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냥 ...... 전반적으로 사회성 부족... 왜냐면 사회성있는 사람들은 자기 속마음을 털어놓을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것 같음. 그걸 찾는 곳이 연구실은 아니니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22 - 아뇨 그렇게 말씀하시지 말고 분야를 바꾸고 싶다고 말씀드리세요. 연구실 문제로 안간다고 말하는 건 별로 좋지 않습니다.
학부연구생 그만두려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14 - 한나씨 전형적인 꼰대 마인드네요.
학부생들도 그래서 나간 것 같네요.
'생각해보면 아는 걸 왜 물어보냐' 며 안 알려주고 꼽주는 성깔은 누구나 견디기 힘들 것 같네요. 그리고 더 심한건 자각도 없이 '너도 내 상황되면 그럴거다'라는 오만함에 '난 잘못 없다'는 뻔뻔함까지.. 한숨만 나옵니다. 인생이 잘못 되면 본인 업보인걸로 받아드리세요. 뭐 이렇게 말해도 정작 이해 못 하고 화만 낼 거니까 그 지경까지 가셨겠죠. 뭐.. 아무쪼록 잘 살아보십쇼.
학부연구생 그만두려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12 - 타대 출신이 자대생 무시하네 ㅋㅋㅋ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17 - 같은 대학원 다니고 있으면 적당히 뭐 본인 수준이랑 비슷한가보다 생각하면 되지... 들어올만 한지 수준에 대한 평가는 pi만 하면 됩니다. 본인이 뽑아주는 것도 아닌데 학점보고 학벌보고 난리가 났네요. 저는 kp 다니고 있는데 다른 사람 학점 궁금하지도 않고 물어본적도 없습니다. 자기 할 일만 잘하면 되죠.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13 - 박사생이 일에 도움이 된다고 누가그러던가요
교수님들은 학생 받으면 어떤점이 좋나요?
10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28 - 진짜 그렇게 생각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치겠네
냉정하게 니가 그 학점 따서 간 대학원을 그 친구는 학부로 다니고 있다는거임 ㅋㅋ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11 - 보통 논문 실적 욕심 있는 사람이 워라벨 생각 안하고 열심히 하고 실적도 제일 좋고 당연히 졸업 후 월급도 제일 높은 곳으로 감.
그 반대도 다 연관되어 있음.
대학원을 올 때는 각오가 되어 있어야 성공하는 것이 맞음.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6 - 돈 꽉 채워주고 이런말하는거면 인정~ 아니면 ㅆ꼰대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5 - 늦으면 시발 가지말던가 이런글 왜올림?
답정너임?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15 -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논문을 쓰기 위한 제품 개발ㅋㅋ정부 과제로 20억 10억써서 만들면 아무도 안사용 합니다. 상품성이 하나도 없어요.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1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2
서포카 입시 정리.txt
2021.02.07

서울대
인기랩과 비인기랩의 격차가 너무 큼. 인기랩은 국내 원탑인 경우가 많음.
비인기랩은 고인물, 국내 최고 대학 교수라는 명예만 가지고 사는 사람들, 갑질, 온리 타대생으로만 이루어짐. 졸업도 굉장히 힘듬. 학위와 탈모가 동시에 나옴.
이렇기 때문에 학점, 학벌의 스펙트럼이 은근히 넓음. 인기랩은 자대생도 들어가기 힘들고, 비인기랩은 낮은 학점과 낮은 학벌로 들어가는 경우도 부지기수. 또한, 컨택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입시 경쟁률이 1보다 낮게 나오는 현상이 발생.
카이스트
국립대학이고 사실상 국가에서 운영하는 대학이다보니(서울대랑은 좀 다름) 입시 전형이 굉장히 공정함. 컨택으로 서류와 면접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 같음.
또한 국가에서 운영하다보니 학벌로 짜르는 것을 부정으로 보는 것 같음. 서성한 4.0보다 지방사립대 수석이 서류 붙는 경우가 종종 있음. 그러다보니 고학벌일 경우 포스텍보다 들어가기 어렵고, 지방사립대 수석이면 카이스트는 서류 통과. 이 때문에 카이스트간걸 굉장히 자랑스럽게 여기는 학벌세탁충이 많고, 그래서인지 김박사넷에도 카이스트 훌리가 많은듯.
포스텍
국립대학형태로 시작했다가 사립대학교로 전환했음. 그래서 그런지 서류전형에서는 컨택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같지만, 면접에서는 영향이 있는 것 같음. 지역적 선호도가 카이스트보다 약간 떨어지다보니 카이스트보다 0.1정도 학점 컷이 낮을 수 있음. 그러나 지방사립대는 정말 특별한 스펙이 없는 한 거의 없는걸로 보아 학벌을 좀 보는 것 같음. 따라서 카이스트와 비교했을 때 입학난이도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음.
+ 추가로 의전원, 약대로 넘어갈 수 있는 학과들은 보통 입시가 타학과에 비해 널널한 편
화학과나 생명공학과가 해당됨.
+ 자연계보다는 공대가 좀 더 입시 커트가 높은 것 같음.
그 이유는 학부는 자연계, 대학원은 공대로 이동하는 자연계 학부생들은 많은 반면, 공대 출신 자연대 대학원 가는 공대생은 거의 없음.
입시 해본 사람들은 많이 공감할거라고 생각. 위 세개 대학이면 네임벨류 차이는 없고 가서 하기 나름. 다만, 서울대 비인기랩을 서포카 가고싶다고 가는 경우는 정말 비추천함.
서카포 자대생 인식 김GPT 130 27 75805
서카포 학부 입결 정리 김GPT 13 17 14279-
17 6 12475
서카포? 김GPT 19 8 6765
서카포도 오는 하위권대학 랩실 김GPT 1 16 4666
왜 설포카냐고? 김GPT 18 15 11710-
20 19 31442
서카포 카포서 포서카 정리해준다 김GPT 3 2 4048
여기서 서포카 비교하고 있는애들 김GPT 7 10 7833-
161 32 44043 -
217 34 28380 -
134 15 5817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5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79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106 - 저 MDPI저널 3편냈습니다.
76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08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26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63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7 - 천재란 무엇일까요?
12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29 - 논문을썼다
7 - 해외 박사과정중 연구테마 (일본 사회연구분야) 에 대해서 느낀점
5 - 지금 그만두기엔 아까운건 알지만 그래도 포기하고 싶다면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교수님들은 학생 받으면 어떤점이 좋나요?
9 - 학부연구생 그만두려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33 - 박사를 포기하려고 합니다.
21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3 - 공대 석사 월급
1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20 - 카이스트 ai 면접
7 -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0 - 부산 지방국립대 대학원 진학 (지거국x)
6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6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4 - 이거 거절일까요?
10 - 안녕하세요 대학교 1학년 신입생이 학석사 관련하여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5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79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106 - 저 MDPI저널 3편냈습니다.
76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08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26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63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7 - 천재란 무엇일까요?
12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29 - 논문을썼다
7 - 해외 박사과정중 연구테마 (일본 사회연구분야) 에 대해서 느낀점
5 - 지금 그만두기엔 아까운건 알지만 그래도 포기하고 싶다면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부연구생 그만두려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33 - 박사를 포기하려고 합니다.
21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3 - 공대 석사 월급
1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20 - 카이스트 ai 면접
7 -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0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4 - 이거 거절일까요?
10 - 안녕하세요 대학교 1학년 신입생이 학석사 관련하여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9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18 - 인종구성 원래 이런가요
7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2

empty
empty
2021.02.07
2021.02.07
2021.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