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간 네트워킹

재빠른 소크라테스*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11.28

19

1901

인간관계 네트워킹이 중요해야되는 이유와
중요하게 작용되고 있는 현실 이유가 도대체 뭐임
그러려면 힘있는 사람과 친분 쌓아야 하는데 이런 정치판이 왜 좋은거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3.11.28

여긴 인간관계 파탄자들만 모여있나? 왜 이딴 글들 계속 올라오지? 인간관계 맺기 싫으면 산속에 처박혀 사세요.

대댓글 6개

재빠른 소크라테스작성자*

2023.11.28

이해안가니까 그러지 ㅋㅋ
인간관계 맺기 싫은게 아니라 왜 누구랑 친하다는 이유만으로 어드밴티지가 큰건 불공평하자나
미국도 채용 할때 추천 제도 많이 한다 하는데 그게 왜 좋은지 모르겠다는건데
그리고 인간관계 없이 산속에 처박혀 산다 한들 그게 왜 패널티 받을 일임?
재빠른 소크라테스작성자*

2023.11.28

산속ㅇ에서 지원해도 공평한 평가 받아야 되는거 아님?

2023.11.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취직이고 연구실이고 같이 지낼사람 뽑는건데 인간관계가 제일 중요하지.
그사람이 일 잘하고 못하고는 일단 걔가 같이 지내기 불쾌한색기가 아닐때 얘기임.

그리고 한 사람 평가하려면 서류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고 몇달 몇년은 봐야하는데, 그건 현실적으로 불가능.
가능한 방법중에 제일 좋은 방법이 본인이 잘 아는 사람(아니면 보증 서줄 수 있는 연구자 레벨 높은 사람)이 추천해준 사람 받는거지.
이게 왜 이해가 안감?
재빠른 소크라테스작성자*

2023.11.28

다양성 중요하다 하는데 그렇게 하는게 다양성 인가? 사람 대놓고 가려받는거자나.
평생 같이 살아도 모르는게 사람인데 사람을 몇년이건 몇시간이건 서류 한장이건 그걸로 평가하려는거 자체가 말이 안되는거고
최대한 모두에게 같은 기회를 주는게 먼저여야 되는거 아니야?
재빠른 소크라테스작성자*

2023.11.28

100명애게 욕먹는 한명이 있다고 했을때 100명이 틀리고 그 한명이 맞을 수도 있는거잖아
털털한 리처드 파인만*

2023.11.28

그럼 혼자 산속에 박혀서 하고 싶은일 하세요

대담한 아이작 뉴턴*

2023.11.28

학계에서 일을 하다보면 누군가를 추천해야할 상황이 종종 발생함
근데 이런일이 발생할 때마다 지원자를 받고 일일이 심사를 하는 건 불가능
그럴 때, 나의 인적네트워크상에서 해당일을 가장 잘 할만한 사람을 추천하는 경우가 대다수

능력이 안되는데 추천하는건 문제지만 그 외의 경우엔 효율적인 방법임.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는건 미국도 마찬가지고

대댓글 3개

대담한 아이작 뉴턴*

2023.11.28

본문에 걱정하는바에 대해 첨언하면,

힘있는 사람과 단순하게 친분있다고 인적네트워크의 파워가 발휘되는건 아님.

본인이 능력이 있을 때만 인적네트워크가 시너지가 나는거지

물론 현실에선 불합리한 일도 발생할 확률도 있겠지만, 그럼 그런 불합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야지 인적 네트워크 자체를 부정하는건 옳바른 사고가 아님
재빠른 소크라테스작성자*

2023.11.28

지원자 받고 심사하는게 불가능 하다는건 인정할 수 없음.
하려면 얼마든지 할 수 있는데 안하는거라 생각함.
추천 제도는 가장 안정적으로 사람을 뽑기 위함 + 정치적인 이유 이게 전부 일듯한데
아무리 능력 좋은 사람을 추천한다 해도 그게 지원자 받아서 심사하고 뽑는거랑 비교해서 특별히 좋은 이유는 아직 모르겠음.
추천 제도에서 좋은 사람은 추천하는 사람, 추천 받는 사람, 추천 받는 사람을 받는 사람 이렇게 3명+그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람들 끼리만 좋은 거 같음
대담한 아이작 뉴턴*

2023.11.28

네 똑똑하십니다. 부디 현재의 생각을 꺾지 마시고 그대로 쭉 남은 여생 사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2023.11.28

님 같이 살 룸메 고른다고 생각해봐요. 고를 수 있다는 가정하에, 주변에 어떤 사람인지 물어보기도하고, 평가가 안좋으면 거를거고. 산속에서만 살던 사람이면 룸메로 고르겠어요? 100명중 99명이 이상하다고 하는 사람이면?

2023.11.28

박사과정이면 졸업하고 나서 더더욱 교수님 선배들 도움이 얼마나 중요하고 필요한지 잘 알 텐데

2023.11.28

너같은 사람 안뽑으려고 ㅇㅇ. 같이 일 재밌게 해볼라고 데리고 왔는데 이런 소리나 해봐 갑분싸되지 ㄹㅇ

IF : 2

2023.11.28

사적인 친분과 공적인 학계활동을 통한 네트워킹을 구분 못해서 착각하고 있는듯

학계 생태계를 겪어보면 알겠지만, 사람들 안만나고 혼자서 연구 잘해서는 한계가 뚜렷함.
물론 혼자 단독저자로 NSC를 낼 정도 역량이 되면 혼자해도 됨... 근데 그 NSC도 이너서클이 있어서 처음 진입할때 엄청나게 고생함
만약 학생때 고생안하고 썼다면, 이미 지도교수의 네트워킹이 잘 만들어졌기 때문에 덕을 본것

내가 연구를 아무리 잘해도 홍보를 못하면 인정받기 어려움.
저널 몇편 썼다고 그걸 몇명이나 보는지 생각해보면 답은 나옴. 매일 매일 새로운 논문이 쏟아지는데 사람들이 그걸 다 볼 수 없음. 나와 같은 세부주제를 연구하는 경쟁자 입장의 일부만 나를 겨우 알지 그 외에는 모름
그래서 내가 연구하고 개발한 방법이 좋다고 학회 다니면서 교류하고 홍보해서 알려야 함. 그래야 사람들이 내 연구를 인지하고 논문 제목이라도 한번 더 찾아봄
그렇게 해서 한번이라도 내 논문 읽어봐줘야지 논문을 인용도 하고, 내 방법을 이용한 연구도 하게 됨
이런 과정을 거치다보면 자연스럽게 네트워킹이 되고 내 이름이 알려지면서 학자로써 성장하는거임

만약 홍보가 안되어있다면, 내가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도 리뷰어들이 의심을 많이하고 더 까다롭게 굼
같은 연구를 해도 신뢰를 얻기 위해 훨씬 많은 노력을 해야함.
애초에 안유명한 사람 연구는 리뷰도 안하고 싶어하고 읽어보지도 않음.
우리가 중국 본토에서 쏟아져 나오는 논문 보듯이 한다고 생각하면 편함

이건 분명 정치질하고 다름. 참고로 학계에서 어디 보직자들하고 친해봤자 학자로써 성공하는데 큰 도움 안됨... 같은 대학내에서 보직자로 올라가는거면 모를까 별 도움 안됨
활기찬 유클리드*

2023.11.28

혼자 살고 일해도 상관없는 직업을 가지면 괜찮은데.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에 별 수 없음. 친한 사람 있고 안 친한 사람 있는게 일터에서도 적용되는거지 뭐.

2023.11.28

나와보시면 알겠지만, 다들 '본인 경험'을 통해서 똘망똘망하고 일만 잘하는사람 뽑아놨는데, 같이 일하기 싫은 상황들을 경험합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능력보다 중요한게 같이 일하고싶은 사람이라는걸 알게되는거죠.
본인은 능력만으로 인정받고싶고, 마이웨이로 살겠다면 말리는사람은 없습니다.

2023.11.28

그레고리 페렐만?

2023.11.28

함께 '일 할' 사람 < '함께' 일 할 사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