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 산업공학을 해야한다,, 도메인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가봤자 소용 없다.. 다양한 이야기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정말 너무나 열린 질문이지만,, 관련해 간단한 코멘트라도 주신다면 저에겐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 고대 혹은 연대의 통계학 석사 후 인공지능이 아니더라도,, 33살에 6천 이상의 job position을 얻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일까요..?
정말 너무나도 다양한 진로,, 경우의 수가 있겠지만,
33살에 신입(아마도)으로 취업을 지원하게 될 텐데..
현실적으로 이게 가능한 일인지..
관련해 알고 있는 점들이 많이 없어,, 정말 기초적이지만 이런 질문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19.12.27
인공지능에 관심이 있다면 ai 대학원들(카이스트, 성균관대, gist 등)을 먼저 알아보세요. 이번에 처음 신입생 받았고 경쟁률도 대단했다고 합니다. 글쓴분이 바라는 전공은 통계학보다는 이쪽이신것 같아요
2019.12.27
인공지능에 관심이 있으시면 인공지능 대학원을 가는게 가장 좋죠. 물론 통계학과 관련이 아주 크지만, 개인적으로 석사만 할 생각이시다면 인공지능 대학원을가세요. 박사 생각이 있으시다면 석사 통계학 전공하는건 좋아보입니다.
John William Strutt, Lord Rayleigh
IF : 1
2019.12.29
마음은 알지만, 개인적으로 인공지능하겠다고 수학과나 통계학과 가려는걸 보면 프로그래밍 하던 학생이 컴퓨터에 대해 깊게 알아보겠다며 전자과를 가려는 느낌입니다. 그 쪽은 그쪽 나름대로 풀려는 문제들이 있고, 관점도 매우 다르며 무엇보다 통계학과에 진학한뒤에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쓰기 위해 따로 배워야하는 프로그래밍 테크닉, 실험 방법들이 생각보다 만만치 않을 겁니다.
Marcello Malpighi*
2019.12.29
1. 인공지능 쪽 연구를 위해 통계대학원 석사 진학하는 것도 괜찮은 선택 같아 보입니다. 2. 연고대 대학원 졸업하면 좋은 직장을 구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초봉 6천을 보장해 주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분 중에 학부 숭실대 졸업하고 고려대 석사 졸업해서 대기업 몇 군데 지원했지만, 중소기업에 취업한 분 있습니다. 요즘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되고 있지만, 학부 출신도 조금은 참고하는 것 같습니다.
2019.12.27
2019.12.27
2019.12.29
2019.12.29
2019.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