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AI 면 학회 말하시는 거 같은데, 일반적으로 NIPS 와 비슷한 급입니다. 오히려 예전에는 AAAI 가 최상이었는데 (학회 역사가 제일 길어요) 지금은 AI 학회 3대장 (ICML, NIPS, AAAI) 중의 하나로 봅니다. 요 3 개 학회는 억셉률도 비슷하게 가구요(20% 전후). 다만 다루는 주제의 성격은 서로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NIPS 는 AI 이론에 포커스를 좀 더 맞췄다면 AAAI 는 응용을 포함해서 더 광범위한 인공지능 기술을 다룹니다.
2020.12.02
우리는 AAAI 두개쓰면 졸업시켜주는데 ㄷㄷ
2020.12.02
티어 구분은 주관적이긴 하지만 요즘 ml 3대장은 neurips, icml, iclr 라고 보고, aaai는 ijcai급의 1.5티어라고 봄. 다만 iclr가 7년인가 밖에 안돼서 여러 지표에서 불리함. 그리고 좋은 논문을 aaai에 내는걸 좀 꺼려하는 사람 많음. 그 외로 nlp 3대장 acl, emnlp, naacl과 비젼 3대장 cvpr, iccv, eccv도 탑티어 ai학회들.
2020.12.02
+ 개인적으로 탑 학회의 정의는 내가 정말 좋은 breakthrough급 결과가 있을 때, (분야가 맞능 경우) 해당학회에 내는게 조금이라도 꺼려지는가 여부임. aaai에 좋은 논문이 많지만 다른 세 학회에 비해선 확실히 최근 5-10년동안 breakthrough급이 거의 없음.
2020.12.02
윗 분 말에 동의하는 편이지만 딥러닝 분야에서는 ijcai보다는 aaai가 훨씬 낫다고 생각하고 개인적으로 aaai가 엄청 꺼려질 정도인지까지는 잘 모르겠네요 확실히 aaai에서 seminal paper가 적다곤 해도 꾸준히 나오는 편이고요
2020.12.02
어쨋든 aaai가 탑티어냐라고 했을때 아니라고 할 사람은 거의 없을거같고 neurips, icml, iclr top 3 다음 정도 간다는게 대부분의 생각일 거 같네요
IF : 1
2020.12.02
https://github.com/lixin4ever/Conference-Acceptance-Rate
정성적인 평가를 배제하고 수치만 일단 보는게 좋습니다.
ICLR 은 최근에 핫한 컨퍼런스이고 주목할만한 연구도 보이지만 아직 짬으로 보나 수치(제출편수, 억셉률)로 보나, NIPS, ICML, AAAI 는 둘째치고 IJCAI 보다도 못합니다 (2017 년 ICLR 억셉률은 무려 40 퍼입니다. 억셉률이 평가의 전부는 아니지만 A급 학회라고 보기는 힘든 수치였죠, 지금은 20퍼센트 후반까지 내려가긴 했는데 그래도 높은 편입니다). 물론 이 추세로, 한 5-10 년 정도만 더 지나면 명실공히 탑이겠지만, 지금은 그냥 성장세가 아주 높은 신예정도로 보구요.
특히 국내 취업을 생각하신다면 ICLR에 좋은 논문 제출하는거 아직은 비추입니다. 아직 SCI 저널 급 인정 학회 목록에도 못 들어갔어요. 최근에 IBS 에서 인공지능 관련 포닥 구하는 글 봤었는데 AI 학회 우수 실적 인정으로 ICML, NIPS, AAAI, KDD(!) 4 개 넣어주더군요.
John Hunter*
2020.12.02
Aaai가 최상이었던 적은 없음 오히려 옛날엔 닙스가 싱글트랙이라 논문내기 훨씬 더 힘들었음
2020.12.03
sa
2020.12.03
ICLR이 acceptance rate이 낮다고 지적하는 글이 있는데, 그건 동일한 due에 AAAI가 급낮은 논문을 흡수해서 그런겁니다. h5 인덱스만 봐도 iclr>=neurips>=icml>>aaai 인데요; 보통 ml 연구하는 사람들 듀에 임박해서 iclr / neurips / icml 가장 가까운 데 내고, 세군데 다 떨어지면 생각해보는 데가 aaai입니다.
2020.12.03
+ Wilhelm Ostwald 님 댓글이 정확한 거 같네요
IF : 1
2020.12.03
AAAI 는 ML 만 전문으로 하는 학회가 아닙니다. 응용까지 포함해서 더 넓은 범위를 다루죠. 요즘은 일반 AI 보다 ML 이랑 딥러닝이 핫하니까 h5 인덱스가 높을 뿐입니다. 게다가 AAAI 의 논문수가 많다보니 당연히 논문 숫자를 적게 가져가는 ICLR 이 높을 수밖에요 (그래서 심지어 NIPS 보다도 훨씬 높지 않습니까? 하지만 그렇다고 ICLR 이 NIPS 보다 좋은 학회는 아니죠) KDD 의 경우도 명실공히 탑 티어 컨퍼런스지만 h5 인덱스는 100 도 안돼요. h5 인덱스 단순 비교는 맞지 않는 주장입니다.
딥러닝 한정으로는 오히려 구글(본사)에 계신 researcher 분들께 물어봤을때는 ICLR을 더 높게 치는 분들도 있고요, 다만 AAAI는 어딘가 교수임용 등의 평가에서는 아직 1티어들과 동일한 점수로 매겨줍니다.
IF : 1
2020.12.21
위에 동분야 연구자라는 분은 굉장히 재미있는 소리를 하시네요. ㅋㅋ CVPR 과 ICCV, ECCV 는 컴퓨터 비전이고 EMNLP 는 자연어 처리 학회입니다. 서로 분야가 다 다른데 무슨 티어를 같이 붙입니까.
대댓글 2개
2021.05.14
분야가 다른 건 맞지만 굳이 비교하자면 제가 한 비교가 맞는 것 같은데요? 탑3컨퍼에 논문 되면 제일 좋고 CVPR이랑 EMNLP는 submit기간 맞춰서 내면 탑3에 비교해서 크게 아쉬울건 없는 정도로 느껴지는 정도라 그렇게 쓴거지요. 저는 Vision을 하는데 연구실에 NLP하는 친구들과 얘기해봐도 비슷합니다
2021.10.10
아니 어떤 연구실이길래 cvpr이 후순위입니까 굳이 따지자면 cvpr nips eccv iccv iclr 순이죠! 참 웃긴 연구실이네요! 비전연구하는 랩실 맞나요?
2020.12.02
2020.12.02
2020.12.02
2020.12.02
2020.12.02
2020.12.02
2020.12.02
2020.12.02
2020.12.02
2020.12.02
2020.12.02
2020.12.02
2020.12.03
2020.12.03
2020.12.03
2020.12.03
2020.12.21
2020.12.21
2020.12.21
대댓글 2개
2021.05.14
2021.10.10
2025.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