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인의 연구 재능에 대해서 깨닫는 시기는 언제를 마지노선으로 잡는게 맞을까요?

2023.10.10

9

2766

1학기는 연구실 분위기, 연구 테크닉 에 대해서 적응하는 기간이라고 생각하고, 연구를 잘하는 사람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시기는 언제가 적절한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10.10

3년은 해봐야 알음
조용한 아인슈타인*

2023.10.10

본좌는 4년차에 깨달았도다

2023.10.10

석사는 그냥 문제없이 지나가는게 보통인가요?

대댓글 1개

얌전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3.10.11

ㅇㅇ 그래서 농담으로 박사 받은 사람들 고문하고 싶으면 그 사람들 석사 졸업논문 들고 와서 앞에서 낭독하면 된다고 그러죠

제대로 된 연구 역량은 지도교수의 지도 없이 혼자 스스로 주제 선정부터 논문 방향, 라이팅 이걸 다 할 수 있을 때 보여줄 수 있죠

2023.10.10

논문 한개 쓸때까지

2023.10.11

사람마다 다 달라서 시간적 기준보다는 스스로 뭔가를 하는 능력이 없으면 재능이 없는거죠. 주제를 지도교수가 계속 던져 줘야하고 떠먹여주지 않으면 아무것도 못하는 친구보다는 오래걸리더라도 스스로 정한 주제로 스스로 분투하는 친구들이 더 낫죠 오래 걸리더라도 주변에서 압박없이 믿어주면 언젠간 포텐이 터질겁니다.

2023.10.11

4년차였슴다

2023.10.11

아무리 빨라도 통합 3-4년차고, 박사는 받아봐야 감이 잡힙니다.

2023.10.12

박사과정 중에 하루밤에 드래프트써서 그다음날 서밋하고 괜찮은저널에서 어셉됫을때... ㅋㅋ
졸업하고는 실험은 거의 손떼고 있었는데 포닥 3년쯤 되니까 이런저런 이론 데이터가 머리속에서 딱 정리가되고 인사이트가 생기는게 있네요. 실험굴릴 박사과정애들 꼬셔서 굴리는중 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