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지식 습득력에는 차이가 있을 것 같아 후회됩니다. 우리 친구는 2주동안 집중 지도해도 원점이라 정말 답답합니다..
2025.06.14
뭔 지원자풀이 그렇게 엉망임
2025.06.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연구생만 한 애들은 그냥 안 한거랑 똑같다면서 무경력 성대생이 더 나았을거라는건 무슨 논리임. 결국 하고 싶은 얘기는 학벌이 중요하다는거임?
대댓글 1개
2025.06.14
잘 아시네요
2025.06.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맞는 말이긴 한데 너무 당연한 소리를 싸질러놔서 오히려 반삼이 듦. ㅇ최소 석사만 해도 학부 연구생은 아무 생각없이 시키는 것만 겨우 한다는 것 알지
2025.06.15
그래서 면접이라는게 있는건데 그걸 활용못하고 잘못뽑은것도 연구실의 역량이라고 봅니다. 물론 박새생이시니 결정권을 가진게 아니니 조금 더 아쉬우시겠습니다.
2025.06.15
잘못뽑아놓고선 학부연구경험탓하네 ㅋㅋ 거기다 선배란놈이 커뮤에서 뒷담화까지 한심하다
2025.06.15
본인이랑 지도교수가 판단 미스한 걸 두고 학생 학벌 운운하는게 별로 좋아보이진 않네요
2025.06.16
한걸 했다고 적지 CV는 왜있음 ㅋㅋ 개인이 못한걸 가지고 학부연구생 실적 적어 내는 사람들을 바보로 만드네 심지어 자기 연구실 신입 1명 케이스로 일반화ㅋㅋ.. 신입생인데 좀 두고보슈 다 알아서 하겠지 교수도 아니면서 같은 학생이 무슨; 박사과정이면 박사 학위나 열심히 해서 딸 생각을 하쇼
2025.06.16
면담때 관련 질문도 안하고 뽑은 건가?
2025.06.16
동일 대학 조건이면 학부연구생 경험자 뽑을거 아님?
2025.06.16
진짜 학벌주의자였으면 "성대 무스펙 뽑을 걸"이 아니라 "성대 학부 연구생 한 애 뽑지 말 걸" 했겠지.
2025.06.16
어느 상황이던지 간에 좋은 어른이 쓸만한 글은 아니네요...
2025.06.16
별 대단한 데서 박사과정 하는 것도 아니면서 후배 깎아내리기나하고 미래가 훤하네요.
2025.06.16
애초에 자소서에 씌인걸 확인하는 것도 면접 목적 중 하나인데 이게 무슨 글인지.. 예전에 인도국적 KAIST 석사한 친구 채용면접 봤었는데 이력서에 했다고 한 게 많아서 하나 하나 자세히 물었더니 깊게 아는게 하나도 없어서 걸렀었음. 본인 대학원 연구실에서 하던 연구 주제들에 죄다 본인이 참여했던 것처럼 써놨던 것 같음. 물론 성실하고 똑똑하고 일 잘하는 인도 연구원도 있었고.
2025.06.14
대댓글 1개
2025.06.14
2025.06.14
2025.06.14
대댓글 1개
2025.06.14
2025.06.15
2025.06.15
2025.06.15
2025.06.15
2025.06.16
2025.06.16
2025.06.16
2025.06.16
2025.06.16
2025.06.16
2025.06.16
2025.06.16
2025.06.16
2025.06.16
2025.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