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야 말 참 예쁘게 한다
인턴 지원자가 우리 연구실 논문을 싹 읽어왔네요
50
- 그 어떤 학과던지 한국은 spk/yk가 압도적이죠. 아주 마이너한 학과나 분야 빼면.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ist 중 하나인데 저 숫자는 아닌거 같은데 가까운데만 봐도 저 숫자 보다는 많음.
개인적으로는 생각 하는 이유는 비전 하는 사람 인원수가 아예 다를거임.
ai 신생랩이 더 많은거 같아서 인원수가 적은 느낌임
ai에서 비전이 메이저 같아 보이지만 nlp랑 vision 합쳐도 전체 파이의 20프로임. 비전 외에 다른 류의 ai를 연구 하는 연구실이 많은거 같음. 다학제학문에 응용하는 연구나 코어 한 연구를 할수도 있음.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학생들에게 일부러 받을 돈 보다 많이 주고 그걸 다시 돌려 받아서.. 공금으로 쓴거면 다들 그러지 않나?? 특히 공식 처리 어려운 공금이 필요할 때도 있으니.. 그냥 운영의 묘 아닌가? 개인 착복도 아니고
KAIST 교수가 직전 근무 대학서 학생에게 연구실 운영비 걷어
18
- 성한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는 건, 학교 구조와 인식 상 어쩔 수 없고 약간... 학풍 (?) 비슷합니다.
일단 학교가 사립인데, 포공처럼 대학원생들에 대한 지원이 쩌는 것도 아니고~
수도권에서는 서연고에 굵직굵직한 연구비 수주에 있어 밀리다 보니,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하게되죠.
교수 입장에서도 학교 차원에서 지원이 약하니, 대학원생들 먹여살리려면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할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프로젝트 따라 다르지만, 목적이 논문인 학술 연구와는 달리 프로젝트는 그 목적이 좋은 논문이 아닌 경우가 많기에... 논문 쓰기에는 불안정한 환경일 수 있습니다.
(이건 프로젝트 by 프로젝트 이긴 합니다...)
성한 대학원 가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나요??
16
석사생들을 위한 팁
2023.01.24
11
3632

진짜 이 실험실 아니다싶으면 나가는거 추천 합니다. 저도 학부생 연구생부터 지금 박사까지 실험실을 총 2번 옮겼는데 한 번은 외국인 실험실이라...음...개판이라 나갔고 2번째는 실험실 분위기가 개판이라 나갔어요. 아무리 자율출근이라지만 11시30분에 출근하는 사람도 많고 심지어 점심시간 끝나고 2시에 오는 경우도 있을 뿐더러 교수님 출장가거나 학회 가시는 날이면 중간에 피시방도 가더라구요....진짜 보다보다가 석사 2학기 중간고사 시기였는데 실험실 옮겼어요. 여기 있다가는 나도 개판으로 되는거 한순간이다라고 생각들어서요. 옮긴 뒤 너무 만족합니다. 정치질도 없고 사람들도 일도 열심히 하고 좋아요. 아니다 싶으면 망설이지 말고 옮기세요.
2.결국은 사람관계가 문제다.
진짜 실험실에서 인간관계 때문에 실험실 나가는 경우 많이 봤어요. 특히 석사때는 박사 포닥 교수님과의 관계 신경써야해요. 왜냐하면 어차피 그들에게 미움 사봐야 나만 손해거든요. 미움 받기 싫으시면 딱 3가지만 지키면 ok이에요. 1. 인사 잘하고 지각하지말자 2. 시키는거 있으면 후딱후딱 끝내자 3. 뒷정리나 물품 주문같이 공동 일 꼼꼼하게 하자.이것만 해도 어디가서 미움 받을 일은 없어요. 물론 저기에 일까지 잘한다? 곧장 사랑 받습니다.
3. 석사 입학하고 6개월까지 열심히 하자.
저는 처음에 무조건 열심히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나중엔 일단 누구나 다 열심히 하고 의미 없어요. 제가 이렇게 보면 석사생들이 입학하고 6개월까진 다들 고만고만합니다. 그러다가 6개월 이후로 서서히 실력 격차가 벌어져요. 그리고 졸업땐 완전 극과극이 되더라구요. 어떤 석사 졸업생은 거의 왠만한 박사들보다 잘하더라구요. 처음에 열심히 실험이나 이론 공부해놓으면 나중에 반드시 빛을 보더라구요. 한창 본인 논문 데이터 뽑을 시기에 실험 결과 흔들려서 누구는5번 반복할때 3번만 해도 결과가 나올 수 있더라구요.
4. 데이터 정리나 랩미팅 자료는 무조건 미리미리 잘해놓자.
가끔 귀찮아서 내일하자 그렇게 되면 나중엔 다 까먹거나 시간 엄청 잡아먹더라구요. 특히 석사 마지막 학기는 한창 결과 뽑아낸거 바탕으로 논문 써야하는데 데이터 정리가 안 돼있다면 진짜 난감해요. 데이터 찾는데 몇시간씩 걸리고 어떤 데이터는 찾지 못하거나 어떤건지 몰라서 싹다 실험 다시하는 경우도 있어요. 데이터 정리는 귀찮더라도 실험 끝나고 곧장하는 습관 들이세요.
5. 적극적으로 조언 구하자
제 얘기를 하자면 실험을 하는데 도저히 결과가 안 나오는거에요. 심지어 같은 실험을 5번이나 했는데 그래서 혼자 함달동안 끙끙 앓다가 박사님께 조언 구했더니 antibody다른걸로 사용해 보라길래 그렇게 했더니 곧장 문제 해결......진짜 막히거나 도저히 안된다 싶으면 곧장 조언 구하고discussion하는걸 추천드려요.
6. 건강 관리 꼭하자
우리 실험실에서 박사 한분도 중간에 건강상의 이유로 그만두더라구요. 내 주위에도 건강 문제 생겨서 그만둔 경우 종종 봤어요. 나 또한 석사 기간동안 살만 10kg가 찌더니 계단 7층 올라가면 헉헉 거릴정도로 체력이 나빠졌어요. 곧장 크로스핏 박스 등록한다음 크로스핏을 다니기 시작했어요. 1주일에 3번만 다녔는데 효과는 진짜 만빵!! 실험실 실험 중간에 나와서 캠퍼스 한번 걷거나 계단 오르기 몇번 했더니 건강해지더라구요. 그리고 이전에는 수면도 불규칙적으로 자고 밤새는 날도 많았는데 수면시간은 고정으로 하고 충분히 자니까 몸이 좋아지더라구요. 건강 한번 무너지면 진짜 걷잡을 수 없더라구요.
7. 이론 공부나 논문 공부하기
막 학부생때처럼 하기보다 틈틈이 시간나면 논문도 보고 공부하는게 좋더라구요. 석사하다가 박사하게 될 수 있고 석사더라도 연구직으로 가게 되면 background 지식이 있어야 실험 설계, 실험결과 해석이라던가 troubleshooting을 할 수 있더라구요. 그리고 실험적인 테크닉은 막말로 아무리 세계 제일 똥손이라도 몇번 반복하면 극복가능해요. 하지만 머리속 지식은 절대 단기간에 완성되는게 어니더라구요.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
16
15
4301
-
2
21
1078
-
17
13
3984
-
17
6
5846
BEST
대학원생 연구실 복장…16
41
6743
-
26
23
3242
명예의전당
저 미국 교수입니다146
73
38483
명예의전당
우리 교수님 솔직히 너무 좋음168
40
47826
명예의전당
인턴을 여러 군데에서 해봐도 될까요?
11
3
969
고전인기
아니다 싶으면 주저하지 마세요122
26
43941
고전인기
인력난에 허덕이는 교수님들께168
54
52337
-
63
60
7055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3
27
- 인생을 돌아보며...
9
23
-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6
18
- 제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을 구합니다.
1
17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17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1.24
2023.01.24
2023.01.24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