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준비하는 졸업자입니다. 사실 졸업은 이미 했고, 일을 하다가 석사 졸업증이 필요해서 도전하게 되었어요.
지인에게 듣거나 인터넷 검색을 해봐도 교수님들의 논문의 IF를 보라는 말을 들었는데, 학술지에 투고하신 경우가 많더라구요. 이런경우에 IF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어제도 논문 찾아서 읽어보려다가 IF는 안떠서 이게 맞게 검색한건가 싶어서 한참을 고민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5.03.11
IF는 쉽게 이야기하면 해당 학술지에 게재가 됬었을 때 얼마나 많은 피인용을 기대할 수 있는지를 JCR에서 통계낸 지표입니다. JCR사이트에 해당 학술지 명을 검색하시면 해당 학술지의 IF가 몇인지 그 분야에서 몇 %가 되는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JCR에 안 나오면 JCR에서 요구하는 우수 학술지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여 리스트에 못 올라간 학술지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5.03.12
보통 저널 이름 뒤에 impact factor라고 구글에 검색하면 바로 나와요. JCR 사이트에서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하긴 한데, 학교에서 접속해야 무료로 볼 수 있어요. 아니면 SCImago 같은 사이트도 편하게 볼 수 있으니까 참고해보세요.
2025.03.13
JCR에서 확인하는게 제일 좋지만 보통 IF만 검색할때는 구글에 Web of Science 저널이름 같이 검색하면 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2025.03.11
2025.03.12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