.01.21

전통적으로 산업이랑 밀접해서 수요가 있는 전공과 누가봐도 산업과는 하등 관계 없는 전공은 예상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4.01.21

취업이 잘되는 분야인지 안되는 분야인지 4~6년 전에 모르겠으면 사실 진학해도 상관없슴다.

다만 전통적으로 꾸준히 항상 취업이 안되는 분야는 존재했습니다.
예시로 나온 우주, 천문, 순수수학 (주로 한국), 이론 물리, 문사철, 그 외 몇몇 비주류 학문

세부분야가 어떻고 전문성이 어떻고 트렌드가 어떻고를 떠나서 애초에 분야에 몇 자리 없는 교수 포지션이 (그나마도 평균보다 적음) 그 분야 일자리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분야들 (인더스트리 자리는 씨가 말랐고 포닥 수는 교수 숫자보다 적음)이 꽤 있어요.

이런데는 피해야합니다. 어설픈 열정가지고 들어갔다가 인생 조지는 케이스 많이 봐왔습니다.

물론 그들은 항상 그럴 각오하고 간다고 말하지만 막상 맞아보면 그렇지 않더군요. 또 본인은 여전히 만족하지만 가족이 생긴 후로 후회하는 경우도 많이 봤고요

2024.01.21

천체관련 통계분석하는 박사분 데싸로도 일하시고 잘하시던데요.. 직접본 케이스가 있나요?

대댓글 2개

2024.01.21

예시잖아요 예시

2024.01.22

순수이론물리 박사하고 공무원 시험봐서 공무원하는사람 여럿봄 다 그런건 아님

2024.01.21

분야다르면 신입 힘든거 ㅇㅈ...근데 분야 잘 응용해서 신입만 뚫으면 다시 직무 안맞음 지옥에서 풀려남. 못뚫으면 진짜 헬게이트 열림ㅋㅋ

2024.01.21

어느정도 예상하고 가긴 했습니다. 어렸을때부터 하고 싶은 분야여서요. 나름대로 심사숙고도 했었고...
인생에서 추구하는 가치가 다르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세상엔 언제 짤릴지 모르는 비정규직이어도 할 수 있는걸 한다면 괜찮다는 사람도 있으니깐요...

2024.01.21

답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대댓글 1개

2024.01.22

한국에선 답이 있음. 사람답게 살 답.

2024.01.21

생명공학은 어떤가요? 줄기세포같은거요

대댓글 1개

2024.01.22

취업 pool은 있을 수 있겠으나 연봉 너무 밀림. 바이오 신생 박사 인더스트리 초봉이 공대 학사 대기업~중견 초봉과 동일하거나 적음

2024.01.22

돈이 문제가 아니긴.. 돈이 충분해서 먹고살 걱정이 없음 자기가 원하는거 하면 되지.

대댓글 1개

2024.01.22

제가 바로 그 사람입니다. 사업으로 돈은 다행히 충분하고 술 담배 여자 여행 할 시간에 자기개발 해보자 해서 박사 학위 하고있어요. 제 전공이 취업에 불리하긴 하지만 딱히 취업걱정은 없네요. 박사학위 따고 다시 사업 전선에 뛰어들고싶네요.

2024.01.23

툴만 잘 다뤄도 전공 상관 없이 여럿 잘 가던데.

2024.01.23

화학공학말고 화학과도 안되는과로 분류되나요?
이기적인 쇠렌 키르케고르*

2024.01.25

교수들보면 박사때 받은 세부전공을 그대로 안하는 분들 꽤 있어요..

2024.01.26

석사면 몰라도 박사급이면 학위 나온 학과보다 실제로 학위 때 뭘 했는지가 중요한 게 맞죠. 예로 든 항공우주 전공이어도 우주랑 별로 관련 없는, 예를 들면 재료나 제어, 로봇 같은 거 해서 학위 마쳤을 수도 있는 거고요. 근데 그런 랩들이 잘 없고, 다들 산업이랑 별로 관련 없는 과제에 묶여서 졸업하는 경우가 절대다수라 그렇지.

2024.01.26

무기촉매쪽은 전망이 어떤가요?
곧 졸업예정자 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