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네이처지 포함 저널 게재되는 딥러닝 관련 연구는 퀄리티가 매우 낮습니다.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4.06.25

49

11971

당연히 TPAMI이나 PMLR, PNAS같은 저널은 컨퍼런스를 먼저 거치는 등 특수 케이스니까 차치하고서라도

Detecting hallucinations in large language models using semantic entropy

이 논문 구글에 검색하면 네이처지 본지에 게재된걸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이 논문에서 다루는 메인 메소드 피겨가 이래요

이게 어떤 의미인지 딥러닝 공부하시는분들은 아실겁니다.
이게 '네이처 본지' 에 올라오는 딥러닝 관련 연구에요.
저널이고 네이처 vs cvpr 어쩌고 하는 말싸움이 의미가 없는게, 서로 다른 필드이고 아예 다른 접근이기 때문에 그런겁니다.
물론 딥러닝 필드에서는 저널 실적을 거의 인정하지 않는건 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9개

2024.06.25

이런 얘기하는 애들 특:
네이처 본지에 페이퍼 써본적 없음.

대댓글 1개

2024.06.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니.... 글을 읽어요 좀 제발
피겨에 있는거 영어라서 못읽어요?

2024.06.25

보르헤스님, Nature 본지인데 어련히 리뷰어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잘 답변했으니 실렸겠죠.

딥러닝을 주전공하는 님 눈에는 저 피겨나, 다른 셋이 별로로 보일지언정 저 논문에서 다른 무언가의 '팩터'가 Nature 저널에 부합하고 Novelty를 가지니까 리뷰어와 에디터를 통과한 것 아니겠습니까?

가령 딥러닝 주전공인 분들이, 의료용 MRI 데이터를 학습 시켜서 환상적인 모델을 만들었다고 칩시다. 거기에 의학/의공학 전공자가 와서 MRI 왜 이딴 식으로 찍었냐고 뭐라하는 꼴 아닙니까?

Peer-review가 분명 역기능도 있고, 제대로 그 역할을 못할 때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적어도 학계에 있는 이상, 그 순기능을 강조하고 이어나가며 역기능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Peer-review를 모두 통과하고, 학계의 정점에 있는 Nature 본지를 이런 식으로 비방(제목처럼)하는 게 의미가 뭐가 있습니까?

혹자는 이렇게 말할 겁니다. 보르헤스님께서는 컨퍼런스에 실린 논문 내용과 주제들이 Nature 본지에 실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시나요? 안 실릴 것 같다면, 왜죠? 말씀하신 대로, 본문에 언급하신 Paper보다 딥 러닝 측면에서 더 뛰어난데?

결론은, "저널이고 네이처 vs cvpr 어쩌고 하는 말싸움이 의미가 없는게, 서로 다른 필드이고 아예 다른 접근이기 때문에 그런겁니다." 라고 하신 말씀이 진심이라면, 굳이 "네이처지 포함 저널 게재되는 딥러닝 관련 연구는 퀄리티가 매우 낮습니다." 이런 글보다는, 딥러닝 측면에서 퀄이 낮아도 Nature 본지에 실렸는데 어떤 점이 더 나았을까? 라는 접근을 하시는 게 어떨까,, 하는 생각입니다.

대댓글 5개

2024.06.25

우문현답 GOAT

2024.06.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chatgpt라도 쓰셨나요? 문단 하나하나 어처구니가 없네요.
1. 어련히 잘 한게 아니라 못했다니까요?
2. 그럼 팩터나 노벨티를 얘기해주시죠. 제가 쓴 글이 맞는지 틀린지도 모르는데 아묻따 네이처니까 좋은논문 이런겁니까?
3. 딥마인드에서 알파폴드 내놓을때 딥러닝 하는 사람들은 아무말 안했습니다. 그게 트랜스포머 구조 그대로 갖다 쓴거여도 다른 도메인에선 당연히 컨트리뷰션 있으니까요. 근데 llm confabulation 이거는 딥러닝 하던사람들이 파던 분야고 저런식으로 접근하는건 아무 의미 없다는거 5년전 10년전에 다 나온겁니다.
이런 쓸데없는 글 말고 뭔가 좀 알고 팩트에 기반해서 반박을 해야지 이게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할 말인가요? 정치인인줄 알겠네요.

2024.06.25

1. " 어련히 리뷰어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잘 답변했으니 실렸겠죠."를 "어련히 잘한 게 아니라 못했다니까요?"로 받으시는 건 당황스럽네요.
2. 저는 딥러닝 비전공자니, 내용은 모릅니다. 그래서, 대댓글에 맥락을 이야기해 뒀지 않았습니까? "제가 Novelty는 ~~ 이니까, 글쓴이께서 말한 게 틀렸고 저 논문이 좋다"라고 했습니까..?
2.2. '아묻따 네이처니까 좋은 논문'이라시는데, 뭐 굳이 따지자면 맞는 말이죠. 네이쳐 본지가 갖는 위상과 위엄, 그 프로세스에 대한 신뢰를 학계 사람들이 보내지 그럼 누가 보내겠습니까? 최근에 우후죽순 생겨나서 IF가 급격히 높아진 몇몇 저널이라든지... 그런 곳에 대한 이슈는 뭐 나름대로 이해가 가는데, 수십년 전통의 Nature 본지를 이런 식으로 까는 글을 보니까 조금 어이가 없습니다.
3. 뭐 연구 내용이나 그 분야 트렌드는 저는 잘 모르겠고, 애초에 제가 말하는 주제도 아니었습니다.

뭐 더 할 말도 없네요;; Nature 본지를 까는 글을 가져오고는 비판 받으니, 정치인이냐 연구자가 할 말이냐 라고 하시는 모습에 질렸습니다. 굳이 더 대댓글은 안 달겠습니다.

작성자님 말대로, 진짜로 Nature 본지에 실린 논문이 별로라면 지금 대댓글에 단 "딥마인드에서 ~ 나온겁니다" 내용을 본문에 넣고, 디스커션을 하는 본문을 작성하셨어야 했던 건 아닌지요?

다짜고짜, Nature 포함 저널에 실린 딥러닝은 별로임. 이렇게 시작하셔서는,,, 어그로 끌려고 하신 목적이 아니면 뭔지..;;

2024.06.26

저도 해당분야 전문가가 아니지만, 작성자 지도교수가 저 논문보고 작성자분처럼 똑같이 생각할까요?
분명히 작성자분이 부족해서, 논문에서 전하는 핵심내용을 파악못하고, 대충 훑어본다음에 이거 5년전에 나온거야~ 하면서 평가절하하는게 웃기다고 생각하지 않나요?
학회지에 비해서, 탑저널들은 정말 검증된 리뷰어한테만 리뷰요청이 갑니다. 저는 본지근처에도 못가봤고 자매지 및 냇컴에만 내봤지만 이정도 저널만되도 에디터가 분야에서 검증된 전문가한테 리뷰가 갑니다. 에디터 프리스크리닝도 사실 통과하기 정말 어렵기도 하고요.
그런 상황에서 해봤자 학회 한두편써보신 학생분께서 수준낮아~ 라고 할수있을까요?
물론 대가랩에서 나온 연구면 수월하게 통과하는경우는 있지만, 그게 본지에서도 쉽게 통하지는 않습니다.
아직 학생신분이시면 특히나 더 겸손하세요. 글쓴이분의 수준에 맞춰서 비유법으로 말씀드리면 초등학생 축구팀에서 뛰는 학생이 EPL보면서 저선수보다 내가 더 잘한다고 말하는거랑 상당히 유사한 수준입니다.

2024.06.26

그리고 솔직히 학계 어느곳에 가서 물어보세요. CVPR과 본지에 낼수있는 환경이면 누가 CVPR에 냅니까?
저도 저널베이스인 곳에서 연구해오고, 탑스쿨 포닥은 EECS쪽이라서 학회베이스인곳으로 옮겼지만, 그 누구도 저널에 대해서 평가절하하지 않습니다. 저는 러닝은 아니지만 최근 옆랩 대가랩에서 nat machine intel.에 하나 냈는데 주변 모든 연구진들이 축하해주고 부러워하고 있어요.
특히나 본지논문 보고 수준낮다고 하는말은 좀 상당히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파스칼님이 말씀하신것처럼 본인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과연 "저널vs학회의 비교가 무의미하다"인지, 혹은 "학회가 저널보다 수준높다"인지 스스로 잘 생각해보세요. 누가봐도 후자로 보입니다. ㅎㅎ

2024.06.25

학문 하시는 분이면 아실텐데 Nature, TPAMI, CVPR를 막론하고 비율의 차이일 뿐이지 허접한 논문은 어느 학술지에나 존재합니다. 한 케이스만 가지고 결론을 내리시는 것도 합리적이진 않아요.

대댓글 1개

2024.06.27

여튼 허접한 논문은 맞다. 이네요.

2024.06.25

그렇게 물고빠는 학회들은 허접한게 없나?

2024.06.25

글쓴이가 네이처에 나온거 별거 아니라니까 님이 먼저 네이처에 내고나서 말하쇼. 명문대 못간 사람이 명문대 나와봤자 의미없더라 같은 소리 그만하시고.

2024.06.25

아득바득 탑저널써도 cs 만큼 주목못받아서 꼴받은 놈들 vs 지들이세상의 중심인줄하는 컴하하들 그냥 수준높은 싸움수준에 가슴이 웅장해진다

2024.06.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이처인데 이런 허접탱이가 실렸네!'라고 깔 거 없고 그냥 님 스스로의 능력치를 앞으로 차분하게 증명해 나가시면 됩니다.

2024.06.25

논문을 안읽어봤는데 yarin gal 교신이면 검증해서 내지않았을까요 ㅋㅋ 아니면 이름빨로된건가

대댓글 1개

2024.06.26

Yarin Gal 논문들이 솔직히 학문적 깊이는 별로 없지요.

2024.06.25

네이처는 다학제 저널이라 다른 분야 사람들도 읽을 수 있게 써야 해요. TPAMI같은 곳하고도 저널 편집 방향이 또 다릅니다. TPAMI는 특정 주제를 다루는 전문지에 속합니다.

내용은 모르겠는데 저 figure도 그런 관점에서 만들어진 figure 일거에요. 반대로 전문지나 cs컨퍼런스 스타일로 그림 그려서 네이처에 내면 그것 때문에 리젝받을수도 있어요.

교신저자 찾아보니 AI 탑 컨퍼런스에 논문 많이 냈고 특히 "Dropout as a Bayesian approximation" 논문 1저자네요. Citation이 10000개 넘는거 봐서는 dropout으로 베이지안 모사하는 방법을 최초 제안한 논문 같습니다. 이게 베이지안 딥러닝의 필수요소 중 하나인 걸로 알고 있는데 이 정도면 딥러닝 연구하는 사람은 대부분 아는 업적을 남긴 사람 아닌가요?

그런 저자가 굳이 컨퍼런스랑 다른 방식으로 figure 그린 것에는 이유가 있지 않겠습니까?

네이처는 워낙 wiriting이 까다로워서 네이처에 출판 가능하게 논문을 writing 하는 과정 자체가 학자로서 한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그러니 차라리 왜 저렇게 그림을 그랬을 까 생각해 보세요.

2024.06.25


참고로 네이처는 전문지나 컨퍼런스 같은 디테일한 내용은 뒤쪽으로 빼고, 앞쪽에는 네이처를 읽는 독자들이 읽을 수 있게 편집합니다. 앞부분은 딥러닝 전문가가 아닌 사람도 읽을수 있게 적어야 해요. 저 그림도 앞부분이고요.
Pdf다운 받아보면 method 부문은 형식부터 다른 방식으로 적힌 걸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뒤쪽으로 빠진 것 중 method섹션 외에 supplementary ... 나 Extended ... 는 아예 다른 pdf로 있으니 따로 다운 받아야 해요. 웹페이지에서 Reference 밑에 보면 링크 있을 겁니다. 처음 읽은 사람은 그게 있는 줄 아예 모르는 경우도 있죠.

대댓글 2개

2024.06.25

이게 맞음

2024.06.26

supplementary information도 모르면 논문 아예 안읽은건데...

2024.06.25

최근 1년간 본 글 중에 제일 얼척없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2024.06.25

Yarin Gal 누군지 모름?
온화한 소크라테스*

2024.06.25

책한권만읽은 케이스. 지가아는게 전부인줄아는 우물안 개구리ㅋㅋㅋㅋㅋ

IF : 1

2024.06.25

걍 피인용 얼마나 되는지 보면 답 나와요. 보르헤스님이 쓴 cvpr은 5년 후에도 피인용 10따리일거고 저 네이처 논문은 500일거에요.

2024.06.25

글쓴이 안쪽팔리냐? 인용수 100도 못넘겨본사람이 10000명 넘은 사람 논문을 딴지거네 ㅋㅋㅋㅋㅋ 저런것도 학자라고... 우물안에 개구리쉑

2024.06.25

https://www.nature.com/articles/nature20101

이 논문 보고 느낀 점 써봐.

대댓글 1개

2024.06.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ㅇㅋ 2017년 트랜스포머 구조 나오기 전에 이런거 제안한게 대단한거고, badanau attention하고 거의 비슷하지만 다양한 application 보여준다는점에서 기존의 네이처 페이퍼 위상으로 존중할만함. 컨트리뷰션은 당연히 application 만으로도 생기는거고
근데 내가 위에서 말하지않았나? confabulation같은 지극히도 옛날부터 페이퍼 잔뜩 쏟아져나오는걸로 conformal prediction 말도안되는거 모방해놓고 컨트리뷰션이 있답시고 나오는게 말이 안된다고?

2024.06.25

말씀하신 딥러닝 공부한 현직 교수입니다. 본인글에 및 본인 댓글에 달린 '별로에요' 체크의 개수 및 다른분들의 댓글 그리고 거기에 달린 많은 '댓글추천' 체크의 개수 보시면서, 본인의 생각과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 많이 다르구나 라는 것을 인지하시고 그 생각을 다시한번 돌아보실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대댓글 2개

2024.06.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에휴 님이 걍 어그로였으면 좋겠네요
진짜 교수라면, llm판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만한 사람이 저 논문 어떤점이 문제인지 하나도 캐치 못하면서 이런소리나 하고 있는거 쪽팔린줄 아세요. r&d 예산 축소 괜히 당한거 아닙니다.

2024.06.26

아이고 네네 죄송합니다;; 저는 그냥 의견이 많이 다른것 같으니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말씀드린 것 뿐인데 별의별 소리를 다듣네요. 안쪽팔리게 학회논문 더 많이 쓰겠습니다. ㅎㅎ

2024.06.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피겨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는 사람이면 개추 ㅋㅋㅋ

대댓글 2개

2024.06.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가 문제인지 모르는데 이런 댓글은 왜 다는거?
내가 뭐 여기서 댓글 몇개 달린다고 부끄러워서 숨고 그럴줄 아나? 김박사넷 활동하는 애들은 대부분 멍청하고 타분야 이해하려는 노력도 없는애들 커뮤로 알지
아니 그래서 ~~를 보아하니 컨트리뷰션은 ~~이고 전혀 문제가 아닌데 왜 이게 문제인지 라도 물어나 보던가. 좀 당당히 붙으면 안됨? 자기 지적 수준 탄로나는게 그렇게나 두려움?

2024.06.26

작성자분 그럼 숨지말고 오픈카톡 만들어보세요.
저는 박사학위자에 학계에 있고 퍼블리케이션 레코드 오픈하는거에 대해서 꽤나 떳떳한데, 작성자분처럼 '멍청하지 않고 타분야 이해하려고 하는 노력을 하는 사람'이 어떤수준이신지 조금은 궁금하네요.
혹여나 본인 지적수준이 탄로나는게 두려우시지 않으시면 말이에요.

2024.06.26

이사람 펍리스트 보고싶네 ㅋㅋ

2024.06.26

병먹금

2024.06.26

인공지능 분야 논문은 보통 실험결과와 코드와 모델 공개되어 대중에게 실험으로 증명되고 동의를 얻어야 지지를 받지 안나요

저도 어느 AI 논문이든 재현이 되어야 믿습니다 논문결과에 쓰인 데이터가 현실에 비해 많이 부족한 경우도 있어서 sota라 해도 실제 대부분 갈길이 아직 멀구나 싶더군요

그러나 결론은 논문이란 리뷰어가 어떤 측면에서 평가를 주었고 해당 분야에 실질적 기여를 했는가 입니다 내 관점에서 그렇다 아니다는 그저 객관적으로 봐야하고 이 논문이 향후 해당 분야의 발전에 편견을 깨고 좋은 영향를 줄 수 있다면 좋은 논문이라 생각해요
건강한 유클리드*

2024.06.26

병신 ㅋㅋ

2024.06.26

작성자 생각) 딥마인드는 수준 떨어지는 곳이에요. 항상 네이처에 내더라고요. Ai에서 네이처내면 순준 낮은건데 ㅋ

2024.06.26

글쓴이는 네이처 사이언스 같은 다학제 저널이 존재하는 이유와 어떤 논문들이 그런 저널이 퍼블리쉬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전무한듯 ㅋㅋ

대댓글 1개

2024.06.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이처 리뷰에 딥러닝 논문 올라온건 피겨도 예술 그 자체고 글도 굉장히 잘 썼음. 네이처 리뷰라는 타이틀에 정말 부합하는 내용임
근데 네이처 본지에 이딴게 올라오면 안되지

2024.06.26

ㅋㅋ개구리수준..

2024.06.26

김박사넷 클라스ㅎㅎ 옥스포드 Yarin Gal 교수를 후려 패네... 베이지안 뉴럴 네트워크이 좀 마이너한 분야이긴 해도 뭐 논문에 대한 비판은 각자의 자유니 ㅎㅎ

2024.06.26

근데 글쓴이의 자신감이 부러울때가 있어요.. 전 자신감이라는 게 사라져서.. 작성자님이 논문과 인용수 쌓아나가고 업계 경력 10년쯤 되서도 이렇게 글을 쓸 수 있다면 어떤 의미로든 대단하다고 인정해드릴 수 있습니다

2024.06.26

석박사 통합과정 1~2년차 수준 글과 댓글 잘보고 갑니다 이참에 반성하고 열심히 하세요

2024.06.26

몇년 뒤에 딥러닝 학회 말고 다른 저널의 연구들은 의미없다고 주장할 딥러닝 키즈들이 엄청나게 쏟아지겠군요...

2024.06.26

게이야 저 figure가 뭐가 문젠지 제대로 말도 안하고 후려치기만 하누... 대학원생 맞냐?

2024.06.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58832

2024.08.27

다른 건 모르겠고 PNAS는 컨퍼런스 프로시딩 아닙니다 컨퍼런스 안 거쳐요 ㅋㅋ

2025.01.19

피겨 뭐가 문제인지 제발 알려줘...
본인도 모르면서 괜히 난리치는걸로 밖에 안보인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