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8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23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30 - 난 주말에 연구하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강제하는건 문제가 있을듯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5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23 - 미국에서 학부 했는데 어떤 학부생이 네이처 본지 1저자로 내기도 함. 비교하면 끝도 없음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7 - 아니 누가 쉬지 말랬나요? 주말에 공부도 안 하고 꼬박꼬박 쉬는 애들은 애초에 학문하고 어울리지 않는다는거지요. 도피성 진학해서 주말마다 노는 애들 괜히 찔려서 튀어나오네.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8 - 중딩급 능력의 박사생은 봤습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25 - 석사가 논문 1편써도 대단 or 믿을까 말까인데 5~6편인데다가 대학도 그리 높지않다면 120% 교수가썼다고 생각할거같네요
석사는 논문보다 학벌이 중요한가요?
9 - 그냥 학계가 회사에비해 힘을 못쓰고있으니까 accept을 줄여서 퀄리티를 높이는것을 포기하고 아예 늘려버려서 돈이나 벌자는 식으로 귀결된거임 걍 수업한번들은 학부생이 대충 베이스라인논문 베끼면 통과하는수준
ACL EMNLP 를 포함한 전반적인 자연어 논문들 퀄리티가 많이 내려간 것 같네요?
11 - 원래 교수라는 것이 다 그런거니까, 이해해줄 수 없나요?
교수도 사람이고 감정이 있습니다.ㅎㅎㅎ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9 - 어이 김씨 헛소리 그만하고 잠이나 자
MBTI 와 연구의 상관관계
18 - 요약하면 노력도 준비도 안해놓고 바라는 건 많다네요... 보통 눈 앞에 있는 거 치우기도 힘들어서 딴 거 신경 쓸 시간이 없을텐데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11
대학원 생활 관련해서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2023.03.05

저는 신생랩에서 생활하는 한 학생인데요.
현재 연구실에 포닥 1명, 저 포함 학생 3명이 있는데요.
그 중 한 학생이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저는 석사를 하고 이 곳에 왔고, 그 학생은 관련 분야 학부 연구생 경험 없이 이 곳에 왔고,
그래서 실험을 가르쳐 줄 때도, 피펫 1ml를 채워야 하는 것을 반도 못 채워도 아무 얘기 하지 않고
GC를 설명해주고, 본인 방식대로 쓰고 거의 피크가 나오지 않아도,
GC가 뭔지도 몰라 모든 것을 설명해 주어야 해도,
"본인의 스타일 대로 하는 것을 저는 최대한 존중해요. 하지만, 지금 눈금이 1ml라고 적혀 있는 만큼, 저희는 피펫을 쓰는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써야 할 것 같아요. 불라불라 ~" 이런 느낌으로 최대한 배려해서 이야기해서 가르쳐 주었습니다.
그 외, 본인이 이 것 저것 조언을 구하는 것도 친절하게 알려 주고, 제가 PPT 발표 준비하던 것도 보내주면서 원하는 대로 최대한 도와주고 조언을 해주었는데,
밥 먹을 때, 다른 분들이 있을 때는 제가 "공격하는 것처럼 이야기한다"고 말하고, 같이 커피를 시키는데, 마음대로 제 것을 시키고, 저에 대해서 안좋게 이야기를 하는데,
제가 예민한건지, 어떻게 같이 일을 해야 할 지, 같이 일을 안할 방법은 없을 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 김GPT 221 23 59412-
1 5 1983 -
77 17 30950
조언부탁드립니다 김GPT 1 4 596
대학원 적응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GPT 0 3 1581
대학원 문제 조언 좀 김GPT 1 12 2874
대학원 결정할때 참고 바랍니다. 김GPT 29 17 12503
대학원 신입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 김GPT 25 6 12091
대학원 진학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김GPT 0 1 6545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명예의전당 98 12 10973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58 25 74572
아즈매와 마음 건강 명예의전당 80 20 1121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9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14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80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6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58 - 학부생 스펙 이정도면 카이스트나 서울대 AI대학원 가능할까요?
5 - CCUS 연구 랩실 어디가 가장 실력있나요? 질문 및 추천
4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7 - 현재 석박사님들이 생각하기에
6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9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14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80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6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58 - 학부생 스펙 이정도면 카이스트나 서울대 AI대학원 가능할까요?
5 - CCUS 연구 랩실 어디가 가장 실력있나요? 질문 및 추천
4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7 - 현재 석박사님들이 생각하기에
6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03.05
202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