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행정대학원을 목표로 하신다니 다른 학교 가셔서 이 경험을 바탕으로 '행정실수와 사후대응'에 대한 연구를 하시고 논문을 쓰시면 좋을 듯 합니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43 - 그냥 ...... 전반적으로 사회성 부족... 왜냐면 사회성있는 사람들은 자기 속마음을 털어놓을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것 같음. 그걸 찾는 곳이 연구실은 아니니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23 - 아뇨 그렇게 말씀하시지 말고 분야를 바꾸고 싶다고 말씀드리세요. 연구실 문제로 안간다고 말하는 건 별로 좋지 않습니다.
학부연구생 그만두려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14 - 타대 출신이 자대생 무시하네 ㅋㅋㅋ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19 - 같은 대학원 다니고 있으면 적당히 뭐 본인 수준이랑 비슷한가보다 생각하면 되지... 들어올만 한지 수준에 대한 평가는 pi만 하면 됩니다. 본인이 뽑아주는 것도 아닌데 학점보고 학벌보고 난리가 났네요. 저는 kp 다니고 있는데 다른 사람 학점 궁금하지도 않고 물어본적도 없습니다. 자기 할 일만 잘하면 되죠.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13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보통 논문 실적 욕심 있는 사람이 워라벨 생각 안하고 열심히 하고 실적도 제일 좋고 당연히 졸업 후 월급도 제일 높은 곳으로 감.
그 반대도 다 연관되어 있음.
대학원을 올 때는 각오가 되어 있어야 성공하는 것이 맞음.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7 - 돈 꽉 채워주고 이런말하는거면 인정~ 아니면 ㅆ꼰대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8 - 기출변형임
3점 초반대여도 눈치 안보셔도 돼요 사수도 별 생각 안하실듯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10 - 늦으면 시발 가지말던가 이런글 왜올림?
답정너임?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1 - 어중간하게 학부만 나온 사람은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기에는 애매하고요.
제대로된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면 30~40대까지 1저자 논문도 좀 쓰고, 연구비라도 제대로 한번 따본 사람이 되야 의미 있겠죠.
필드에서 축구잘하는 것과 훌륭한 축구감독은 인과관계가 없는 것 처럼, 대통령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0 -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논문을 쓰기 위한 제품 개발ㅋㅋ정부 과제로 20억 10억써서 만들면 아무도 안사용 합니다. 상품성이 하나도 없어요.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4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7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입니다. 대학원 진학 관련 질문드립니다.
2020.03.04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SPK 대학원 진학 관련 질문드립니다. 현재 4-1학기 앞두고 있구요 전공 평점 4.2/4.5 전체 평점 4.21/4.5입니다. 4-1학기를 잘보내면 각각 4.26/4.5 4.24/4.5 가능합니다.
전 지금 배터리 관련 분야에서 대학원 진학과 취업사이에서 많이 갈등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4차 산업 혁명을 고려하면서 진로를 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0년전에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겼던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10년정도 지난 결과, 현재 자율 주행 기능을 탑재한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으며 고속도로에선 어느정도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10년, 15년 뒤에 공장 또한 자동화가 되면서 엔지니어에 대한 수요도 감소하거나 중년의 나이에 이직 또한 힘들어지지 않을까요?? 또한 퇴직하는 엔지니어의 평군 연령이 감소할 것 같습니다. 매년 수만명의 학사 학위 취득자가 생기는데 저의 경쟁력은 상당히 줄어들 것 같습니다.
연구원은 창의적인 과정이며 엔지니어는 공장의 부품 같습니다. 이것이 저의 지나친 걱정인지 궁금합니다.
2. 석사이든 학사이든 학위 취득 후 직장 생활을 하면서 변리사와 같은 전문직 시험을 보거나 저의 전공을 이용하여 이직을 하고 업무를 볼 때 연구원과 엔지니어 중 어느 것이 더 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진출 분야 범위, 경력 인정에 따른 연봉이 가장 궁금합니다.
3.삼성전자 반도체 관련 공장의 경우 50세를 넘으신 엔지니어를 찾아볼 수 없다고 들었습니다. 연구원의 경우도 위와 동일하나요? 혹은 경험을 쌓고 나이를 먹을수록 연구원으로서의 가치가 더욱 증가하나요?? 사실 이런 사항을 물어볼 선배가 많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석사 졸업 시 30살이 되고 무엇을 하는 게 옳은지 경험이 부족합니다.위의 질문의 대한 답변이 아니어도 모든 종류의 조언 또한 경청하겠습니다.
-
6 12 7995 -
0 15 5347 -
5 15 3468 -
2 11 2136 -
0 14 5782
원자력 대학원 질문드립니다 김GPT 1 8 4283
질문드립니다. 김GPT 2 13 1437
물리하면 서울대인가요? 김GPT 1 17 3688
spk외 인서울 중상위권대학원 김GPT 1 7 6240
우리 교수님 솔직히 너무 좋음 명예의전당 283 47 89253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35 37 36142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명예의전당 239 29 4062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1 - 저 MDPI저널 3편냈습니다.
76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09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26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63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동기 졸업을 제가 신경쓰는 게 정상인가요?
6 - 천재란 무엇일까요?
13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0 - 교수님들은 학생 받으면 어떤점이 좋나요?
8 - 지금 그만두기엔 아까운건 알지만 그래도 포기하고 싶다면
7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부연구생 그만두려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34 - 해외 박사과정중 연구테마 (일본 사회연구분야) 에 대해서 느낀점
8 - 박사를 포기하려고 합니다.
21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5 - 공대 석사 월급
1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20 - 카이스트 ai 면접
7 -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0 - 부산 지방국립대 대학원 진학 (지거국x)
6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6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2 - 이거 거절일까요?
10 - 안녕하세요 대학교 1학년 신입생이 학석사 관련하여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교수로 임용되기 위한 십계명 - 하이브레인 펌
13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1 - 저 MDPI저널 3편냈습니다.
76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09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26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63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천재란 무엇일까요?
13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0 - 교수님들은 학생 받으면 어떤점이 좋나요?
8 - 지금 그만두기엔 아까운건 알지만 그래도 포기하고 싶다면
7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부연구생 그만두려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34 - 박사를 포기하려고 합니다.
21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5 - 공대 석사 월급
1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20 - 카이스트 ai 면접
7 -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0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2 - 이거 거절일까요?
10 - 안녕하세요 대학교 1학년 신입생이 학석사 관련하여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9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19 - 인종구성 원래 이런가요
8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4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