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연구하시는 분들? 박사나 석사 직장인이나 무관합니다만 있으시면 같이 하면 좋을 듯한데...
2022.11.18
10
1142
안녕하세요 혼자 연구하는 늦은 나이의 사람입니다. 연구분야는 머신러닝, 딥러닝입니다.
관련 분야 저처럼 혼자 연구하시는 분들 있으면 스터디 겸 연구 서로 지도? 조언?도 같이 할겸 있을 까 싶네요.
아무도 물어볼 사람도 없고 상의할 사람도 없고 해서 진도가 안나가는 것같아서 찾습니다.
강남/분당/판교 지역이라면 가끔 주기적으로 회의실에서 만나서 발표도 하고 하면 좋을 꺼같은데 계실까요? 혼자서도 잘하시는 분들보면 정말 대단한 의지력을 가지신 분들이라고 생각됩니다. 저 같은 사람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IF : 1
2022.11.18
있다손 치더라도 분야가 너무 광범위합니다. 최소한 CV인지 NLP인지 Data 쪽인지 정도의 큰갈래가 필요하고 그것보다도 더 세부 분야가 필요해보입니다.
거의 전 과학을 공부하고있는데 스터디하실분? 이라고 물어보신것과 다름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1.25
아 죄송합니다 저도 아직 갈피를 못잡고 있어서...CV쪽 아니면 정형화된 데이터를 이용한 anomaly detection쪽입니다~!
2022.11.1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ㅋ
2022.11.18
머신러닝 딥러닝 같이 하는것도 좋은데.. 진짜 잘 하는 사람과 해야지 않을까요. 진짜 아는 사람 밑에서 배우는게 모르는 사람들끼리 여럿 함께하는 것보다 낫지요.
대댓글 1개
2022.11.25
그냥 "이야기"? "디스커션" 나눌 정도만 있어도 매우 행복할 꺼같아요....제 주변이 그렇게 이야기를 나눌 상대가 없어서..
2022.11.18
튼튼한 요하네스 케플러 분께서 작성 해주신게 적절한 답변인 것 같네요,
저도 혼자 공부해서 대학원 오게된 케이스인데 무언가 길을 얻고, 피드백을 받고 싶다면 본인보다 전문화 된 사람에게 지도를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지도자가 없거나 그럴 능력이 안되는 사람과 같이 하게 된다면 맨땅에 헤딩으로 머리만 깨질 수가 있네요.. 이상 경험담이였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1.25
아 그렇군요 "전문화된 사람"이면 금상첨화겠지만, 그냥 CNN해본 사람조차 없는 주변이라....너무 아쉬운 마음에 글을 올렸네요 뭔가 독서실을 꼭 공부를 배우러 가는 게 아닌 혼자 안되서 독서실을 가야한다고 해야하나요..비유가 어렵네요
직설적인 앨런 튜링*
2022.11.19
오... 의지 대단하네요.. 저도 머신러닝을 혼자 적용해서 혼자 논문 여러개 썼는데, 혼자서 논문을 패스하는건 어렵고, 결국에는 지도교수를 찾을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논문을 쓰시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머신러닝의 어떤분야를 하려고 하는지 데이터는 어떻게 얻을수 있는지등.. 정보를 좀더 주시는것도 좋을것 같아요. 블로그 같은걸 링크 걸으셔서 댓글로 이야기 하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대댓글 2개
2022.11.25
나이많은 직장인인데 새로운 분야를 공부하고 실적?으로 논문을 내려고 하는 겁니다. 데이터를 좀 있습니다. 그런데 데이터만 새롭고 기존 알고리즘에 그냥 적용해서 해도 논문이 되나요? 이거 참 이런 이야기를 여기 밖에 할 곳이 없다는게 아쉽네요 ㅠ
직설적인 앨런 튜링*
2022.11.30
익명이라 지우지 못해서 연락처를 공유할수 없지만,
간단히 이야기 해서, 새로운 데이터로 머신러닝 해서 나온 결과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가 핵심이지 적용했다는 것은 논문이 안되죠.. 그 데이터를 해석해야하는 이유가 뭔가요? 왜 그 데이터를 머신러닝으로 분석한건가요? 적용한 결과는 학술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나요? 등등의 질문에 답할 수 있으면 됩니다.
논문들 보면 단순히 머신러닝을 적용했는데 논문이 된것처럼 보이는데 나름대로 깊은 이해가 있고, 우리가 볼때는 데이터가 가지는 특징을 이미 안다는 전제하에서 쓴 것들이 많아서 별거 없는것 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아요. 저는 이런 이유때문에 결국에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지식이 있는 교신저자를 찾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데이터와 머신러닝 결과를 연결시킨 이유가 명확하다면 머신러닝을 쓰지 않고 다른 Tool을 적용해도 됩니다. 머신러닝에 강점이 분명하지 않을 때는 더욱더!.
SCI급으로 발전시키고 싶으시면, 혼자는 무리처럼 보여집니다. 국내 논문이라면.. 잘 비벼서 해볼수도 있을것 같고요+_+
2022.11.18
대댓글 1개
2022.11.25
2022.11.18
2022.11.18
대댓글 1개
2022.11.25
2022.11.18
대댓글 1개
2022.11.25
2022.11.19
대댓글 2개
2022.11.25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