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Impact factor는 몇 이상이면 좋은 건가요?

2023.08.26

18

7860

안녕하세요. Impact factor가 몇 이상이면 괜찮은 논문을 낸건가요?

10이상이면 괜찮다는 얘기도 있던데 진짜일까요..? 네이쳐는 60이상이던데 얼마나 천상계인걸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침착한 르네 데카르트*

2023.08.26

전공마다 다릅니다

대댓글 1개

2023.08.26

혹시 어떻게 찾아보는지 아시나요?ㅠㅠ 아직 그런 정보를 못 찾고 있습니다
똑똑한 칼 세이건*

2023.08.26

JCR에서 분야별 상위 10프로 인지가 중요

대댓글 4개

2023.08.26

어디서 확인 할 수 있나요?

2023.08.26

JCR사이트군요 감사합니다

2023.08.27

이것도 분야마다 다릅니다. 몇몇 분야에서는 저널의 임팩트팩터가 저널의 수준에 비례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서..

2023.08.28

분야마다 IF나 JCR이 낮아도 좋은논문이 있지만, 솔직히 해당분야 사람 아니면 그걸 어떻게 잘 알겟나요.
한예로 저는 material science 분야가 아니지만, 포닥을 해당분야 대가랩(top5)로 갔었는데 거기랩은 macromolecules (IF 6)을 좋게 보고 그래도 종종 냅니다. 근데 그건 분야사람이 아닌이상, 좋은저널인지 판단하기도 어렵죠.
그래서 그냥 저널에 대해서 아직 잘 모르거나, 잘알아도 분야에 대해서 잘 모르면 IF나 JCR로 분야별로 판단할수밖에 없고, 그정도면 그래도 어느정도는 정리됩니다.

2023.08.27

몇 저널 찾아보시면 분야가 있는데, 그 분야에서 상위 5~10 %이내면 좋은 저널들이죠.

물론 상위 10% 아래여도 좋은 저널들도 많고, 10% 이내여도 리뷰 작업질등으로 올린 저널들도 많지만..

2023.08.27

어느분야던 일단 10넘는 저널 쓰기 매우 힘들고 과제 인센이나 다년차과제 수주받을때 상당히 도움 되고 학교 자체에서도 인센주기도 함.
하지만 분야마다 if와는 별개로 인정받는 정통 저널이있고 jcr자체도 해당 분야에서 if 랭킹 줄세워 둔거라서 jcr상위 10프로 정도면 대충 탑저널이라 부름

대댓글 1개

2023.08.27

네이쳐 사이언스 셀은 단순 학술저널 이상으로 범용적으로 읽히는 저널이라 천상계인건 맞구요

2023.08.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구실 선배들한테 물어보세요...

대댓글 1개

2023.08.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물어볼 사람 없으면 본인분야 연구하는 연구실 탑대학들 포닥 모집 글 보면 가끔 이 저널들에 퍼블리시 된 논문 잇어야 된다 명시되어 있는 경우 잇음. 그게 제일 정확함
귀여운 로버트 후크*

2023.08.27

20 이상이면 확실히 좋습니다

2023.08.27

어느분야든 20이상이면 그 분야 탑이라고 할 수 있고 어느분야든 10이상이면 축구로 치면 EPL수준(세계최고 그룹중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분야에 따라 상위 10퍼 이내임에도 4점대인 분야도 있어요. (Parasitology같은 분야) 일단 10점이상이면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저녈중 하나임은 확실

2023.08.27

Q1 저널이면 일단 낼만한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분야에서 Q1인거 말고 비교적 고르게 좋은 평가 받는?

대댓글 1개

2023.08.27

If는 정말 분야 바이 분야라서 타분야간의 비교는 무의미하긴 합니다

2023.08.27

화공, 재료, 화학 쪽은 2012-2015년 정도 if10이상 내는게 도전적이라고 여겨졌죠.
당시 10 이상이 jacs, nano letters, acs nano, ees, am 정도였어요. aem은 팩터 나오기 전 일꺼고 afm이 7-9정도....nanoscale, nano research, small, jpc let가 6-8, jmc-a, jpc-c가 4-5정도였던걸로....jmc도 그 전에 하나였다가 a,b,c로 분리되면서 a가 디바이스쪽 하면서 올랐죠.
그 당시 10 넘는게 참 도전적이라고 여겨졌고 동일분야로 볼 때 지금은 체감상 20정도 보면 맞을 듯 합니다.
지금 10은 아 괜찮은 sci냈다~하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넷컴, 사이언스 어드벤스, pnas는 if상관없이 am, ees 랑 비슷하게 보면 편할 듯하구요. (다 내기는 어려운데 노선이 다르다는 느낌이죠)

2023.08.28

네이쳐 자매지들 제외하고
나노나 재료 쪽은 acs nano, nanolett, am, afm 정도가 빅가이들 많이 내는 탑저널
에너지면 EES AEM 많이들 내시고
if 상관없이 젝스나 앙게반때는 네이쳐 캐미스트리랑 동급으로 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