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탑저널 기준이 뭔가요?

2025.06.18

5

509

NCS만 탑으로 쳐주는건지요? 혹은
분야 jcr 10%, 5% 논문도 탑급이라고 부르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6.18

좋은 저널 = 우수한 peer review

2025.06.18

해당분야 JCR 상위5% 혹은 분야 1-2등 저널

2025.06.18

개인적으로 NCS는 그냥 NCS 및 자매지로 말하고 그 외 분야별 탑저널을 탑급이라고 말합니다 (중국발이 아닌)
올해 JCR을 훑어보니 준수한 저널들도 10% 밖으로 나간것들이 보여서 이제는 10% 이내면 꽤 좋은 저널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5% 이내면 일반적으로는 탑급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5%가 아니더라도 PRL, JACS, NC, SA / ACS nano, Acta Mater 정도까지는 탑급이라는 말을 들었을때 큰 거부감이 없는 것 같습니다

2025.06.19

NCS 본지 자매지 제외 분야 카테고리별 전통적으로 유명한 저널 1-2개까지를 보통은 탑이라 해도 무방합니다.

2025.06.19

찰스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JCR로 가려지는부분도 많고, 게재난이도가 훨씬 수월한데도 2% 인곳들도 꽤있습니다.
로봇분야에서 TMECH의 경우 최근 4-5% 정도고, TIE는 2-3%정도 될텐데, 탑저널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어려움이 있죠.
오히려 탑저널이라고 해도 무방한 TRO의 경우에는 10%정도입니다. TMEHC이나 TIE는 로보틱스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도 내는반면, TRO는 로봇분야에만 적용되기때문이죠. npj flexible electronics의 경우도 로봇분야도 종종내는데 여기는 심지어 JCR 1.7% 입니다. 근데 과연 탑저널이라는 인식이 있을까요? 제 주변에서는 전혀 못봤습니다.
JCR이나 IF가 중요하지않다는건 거짓말이겠지만, 분야마다 좋다고 생각하는 저널은 IF와 무관할때가 정말 많습니다.
네이처나 사이언스에서 내는 자매지는 누구나 탑저널이라고 하겠지만(물론 그마저 넷컴/사어는 탑저널이냐 아니냐고 시비가 있지만 개인적으로 탑저널이라고 해도된다고 생각하고요), 그게 아니라 세부분야에서 탑저널에 대한인식은 해당분야 사람들만 알때도 정말 많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