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spk: 일단 두뇌회전은 좋을거고 고등학교때 노력도 많이 했네.연구 능력도 좋을것 같은데 한번 봐볼까? 이렇게 되는거고
대학원만 spk: 학부때 학점 열심히 따고 논문 실적, 스펙 열심히 쌓았나보다. 열정하고 끈기는 있을 것 같네. 정도의 기대감
이렇게 어느 정도 긍정적인 인상, 기대감을 줄 수 있는건 맞는데 결국 그 사람하고 연구 관련해서 디스커션도 해보고 논문 실적 살펴보고 발표도 들어보고 해야 비로소 이 사람의 연구 능력을 알 수 있음. 즉 포장지 까봐야 안다는 것임.
우리 랩에도 자대생 꽤 있고 지거국에서 온 분들도 있는데 부경라인에서 오신 분 얘기해보면 실험 설계도 잘하고 코딩 능력도 좋아서 나보다 똑똑하다고 느껴지고 이런 사람들을 한명, 두명 만나다보면 여기와서 하기 나름이구나 느끼게됨.
그래서 결론은 학벌이 중요한 평가 지표가 되는건 맞으니 의미 있지만 개인의 능력은 연구실에서 하기에 달렸으니 우리 능력을 쌓는데만 집중하자.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4.10.26
반대로 학부가 처음 들어보는 지사립대면 인상이.. 말을 아끼겠습니다
대댓글 3개
2024.10.26
인상.. 그렇게 되는건 어쩔 수 없고 본인이 연구실 와서 뒤집으려고 노력하는수 밖에 없죠. 그래서 학부가 중요한건 인정합니다.
2024.10.26
말을 아낄 필요가 있나요?
2024.10.26
중립기어 박는척하면서 학벌 강조하려는거죠..
2024.10.26
경험상, 학부 spk는 맞고 대학원 spk는 틀리네요. 특히 박사라면 대학원이 spk인지 어디 지방 사립인지 뭔지 관심도 영향도 거의 없습니다. 지도교수가 대가가 아닌 이상에야..
대댓글 3개
2024.10.26
??경험 해보신거 맞나요
2024.10.26
흄님, 희망사항은 접어두고 현실을 보세요.
2024.10.31
요즘은 너도나도 spk라서 저도 대학원 spk로 좋은인상까지는 조금...오히려 아니면 마이너스인 느낌이고 좋은인상까지 가려면 미박은 나와야 기대를 하게 되는거 같은
2024.10.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부분 동의함. 부경라인 대학교 출신들이 이상하리만큼 졸업생 규모가 많아서 그런지, 아니면 진짜 각 학교 에이스들만 SPK로 진학해서 그런지. 비슷한급 대학교 혹은 인서울 중상위권 대학 출신들보다 훨씬 잘하는 느낌 자주 받음. 그냥 단순히 느낌이라고 하기엔 저런 현상을 보이는 표본이 매우 많음.
대댓글 1개
2024.10.28
부경라인이 뭔지 모르겠지만 지거국 이야기면 별로 그언 표본 못봤습니다. ist라면 모를까
2024.10.26
ㄹㅇ 부산경북은 다르긴함.가끔인데 왜 얘가 부산경북 갔지 싶을정도로 진짜 잘하는 애들 있음.
2024.10.27
아무튼 중요한건 학벌은 어떤 사람을 사영시킨 이미지라는거죠. 한눈에 어느정도 근사를 할 수는 있지만 개인을 좀 더 심도있게 관찰할 수 있다면 굳이 의존할 필요 없는 지표 정도로 생각하면 좋을거같아요.
2024.10.27
본문 말고 댓글보고 하는 얘기지만 고등학생 때 성적으로 포텐을 다 보려는게 더 멍청한 듯.
얘가 왜 부산 경북갔지? 라는 관점보다 그만큼 부산 경북이 교육을 잘 하는구나 라는 관점도 필요한거고 생각보다 인서울 중상위는 교육의 질이 떨어질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해야하는거임.
대학에서 교육시켜서 지금 님들이 만나는 그 사람들을 만들어낸건데 대학 교육을 볼 생각은 안하고 수능 입시 성적만 계속 생각하려는게 안타까움.
그러면 대학에서 공부는 왜하고 교육은 왜받았나 그냥 수능 성적으로 줄세워서 연구도 시키지
대댓글 3개
2024.10.27
실제로 수능성적으로 줄세워서 연구합니다. 서울대, 카이스트 인기랩실은 특정 학부이하 학생을 선발 하지않는곳이 많아요
2024.10.3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가듯 관성대로 사는게 80% 이상이니 과거 퍼포먼스로 평가하는게 지극히 합리적인 선택이죠. 20%중에서도 옥석이 있겠구나 라고 접근하는 마인드면 연구는 어떻게 하시나요?
2024.11.09
수능 못봐서 잡대 가셨나..
2024.10.27
학벌이 기대치나 포텐을 보여준다면, 연구실에서는 그 기대치를 얼마나 끌어올리느냐가 관건이겠네
2024.10.27
학벌이 능력을 보여주는 게 아니라 평가 지표라는 게 맞는 듯 해요. 그걸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중요하겠죠
2024.10.27
학벌이 기대치나 포텐을 보여준다는 건 동의하는데 그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너무 많아서..
2024.10.26
대댓글 3개
2024.10.26
2024.10.26
2024.10.26
2024.10.26
대댓글 3개
2024.10.26
2024.10.26
2024.10.31
2024.10.26
대댓글 1개
2024.10.28
2024.10.26
2024.10.27
2024.10.27
대댓글 3개
2024.10.27
2024.10.31
2024.11.09
2024.10.27
2024.10.27
2024.10.27
2024.10.27
대댓글 1개
2024.10.31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