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카이스트 박사과정 및 전문연구요원 편입

2019.10.30

10

11229

안녕하세요!


현재 미국에서 학부를 졸업한 후 미국의 중견급 대학 기계공학과 나노공학부에서 석박통합 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직 미필이라... 내년에 귀국해서 먼저 서울대나 카이스트에서 박사 과정을 합격한 후 전문연구요원 제도를 통한 대체복무를 하고 싶은데 저 정도면 가능하려나요?


학점: 3.5/4.0, 환산하면 약 3.94/4.5 정도 됩니다.

영어: 텝스를 본 적은 없는데 미국에 오기 전인 2012년 기준으로 토플이 120점 만점에 118점이었으니 텝스는 만점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논문: 1저자 1편, 2저자 2편 정도 예상합니다


이 외에도 이런저런 학회에 참여하려고는 하는데 도움이 될지는 잘 모르겠네요.


솔직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19.10.30

서울대는 적은 TO에 다른 서울권 학교들과 경쟁이 너무 심해서.. 카이스트가 많이 유리합니다. 제가 친구에게 듣기로 어학시험 후 선발했어서 서울대 가셔도 충분히 합격하지 않을까 싶긴 하네요. 다른 평가 기준이 더 있을수도 있어요!

2019.10.30

전문연 준비생입니다. 논문, 학회 이런거 다 필요없어요. 무조건 TEPS + GPA + 국사시험 (패논패) 이렇게 900점 만점으로 각각 300점씩 환산해요. 학점은 4.3기준 4.0정도 넘고 TEPS 는 800 중반정도 되면 안정권이라고 알고 있어요. 각 학교마다 정해진 티오가 있는게 아니라 수도권 전체와 비수도권에 티오가 있는거라 그냥 본인이 잘하면 돼요...
근데 제가 사실 더 궁금한건... 미국 석사 졸이 전문연 편입 신청 대상자에 포함 되나요? 저는 한국 석박이라 잘 모르는데 오히려 저는 그게 더 걸릴 것 같기도 하네요...

2019.10.30

Roger님과 Joseph님 모두 댓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서울대는 지리적 여건 때문에 카이스트보다 낫지 않을까 해서 지원할 계획이었습니다. Joseph님 말씀대로라면 학점은 나름(?) 안정권인 듯하고 TEPS는 정말 자신 있는데... 국사시험은 ㅋㅋㅋㅋㅋ 내년 5월까지는 귀국하기 힘들 것 같은데 진짜 필요하면 난감하네요 ㅜㅜ
미국 석사 졸업한 후 먼저 박사 과정에 진학할 생각입니다. 전문연 편입은 박사 과정에 합격한 후 생각해 보려구요. 카이스트의 경우 직접 여쭤보니 현재는 박사과정 2학기 수료 후 학점 계산해서 모두 전문연 시켜 준다는데 계속 그렇게 유지될 거라는 보장은 없답니다. 서울대에는 아직 여쭤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박사과정 합격하려 해도 위에 적은 점수 정도면 괜찮으려나요?

2019.10.30

박사과정 학점일거라.. 학점 새로 따셔아 할듯 ?! 아마도요? 전화해서 확인해보세요~
Anne Brontë*

2019.10.30

텝스만점ㅋㅋ 토플만점도 900넘기기힘든데 웃고갑니다

2019.10.30

뭐.. 조금 그래도 희망을 드리자면 텝스는 해외대학 다니셨으면 문제 없을 것입니다. 저도 사실 해외고 출신이고 제가 구 SAT로 2350정도 받았는데 텝스에서 무난하게 900점대 나와요. SAT 공부를 제대로 하셨으면 진짜 텝스는 미친듯이 쉬운데, 그 이유가 word smart 등에서 나온 SAT단어들이 텝스에 거의 비슷하게 나오기 때문이에요. 토플에서는 아예 나오는 단어 수준이 차원이 다르게 낮으니... 토플 만점이라도 텝스 만점은 힘든데 역으로 텝스 잘하면 토플은 자연스럽게 잘봅니다. 본인 SAT할때 생각하면서 잘 준비하세요~~ 아마 2200점대라도 SAT 이전에 나오셨으면 텝스 800후반은 가능할거에요!

2019.10.30

Gerhart님, 학점을 새로 딴다는 게 무슨 뜻인지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환산을 해야 한다는 말씀인가요 아니면 학점이 낮다는 뜻인가요?
Anne님, TEPS-TOEFL 환산표와 토플 118점이 6년 전 미국에 오기 전의 영어 점수임을 감안해서 어림잡은 점수입니다. 뭐 제가 잘못 판단한 거라면 그때 더 웃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2019.10.30

Joseph님, 자세한 정보 감사합니다. 아직 모의고사는 본 적이 없고 기출문제 몇 개 골라서 풀어 봤는데 꽤나 쉬워 보여서 괜히 낮잡아 본 것도 있는 듯합니다. SAT는 구 SAT 기준 2250점 (650/800/800)이었는데, 시간 날때 모의고사나 한 번 봐야겠네요.

2019.10.31

리딩이 650이면 단어랑 리딩 능력이 조금 부족해보이네요. 라이팅 800이면 문법은 어느정도 잡혀 있어서 아마 800점중반은 안정권으로 나올듯해요. 저는 보통 텝스 풀면 시간이 남더라구요... 보통 단어에서 틀리는데 사실 그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그리고 3.5/4.0이면 사실 한국 석사 기준 높은 점수는 아니에요. 한국 석사는 조금만 열심히 해도 4.0/4.3은 나와서... 근데 여튼 텝스 점수로 커버 가능할 학점일 것 같아요. 끝으로, 전문연 편입은 석사 수료후~박사 수료전에 신청하는 것입니다. 그 사이에 신청한 후 박사 수료를 한 이후로부터 3년을 근무하는 것이죠. 저는 카이 재학생이 아니라 글쓴이께서 말한걸 잘은 모르겠는데 통상적으로 편입신청시 학점 계산은 100프로 석사 학점을 기반으로 계산합니다. 박사를 수료해버리면 전문연 편입 신청이 안돼요...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외국 석사 학점이 국내 전문연 편입시 어떤식으로 환산되고 적용되는지 궁금하네요. 잘 알아보셔요!

2019.10.31

그리고.. 웬만하면 군대 다녀오셔요... 외국에서 이미 학석 다 했는데 박사를 한국에서 하는 건 진짜 좀 웃긴 것 같아요... ㅋㅋㅋ 물론 과마다 다르겠지만 제 주위 교수님들 중에서 국내 학석에 해외 박사는 넘치고 넘쳐도 해외 학석에 국내 박사는 단 한명도 본적이 없어요. 이는 정출연 같은 연구소 취직 시에도 마찬가지구요. 한국이 설카포연고대 학부는 들어가기 굉장히 어렵지만 대학원은 마음만 먹으면 들어가기 쉽거든요.. 그래서 “설카 정도 대학원이면 네임벨류 있으니 상관 없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진학했다가 큰일나요. 물론 하고 싶은 분야가 특정하게 있다면 말이 달라지지만 국내에서 글쓴이께서 관심있는 분야는 외국에서는 이미 더 활발할 것이고 한국에서 정말 잘하고 관심있는 랩은 (소위 설카포 인기랩) 아마 진학하기 굉장히 힘드실거에요. 비슷한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어서 조금 자세하게 적어봤습니다. 좋은 선택하시길바라며 응원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