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이 최대한 스스로 읽고 사고하라고 하셔서 지피티 없이 읽으려다가..40페이지가 넘는데 결국 지피티로 분석했는데도 한번애 이해하기 어렵더라고요... 그리고 원본을 스스로 읽긴 해야할 것 같은데... 긴 논문을 요약 없이 딱 번역만 해주는 툴 있나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9.05
deepL쓰신다고 알고 계시는데 전박적으로 영어 논문 읽는 법. 툴 사용법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2025.09.05
배우는 단계에선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요령피우지말고 직접 읽고 실험용어 찾아가면서 읽으세요. 배경지식이 쌓이다 보면 읽는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나중엔 피겨만 보고도 무슨 내용인지 대충 다 파악이 됩니다. 그정도 됐을때 ai요약 툴 쓰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처음부터 요약 툴 쓰면 논문 읽는스킬 안늡니다. Gpt는 정확도가 안좋은 계산기라고 생각하세요. 수학문제 풀때 배우는단계에서부터 계산기 쓰면서 풀지않잖아요?
대댓글 1개
2025.09.05
앗...그렇군요...알겠습니다 감사합니더!
2025.09.05
개인적인 방법인데 바이오 분야는 이런 식으로 읽으면 그나마 순서대로 읽는 것 보다 빨리 읽을 수 있어요 Abstract (이 실험의 배경 및 왜 했나) - method( 모르는 실험이면 어떤 것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인지 확인, 목적) - conculsion(결론) 및 discussion -result( data- 무슨 뜻인지 모르면 ai로 어떤 것을 보아야 하는지 확인)
결론을 알고 데이터를 보면 그 사람이 왜 했는가, 무엇을 알고자 했는가, 이 사람의 데이터로 도출되는 결론, 의견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데이터를 보면 상대적으로 빨리 읽혀요 저는
물론 논문이란 것이 정론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그저 하나의 의견이자 저자의 주장 이지 그 사람이 부정하지 않았다는 전제로 실수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한 논문을 빨리 읽을 수 있고
다 읽은 다음 레퍼런스를 읽으면 좀더 수월 했습니다 물론 지식이 쌓이면 읽는 게 빠르게 되실 거에요
대댓글 1개
2025.09.05
아..! 역으로 결론을 알고 읽으면 의도가 보이니 잘 읽힌다는거군요!! 좋은 팁 감사합니다!!
2025.09.05
2025.09.05
대댓글 1개
2025.09.05
2025.09.05
대댓글 1개
2025.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