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아 감사합니다.
그런데 요즘 2차원 물질 개발이 핫하다고 본 것 같은데.. 별로인가요??
2020.11.17
어디서 핫하다는지 모르겠네요 이차원 물질이라는 건 기본적으로 박막 아니면 그래핀인데 그래핀은 그냥 헛물캐는 연구용으로 산업에서 이용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구요 현재는 박막같은 경우는 그나마 할만한데가 있는데 그 마저도 실제 산업 현장에선 주로 코팅하는데 이용이 될 뿐 막 전망이 좋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2020.11.17
low k는 반도체 back end에서 cross talk 방지 하는 쪽으로 매우 중요하고 MOSFET에서 spacer쪽에 low k가 매우 중요합니다. high-k만 좋은게 아니에요 .high-k는 MOS에서 oxide 용으로 좋은 것이고.
대댓글 1개
2024.02.21
반잘알 ㅋㅋ
2020.11.17
전망을 알면 주식을 합니다.
2D material은 논문 같은건 잘 나오는 편이긴한데 실제에서 써먹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Low-K면 논문이 어느정도 나오는지는 모르겠지만 (최근에 사이언스인가 네이처 나온건 있었죠 ) 위에 Zinder님이 말씀하신대로 산업에서는 중요시하게 볼 겁니다. 위에 언급한 논문이 삼성 지원 받은거였으니까요
Alfred Marshall*
2020.11.17
2차원 소재로 반도체의 집적도를 높여서, 인터넷 기사만 봐도 '꿈의소재' 이런 표현이 쓰이는데, 전망이 별로인가요??
진짜 몰라서 물어봅니다ㅠ
2020.11.17
그래핀도 꿈의 소재입니다
2020.11.17
전망은 아무도 모른다니까요
알면 주식을 하지 대학원 안 가죠 ㅋㅋ
2020.11.18
2차원 소재가 각광받는건 기기가 소형화되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웨어러블 기기가 되려면 구부려져야하는데 지금 소재들은 그런 특성이 없고요.
2020.11.18
low k 역시 capacitor로서 역할을 잘 하지않는 절연층 때문에 기업에서 활발히 합니다
2020.11.17
2020.11.17
2020.11.17
2020.11.17
2020.11.17
대댓글 1개
2024.02.21
2020.11.17
2020.11.17
2020.11.17
2020.11.17
2020.11.18
202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