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야 말 참 예쁘게 한다
인턴 지원자가 우리 연구실 논문을 싹 읽어왔네요
50
- 그 어떤 학과던지 한국은 spk/yk가 압도적이죠. 아주 마이너한 학과나 분야 빼면.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ist 중 하나인데 저 숫자는 아닌거 같은데 가까운데만 봐도 저 숫자 보다는 많음.
개인적으로는 생각 하는 이유는 비전 하는 사람 인원수가 아예 다를거임.
ai 신생랩이 더 많은거 같아서 인원수가 적은 느낌임
ai에서 비전이 메이저 같아 보이지만 nlp랑 vision 합쳐도 전체 파이의 20프로임. 비전 외에 다른 류의 ai를 연구 하는 연구실이 많은거 같음. 다학제학문에 응용하는 연구나 코어 한 연구를 할수도 있음.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학생들에게 일부러 받을 돈 보다 많이 주고 그걸 다시 돌려 받아서.. 공금으로 쓴거면 다들 그러지 않나?? 특히 공식 처리 어려운 공금이 필요할 때도 있으니.. 그냥 운영의 묘 아닌가? 개인 착복도 아니고
KAIST 교수가 직전 근무 대학서 학생에게 연구실 운영비 걷어
18
- 성한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는 건, 학교 구조와 인식 상 어쩔 수 없고 약간... 학풍 (?) 비슷합니다.
일단 학교가 사립인데, 포공처럼 대학원생들에 대한 지원이 쩌는 것도 아니고~
수도권에서는 서연고에 굵직굵직한 연구비 수주에 있어 밀리다 보니,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하게되죠.
교수 입장에서도 학교 차원에서 지원이 약하니, 대학원생들 먹여살리려면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할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프로젝트 따라 다르지만, 목적이 논문인 학술 연구와는 달리 프로젝트는 그 목적이 좋은 논문이 아닌 경우가 많기에... 논문 쓰기에는 불안정한 환경일 수 있습니다.
(이건 프로젝트 by 프로젝트 이긴 합니다...)
성한 대학원 가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나요??
16
너무 못하는 것 같아서 관둬야하나 고민하는 샌애긔 원생들에게
2021.08.05
30
42700

대부분은 성급한 고민이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저도 멘탈 쿠크다스여서 원생 시절 학회장 다과 중에 쿠크다스는 쳐다도 안봤던 사람으로서(서로 아무 상관 없음)
아래의 점들을 같이 생각해보셨으면 해서 글 적습니다.
1. 무엇보다, 나 스스로의 중심을 잡아야 합니다.
대학원은 장기레이스입니다. 배우는 과정이고, 또 시행착오 그 자체입니다.
그리고 웬만하면 좀 실수해도 되기 때문에 학생인겁니다. 특히 신입생이라면 더 그렇죠.
그런 과정에서 자기 스스로의 중심이 없으면 외부 자극이 들어올 때 많이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교수님의 질책이 들어온다면, '교수님한테 이것때문에 혼났어'가 아니라, '교수님이 말한 이런 점이 객관적으로 부족하긴 했으니까 보완해봐야겠다' 이런 식으로 생각해보세요. 같은 일을 겪었어도 후자처럼 주도적으로 생각했을 때 다시 시작할 의지가 더 많이 생길겁니다.
처음엔 교수님이나 사수가 쥐여주는 일을 하겠지만, 그것의 주인은 나입니다. 한스텝 한스텝 눈치보기보다 어떻게 진행하면 더 좋을지 계속 고민하고, 온전히 내것으로 만들려고 해보세요.
긴 과정인만큼 나를 흔드는 상황은 참 많이 생깁니다. 그럴 때마다 내가 주도적으로 하는 연구, 내가 하는 일이 있다는 건 꿋꿋이 갈 길을 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2. 그럴 때일수록 단기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
단기적이고 실현 가능성 있는 목표를 잡고, 하나하나씩 이루어나가 보세요.
내일은 이 논문을 읽고 요약하는 자료를 간단히 만들고 집에 가야겠다라던지, 공정을 바로 다음 스텝까지는 빼보겠다던지,
아니면 키워드 다섯 개는 확실히 공부하고 가겠다던지 등등 뭐든 좋습니다.
학부 4학년에서 석사 1년차가 되면 아무래도 성취의 경험을 하는 빈도가 뚝뚝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뭐든 좀 되어가는 느낌이 들어야 즐겁고 멘탈케어에도 이로우니, 단기적 및 실현 가능한 목표 설정을 추천합니다.
3. 객관적인 기준과 목표를 마련하세요
보통 내가 너무 못한다고 생각할 때 기준은 막연합니다. 그냥 논문도 슥슥 읽어야 될 것 같고 뭐든 시키는 건 다 잘 해야될 것 '같다'는 막연한 본인 생각인 경우가 많아요.
내가 어느 부분에서 부족한지, 뭘 더 해야하는지를 객관적으로 분석해보세요. 대학원때부터는 그런걸 친절하게 내게 알려주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면 대충 맞습니다.
그러나 기준을 잡는답시고 '선배들은 다 잘하는데', '동기는 다 잘하는데'처럼 생각하는건 삼가세요. 반대로 지금 선배들이 본인처럼 실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그 사람들에게 문제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선배들이 지금 하는 일이 그 연차때 내 미래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조금씩 진행해 가세요. 평균적으로 보통 그렇게 됩니다. 어지간한 선배들도 1년차땐 실수 많이 했습니다.
선배나 동기가 잘한다면 왜 잘하는지를 옆에서 보고 배우세요. 어쩌면 모범답안이 가까이에 있어 행운일수도 있습니다.
누구는 잘하는데 왜 나는... 이라고 생각하는 것보다 그렇게 보고 배우는게 훨씬 큰 도움이 됩니다. 시간이 6개월이나, 1년이나 지났는데 나 너무 못한다... 생각한다면, 자책할 시간에 바로 움직이세요.
4. 간단하게 생각하고, 정말 많이 토론하세요.
연구실험도 다른 일들과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풀릴수록 더 좋은 솔루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나의 현 상황을 파악하고 남들의 생각과 상황을 파악함에 있어서, 연구와 실험에 관해 정말 많이 토론하세요.
그러면 나는 미처 몰랐던 선배의 노하우가 어느새 술술 나오기도 하고, 말하면서 정리도 많이 됩니다.
올림픽 배구 8강전에서 김연경 선수가 지고있는 상황에 동료들에게 말을 많이 하라고 했던 것처럼,
말을 많이 해야 혼자 연구실에서 괜히 움츠러들지 않고 계속 텐션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더운 날씨에 내일도 고생하세요.
그리고 여러분 스스로 생각보다 여러분은 잘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명예의전당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97
29
33538
-
98
14
39424
-
64
15
10388
-
169
23
52948
명예의전당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74
19
28350
-
178
27
51649
고전인기
아니다 싶으면 주저하지 마세요122
26
43941
고전인기
지방대 교수의 단상139
49
72233
고전인기
착한 교수로 살기 참 빡세다168
110
73226
-
236
14
103195
고전인기
대학원 웬만하면 오지마라 (장문)128
53
151109
-
127
13
13543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3
27
- 인생을 돌아보며...
9
23
-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6
18
- 제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을 구합니다.
1
17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17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8.05
2021.08.05
2021.08.06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