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3학년 올라가는 C대 학생인데요, 핵융합이나 핵폐기물 관련 쪽이 재밌어 보여서 3학년 2학기때 자대 학부연구생 1년정도 지원한 뒤 spk대학원 준비하려고 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원자력은 인원이 소수정예로 이루어져 있다고 알고 있는데, spk 급간차이는 존재하지 않는지 개인적인 궁금증이 생겨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1.01.28
서울대 포항공대 카이스트 이 세 학교 간의 급간 차이가 있냐는 질문이신가요?
여기 여론(어그로끄는 글 제외) 상으로는 세 대학원의 급간 차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2021.01.28
말씀하신 내용 맞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원자력 분야가 소수여서 오히려 각 학교에서는 자교학생들을 많이 뽑으려고 할 것 같은데, 이런 비율들을 확인하려면 어디를 가서 확인을 할 수 있을까요? 상대적으로 학벌이 낮은 편이라고 생각해서 그런 부분에서 불이익을 받기 크다고 생각되어서 미리 정보를 찾아놓고 랩실을 좁혀놓고 차근차근 준비해보려고 합니다!
2021.01.28
연구실 홈페이지에 구성원 출신 학부를 기재해놓은 경우에는 그걸 보고 판단할 수 있지만 홈페이지에 따로 기재되어 있지 않은 랩의 경우에는 본인이 직접 발품을 파는 수 밖에 없습니다. 지인이 있다면 그쪽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고 직접 컨택해서 인턴을 하면서 파악해보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2021.01.28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1.01.29
Spk간의 차이보다 원자력내의 전공분야 차이가 훨씬더 큽니다. 원자력은 여러 학문들이 달라붙은 거대과학이라 글쓴님이 말한 핵융합과 핵폐기물조차도 얼핏보면 같은 '핵'을 쓰는거 같지만 실제론 언어자체가 확달라짐. 핵융합쪽은 물리학에 가깝고 핵폐기물쪽은 화공재료쪽에 가깝죠. 핵폐기물쪽도 후행핵주기, 방사화학, 고형화등 서로 또 다릅니다. 게다가 원자력은 정부단위 프로젝트의존도가 높아서 같은탈원전이라도 체감이 서로 다릅니다. 그래도 한번 깊게 파고들면 대체불가능한 박사가됩니다.
2021.01.29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저도 지금 어느것을 하고싶은지에 대해서는 아직 해당 분야 전공 수업을 들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1학기에 수업을 들어본 후 흥미가 있는 과목에 대해서 자교 학부연구생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잘 몰랐던 내용에 대해서 해주신 많은 조언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1.01.28
2021.01.28
2021.01.28
2021.01.28
2021.01.29
2021.01.29
2021.01.29
2021.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