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수가 높으면 다른 머신러닝 모델보다 훨씬 성능이 좋은건 이미 확실하고, 아직도 새롭게 응용할 분야는 많지. 근데 거품이라는 부분은 실제 산업에서 얼마나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인력을 대체할까 했을때 의외로 인풋대비 생각보다 아웃풋이 적을 수 있다는 의견인거지. 연구용으로서가 아니라 cash cow로서의 딥러닝은 의외로 제한적일 수 있어. 돈은 신약개발급으로 들어가도 벌어들이는 돈은 그것보다 훨씬 적을 수 있다는거
2024.10.10
해당분야가 잘나가든 안나가든 뭐가 중요한지 모르겠다. 글쓴이 본인이 잘나가는 분야에서 실적, 실력 없으면 무슨 소용일까ㅋㅋ 자기분야가 인기있으면 자동으로 자기도 인정받는다는 착각에 빠져있는거 같네ㅋㅋ
2024.10.10
어차피 딥러닝은 평생 갈 분야임 매수고 매도가라니라
2024.10.11
거품이라고 했던 애들이 거품이였던거지
2024.10.11
거품이 아니라고 말할수는 없지만 여전히 성장 가능성은 있다고 봄 거품이 빠지면 예전만 못할뿐이지...
2024.10.11
인공지능 산업이 거품이라고들 하는데 정신들이 있는건지. 곧 꺼져가는 기술이라고 하는 넘들 있던데. 이제 시작임. 인공지능은 이제 시작이다. 거품이 꺼지면 몇개 기업만 살아남아 운영됨. 근데 솔직히 인공지능 빅테크 몇개없음. 미국 빅테크만 살아남을듯. 거품 꺼지면 국내 네이버 카카오가 어려워질지도.
2024.10.15
거품 맞음 근데 거품 꺼져도 괜찮음
2024.10.15
거품이라고 하는게 결국 국내엔 관련 인력이 소수만 필요해서 그럴듯, 요새 전공자들 취업하는거 보면 지원자는 많고 자리는 없음
2024.10.16
인공지능 자체가 더 발전할 수 있을까는 고민이 되긴 하죠. 현재 Chat GPT가 혁신의 아이콘인 것은 맞는데, 지금 하드웨의 개발들이 모두 Transformer 연산에 특화되어 있어서 그 이상의 Advanced 알고리즘이 나올지는 미지수임. 설령 나오더라도 압도적이지 않으면, 현 상황(관성)을 벗어나기 쉽지가 않을 듯 하드웨어 관점에싀
그러면, 알고리즘 개발보단 적용성으로 나아간다면 AI 핵심인력들이 필요할 뿐 곁다리로 배운 인력들에 대한 수요는 점점 줄어드는 방향으로 될 가능성이 큼. 산업에서 AI에 대한 포션이 커져도 Key 연구자/개발자들만 생존하는 측면에서 거품이 꺼진다는 의미일듯.
2024.10.10
2024.10.10
2024.10.10
2024.10.10
2024.10.10
2024.10.11
2024.10.11
2024.10.11
2024.10.15
2024.10.15
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