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 건국 라인 학점4.1입니다. 석사는 자대 로보틱스 랩에서 IROS 1저자 1편 쓰면 카네기 멜런 수준의 미국 대학 박사과정 가능성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11.20
어느 로보틱스 랩으로 가는지도 중요하겠고, 본인 차별성이 어느정도인지도 중요하겠죠. 분야에 따라서 IROS/ICRA 한편이 대단한 실적일수도, 혹은 그저그런 실적일수도 있습니다. 저는 전통로보틱스는 아니고 soft electronics 관련연구를 했는데, 저희랩은 대체로 석사과정때 IROS/ICRA 한편씩은 종종 씁니다. 제가 석사~박사과정동안 자매지도 썼지만, 학회기준으로만 보면 IROS/ICRA/CHI만 주저자로 5편 썼는데, 우리랩에서 독보적인 느낌은 전혀 아니였어요.. 그만큼 분야에 따라서 IROS/ICRA는 어샙률 40%대로 엄청난 실적이라 보기는 애매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옆에 4족보행이나 웨어러블 로봇하는 랩들은 박사과정중에 ICRA/IROS 한편에 TMECH 한편만써도 매우 훌륭하다는 평 받아요. 한번 도전은 해보시길 바라지만, 생각보다 해외대학에서 바라보는 기준은 높을수도 있습니다. CMU는 순수 로보틱스보다 사실 Majidi가 떠오르긴한데, 거기랩 갈 수준이면 상당해야 합니다. 로보틱스 분야로 CMU간사람은 서울대 출신으로 한명아는데, 학부때 Science robotics 쓰고 갔었습니다. 그정도로 탑10은 경쟁력이 꽤나있어야된다고 생각해요. 남은기간 좀더 경쟁력 다듬어서 꼭 가고싶은곳 가시길 바랍니다.
2023.11.20
대댓글 4개
2023.11.20
대댓글 1개
2023.11.20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