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원 석사 이던 박사이던 연구테마가 가장 중요한 것인데 맞다 틀리다 라기 보다는 저의 부족한 경험을 토대로 제 생각을 써봅니다.
저는 학부때부터 일본으로 유학와서 현재 박사과정 2년차 입니다. 연구는 사회문제를 다루는 영역입니다. 학회발표 4번 투고논문 2~3편을 쓰면서 느낀점 입니다.
제 주변 선후배 동기들을 보면서 느끼는것이 '한국에 관한 연구를 할것이면 왜 굳이 해외까지 와서 하는거지?' 라는 생각입니다. 그건 솔직히 그 나라 현지인들이랑 경쟁을 피하기위한 취업전략이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절대 그들을 비판하는것도 아니고 대학원생 한테 있어서 가장 중요한것은 본인 이 잘할수 있으며 또한 학내 교수들이 인정을 해준 테마를 잡는것이겠죠. 학위취득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물불가릴때 아니죠.
근데 한편으로는 연구테마가 오로지 한국경제사회에 관한 것이라면 왜 굳이 해외까지오지?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이유는 문과계열 연구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문헌확보 데이터 확보 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당연히 한국관련된 테마이면 한국대학에 있는 도서관이나 서점에서 입수 하기도 쉽고 한국에서 활동중인 연구자들과의 학술교류도 수월할 것입니다. 사례연구 및 실증연구를 할경우에도 당연히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하는게 더 하기 수월할것입니다.
그리고 한국 경제사회의 문제를 다룬다라고 했을때 실증이던 이론이던 그 현지에서 살아보면서 직접 문제를 실감하고 공감하는 부분도 필요합니다 (절대적인건 아닙니다만) .
반대로 일본에서 살고 생활하면서 한국 경제사회문제를 박사연구로서 다룬다라고 하였을때 그게 옳고 그름을 떠나서 '과연 본인의 테마가 학술적으로 제대로 인정받고 비판받을수 있는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일본인 연구자 (외국인)들은 한국을 잘 모르거든요. 그래서 그들 입장에서는 외국유학생이 자기나라 연구 한다고 하면 관심은 가져줄것 입니다.
근데 그논문이 학술적으로 평가 받으려면 한국국내 연구자들이랑 논의를 거치면서 평가 받는것이 정도(正道) 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드네요.
오히려 국제비교연구를 한다면 나름대로 일본국내에서도 가치가 있겠지만 순수100%한국 연구를 일본에 한들 그게 무슨의미가 있고 왜 그런 테마를 선택했는지? 이런부분이 조금 의아 합니다.
물론 다들 예민해져있기 때문에 이것을 제 주변사람한테 직접적으로 물어보지는 못합니다.
영국 대학원까지 가서 결국 '한국 실업문제' 를 연구 하는 분도 봤습니다. 다들 이유가 있고 사정이 있을거라 생각이 들고 이해도 합니다. 저도 석사학위는 한국 관련 연구 였으니까요. 지금은 비교연구 이고 일본연구에 더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만 제가 그렇게 해보니 너무나 한계점을 느끼고 이럴거면 그냥 한국대학원에서 할걸 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어서 그냥 개인적인 생각을 구구절절 늘어 놓아보았습니다.
'해외 에서는 한국 연구를 하면 안된다' 라는 뜻이 아닙니다. 본인이 그 테마를 왜 골랐는지 학술적으로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당당하고 확실한 이유가 있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라고 말하면서도 저도 아직2년차 이고 앞만 보고 달리고 있는시기여서 프로연구자분들이 보시면 오만한 발언으로 들릴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냥제가 느낀점입니다 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5.18
박사 2년차라서 논문을 많이 안읽으셨거나, 또는 국제적 연구트렌드에 관심이 없어 나오게 된 다소 short-sighted 관점인 것 같네요. 현재 미국에서 연구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타 국가에서 유학을 와 자국의 사회현상 또는 individual-level behavior를 연구한 케이스는 차고 넘치며, government funding을 받지 않는 한에야 해당 연구를 하는 것을 전혀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 나라의 사회현상 또는 individual-level behavior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것은 자국의 문화적 코드만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동일 또는 비슷한 사회현상을 겪은 타 국가에서 해당 현상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이론적 틀이나 개념을 자국의 사회현상에 역시 적용할 수 있는가 라는 것이 범국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이론학 관련 연구 한번 찾아보세요).
2025.05.18
대댓글 4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