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을 잘 달진 않지만, '제가 아이 인생을 망친 걸까요...' 라는 내용 때문에 지나칠 수가 없네요.
서강대나 한양대나 인생 살면서 큰 차이가 없습니다. 더 큰 차이는 학생 개개인이 만들어나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한양대 나와서 백수로 살수도 있고, 서강대 졸업하고 MIT 유학갈수도 있죠. 다 본인이 하기 나름입니다.
그런데, '본인이 하기 나름'에 대한 모든 가능성을 꺾어버리는 것이 바로 지금 부모님이 하고 있는 치맛바람입니다. 1. 컴퓨터쪽 전문가도 아니신것 같고 2. 취업분야 전문가도 아니신 것 같으며 3. 심지어 학생때 공부를 잘하신것 같지도 않군요. 즉, 길라잡이로서의 역량을 아무것도 갖추지 못했으면서 티끌같은 디테일에 집착하고 계신다면, 자녀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본인이 스스로 해내는 능력'을 처참하게 짓밟는 결과밖에 남지 않습니다. 자녀분 죽을때까지 평생 케어하면서 사실건가요? 설사 그런 능력이 된다 하더라도, 그 방법은 가장 사랑하는 자식이 가장 덜 사람답게 사는 결과가 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부모가 해야 할 역할은 사람으로서 최소한 갖춰야 할 도리를 할 수 있도록 가이던스만 주고, 나머지는 자녀가 스스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To do list를 적는게 아니라 Not to do list(열심히 노력하지 않고 결과만 좋기를 바라는 태도 등)만 어른의 관점에서 교육하는 것입니다.
이런얘기 해도 바뀌시지 않을 가능성이 99%라는걸 알고 있지만, 1%의 가능성 때문에 남깁니다. 솔직히 말하면 학부모님은 전혀 걱정 안되고, 저 환경에서 자라고 있을 자녀분이 매우 걱정됩니다.
학부 문제입니다. 도와주세요.. 한양대 컴소 선택 안하고 서강대 컴공을 해버렸습니다.
57
논외인 얘기지만,
그렇게 중요한 수시원서를 왜 직접 안썼는지 저로썬 이해가 안가네요
정말 죄송한 얘기지만 지금 상황처럼 계속 주변에서 큰 결정을 대신해준다면 그 아이는 크게 되긴 힘들 것 같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아이에게 큰 경험 했다는 걸 알려주고 자립할 수 있는 힘을 키워주시기 바랍니다.
솔직히 spk, yk 라인 정도 아니고 서강대 한양대 정도면 큰 상관없습니다. 둘 다 좋은 학교고 거기서 어떻게 하냐에 따라 달린 문제입니다. 부모님께서는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제발 혼자 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세요.
학부 문제입니다. 도와주세요.. 한양대 컴소 선택 안하고 서강대 컴공을 해버렸습니다.
21
진짜 냉정하게 말해드리면, 지금 원서 조금 실수 한 것보다 학부모님께서 그렇게 아이 인생을 사사건건 통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이의 인생에는 몇백 배 더 안 좋은 일입니다. 제발 그냥 아이를 믿고 놔둬주세요.
학부모님께서 아이를 걱정하시는 마음은 잘 알겠으나, 지금 학부모님께서는 아이를 망치고 계십니다.
사기업 월급이 너무 세지기도 했고, 미국의 경우 특히 그러지요. 게다가 유학이라는 것이 예전 시절처럼 어렵지도 않고요.
예전에는 똑똑한 학생들이 미국 유학가고, 다시 국내로 리턴해서 학교에 자리잡았다면
요즘에는 유학간 후 미국에서 자리 잡는 경우도 많아졌고요. 최상위권이 아니더라도 그냥 유학 가는 경우도 많고요.
게다가 요즘 베이비 부머 은퇴 시기라서 채용도 많이 하고 있고요.
(지방에 이름모를 대학들은 말라가고 있지만요. 이런 학교를 제외하고서는 아직까지는 은퇴한 분들 숫자만큼 신규 임용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아마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교수 임용되기가 예전에 비해서는 어느정도 수월해진 면이 있습니다.
지금 임용되신 분들을 폄하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직종에는 싸이클이 있잖아요. 그게 그렇다는 겁니다.
MDPI 논쟁도 있지만, 이것도 다 비슷한 이유라고 봅니다.
탑티어 한개 정도에, OA저널 몇개 있으면, 사실 어지간한 학교에서는 나름 면접에 진입 해볼 수 있는 정도로 문턱이 내려간것이지요.
특히 CS 분야는 사람이 없어서 더더욱 그렇습니다. 솔직한 말로 CS 쪽에 "걸쳐"만 있어도, 무혈입성 가능하더군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ML,DL쪽 약간이라도 걸쳐서 연구하시고, 최근 TO가 늘어난 이쪽 분야로 지원 많이하시고, 또 잘 임용 되십니다.
그래서 요즘 다른 교수님들이 하시는 이야기가, 교수 인기가 떨어진 것 같다. 신임교원이 들어왔는데 자기 성에 못미친다.
이런 말 많이 하시고요. 그래도 안뽑을수는 없으니 뽑기는 합니다.
심지어 1년전인가 지방에 유명 사립에서 공고를 냈는데 그 분야 지원자가 말그대로 0명인 적이 있었습니다.
희귀 분야이기는 하지만...0명이라서 그냥 학교에서 쉬쉬하고 덮었던적도 있고요...
그래서 나는 꼭 학교로 가고 싶다. 돈은 좀 적어도 연구를 하고 싶다는 분들에게는 매우 좋은 기회이지요.
논문 실적 잘 준비하시고, 안될것 같은데... 하지마시고 지원 몇 군데 해보시면 의외로 진행이 잘 될 것입니다.
학교나 정출연 생각 있으신 분들이 너무 문턱을 높게 생각하시더군요. (예전 선배들의 실적 정도는 되야 학교로 가는구나..해서..) 그런데 그 문턱 정말 많이 내려왔습니다.
그러니 학교로 오시고 싶으신 분들은 앞으로 2-3년 정도가 매우 좋은 기회이니 과감히 시도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정출연도 처지 비슷합니다.)
물론 직업 사이클이 미래에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장담 못하지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0개
나른한 알렉산더 벨
IF : 3
2022.09.15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공허한 카를 마르크스*
2022.09.15
그렇군요. 저는 바이오분야이고 박사졸업후 1년반되었고 최근3년실적 NatComm 공동1저자, 그리고 IF 10정도되는 바이오에서 유명한 저널 두 곳에 각각 공동1저자 그리고 IF 5근방의 평범한 저널 1저자 4편정도있는데, 이정도면 경기도~지거국 교수 가능성 있을지요? 다만 해외유학경험은 없습니다. 요새 제 세부분야에서 생명 또는 의약계열 교수되신분들 (지거국보다 아래) 보통 Natcomm 공동1저자 1편 외에는 뚜렷한 실적없는데도 (보통 IF 3~5 두세편정도) 임용되셨더라구요.
원래 바이오는 미국유학시 CNS써오는 비율이 높아서 인서울 대학은 CNS가 아직도 기본인듯 합니다.
2022.09.15
2022.09.15
대댓글 2개
20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