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 기사 읽은거 맞음?
결국 연공서열 중심의 호봉제 개선하고
직급과 직무 우선주의인 직무급제 시행해서 정년 늘려도 경영부담 안되게 바꾸고 실력과 직무에따라 임금 더 받게 바꾸겠다는 기사인데 저걸보고
석사=박사라고 결론내는거임?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기사댓글이나 유투브댓글이나
제목만 읽고 욕하는게 요즘 대부분인데
심지어 봇댓글이 난무하고 죽은 인터넷 이론도 도는 요즘 세상에 그런걸 믿으시나요?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2 - 팩트는 MDPI 들고 석사졸업해도 잘한거임 ㅋㅋ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1 - 환경주의자 LGBT 이런거 좋아하시나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26 - 환경주의자는 일정부분 동의하는부분이 있는데요
LGBT는 개인의 취향으로 존중정도만 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0 - AI를 연구하고 있긴 하지만 동의합니다 과학 기술 발전 과정 중 소외된 부문들에 대해 눈을 돌릴 때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7 - 동의합니다... 언젠가부터는 필요에 의한 발전이 아니라 작성자님 말씀처럼 '발전을 위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3 - 정말 공감합니다. 과학기술을 연구하는 사람 입장에서 인문학적인 지식도 많이 알아야되는거 같아요. 뭐든 “왜”가 빠진 발전은 결국 파멸을 불러 올거라고 생각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1 - 개인의 입장에서 변화가 위기로 느껴지는것도 자연스러운 일이지요. 하지만 인류의 과학/기술적 진보수준이 지금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기후, 식량, 질병 위기등에 비추어볼 때 지속가능한 구조를 만들기 위한 충분한 기술이 있다고 볼수는 없어요. 현대에 부각되는 문제들은 대부분 진보의 부작용으로 인한 것이지만, 더이상은 문제로 여겨지지 않는 과거에 제기된 문제들에 비추어볼 때 여러 방면에서 진보는 여전히 필요합니다.
어떤 진보가 더 중요한가에 대해서는 위 댓글들처럼 다양한 방향성에 대한 성찰이 있어야하고, 실제로 많은 기술이 그러한 성찰 위에서 개발되지요.
자본주의와 혁신은 이러한 진보를 달성하는 방법들 중 알려진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이죠. 효율성이 전부는 아니니까 다양한 목소리가 필요한 것이겠고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1 - 과학기술이 발전해온 양상을 살펴보자면, 사실 과학에 인류 전체의 복지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이 가미된 건 극히 최근 들어서의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당장 칼세이건의 저서 코스모스에서도, 고대 과학자들이 인류의 안녕을 고민했다는 언급은 없었죠. 때문에 인간이 과학이라는 행위를 하는 가장 본질적인 이유는 미지에 대한 탐구와 이해 그 자체에 가깝다고 봅니다. 오히려, 이 당시 사람들의 행복과 심신의 안정을 위해 힘썼던 사람들은 종교인이 아니었을까 해요.
고대를 지나, 인류사의 여러 시점에 과학자들이 등장하죠. 데카르트, 오일러, 뉴턴,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 수많은 사람들이 과학의 발전에 기여하지만, 그것은 인류의 행복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학문적 호기심과 성취욕에 의한 업적으로 보입니다.
중세를 넘어 근대로 오면, 과학이 인류 전체를 위한 학문이라는 교과서적인 말에 의구심을 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방직기의 자동화를 필두로 이루어진 산업 혁명은 인도를 영국의 식민지로 전락시켰고, 이후의 극적인 산업화는 러다이트 운동이 촉발될 정도로 노동자들을 곤궁하게 했죠. 그런가하면 하버 보슈라는 인간은 살상용 독가스를 만들고는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물론 인류의 발전을 위해 개발된 기술들도 다수 있지만, 그러한 예시들이 인류가 과학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성을 대변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오히려 누군가의 이권을 위해 추구되는 경향이 강하죠. 기술 자체는 가치중립적이라는 말들도 많이 합니다만, 이는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담기는 의미가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어떠한 문맥도 없이 고유한 의미를 갖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건 그냥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2 - 깨시민인척 하지만 본인의 능력 부실을 저주하며 빠르게 발전하는 세상을 저주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는 점 잘 알았습니다.
부족한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비슷한 사람들과 즐겁게 살아가시면 됩니다. 다만 이상한 신념을 구구절절 설파하며 정상인들의 노력하는 사회를 병들게 하지말아주세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0 - 출연연같은데는 잘모르지만 일반적인 기업에서는 정반대인거같은데요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0 - 요즘은 학부만 놓고 보면 SK YKP가 맞죠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2
전자공학부 대학원 진학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2020.03.31

안녕하십니까.
저는 현재 인서울 하위권 대학에 다니는 전자공학과 4학년 입니다.
4학년 올라오면서 취업에 대해서 많이 알아보고 공부했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분야는 반도체 관련 분야입니다.
회로이론 전자회로 반도체공학 반도체프로세스 아날로그vlsi 등등의 과목이 저에게 맞고 재밌게 공부해서 이쪽 관련하여
취업을 하려고 찾아봤는데 학사수준에선 뽑는 직무가 한정적이고 그 마저도 뽑혀도 설비직군과 같은 f직군으로
보내는 일이 많다고 하는걸 알았습니다. 유튜브에서 취업 관련 영상에서도 실무자가 말하길 본인이 반도체 쪽에서 일을 계속 하고싶다면 석사 학위가 있는것이 좋다고 하는것도 보았습니다.
이렇게 열심히 찾아고나서 반도체 관련 대학원을 가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취업을 위한것도 위한것이지만 관련 연구가 하고싶다면 박사까지도 고려해서 다닐 예정에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학부가 너무 낮아서 대학원 진학에 자신이 없습니다.
졸업할때 학점은 3.9 전공 학점은 4.0 정도 예상하고 있습니다.
Spk는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이고 열심히 준비해서 연고대 서성한 ist 대학 중 제 관심분야와 맞는 대학원에
진학할 생각입니다.
제가 질문하고자 하는것은
Spk 이외의 대학원를 나와도 석사취업이나 박사진학에 큰 문제가 없는지. 실적이 중요한건 맞지만 대체적으로 학교레벨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심한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저 학점으로 위의 대학원 진학이 가능한지도 궁금합니다. 학점 외에는 다른 스펙이 없어 졸업 후 한학기동안 랩실 인턴에 지원해서 일할 생각입니다.
또한 석사 취업시에 반도체 관련 기업에서 딱히 메리트가 없는지에 대한것도 궁금합니다. 직무따라 다르겠지만 아직 직무는 결정을 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두서없이 질문한점 죄송합니다.
읽어주신 분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09 19 50725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명예의전당 290 23 56353-
171 29 4920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25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71 - 이게 기분이 나쁜 게 정상인지 알려주세요
17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21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1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7 - 리뷰논문 도움되는지 궁금합니다
3 - 제가 머리가 좋진 않지만 갈리레오 갈리레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어요
7 - AI 탑티어 논문은 솔직히
3 - 다들 책으로 공부도 하시면서 연구하시나요?
3 - 번아웃 교수님
4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7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2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11 - 타대학 교수님과 컨택은 됐는데, 입시 자체가 걱정돼요(??)
8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3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11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12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창원대학교 ㄱㄱ 공학부 박 ㅁ ㄱ 교수는 도대체 ...
7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25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71 - 이게 기분이 나쁜 게 정상인지 알려주세요
17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21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1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7 - 리뷰논문 도움되는지 궁금합니다
3 - 제가 머리가 좋진 않지만 갈리레오 갈리레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어요
7 - AI 탑티어 논문은 솔직히
3 - 다들 책으로 공부도 하시면서 연구하시나요?
3 - 번아웃 교수님
4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7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 고민
56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2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11 - 타대학 교수님과 컨택은 됐는데, 입시 자체가 걱정돼요(??)
8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3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11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12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11
2020.03.31
2020.04.01
2020.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