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IEEE ACCESS 수준

2025.09.03

16

2961

석사 졸업을 앞두고 있고 IEEE ACCESS 1저자로 리비전 중입니다.
저는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서칭해보면 돈만 주면 붙는다 등 수준이 많이 낮다고 보시는 것 같네요.
교수님과 선배님들도 쓰는 것을 추천하셨고, 저도 리비전 하면서 굉장히 힘들고 공을 많이 들였는데 그렇게 내려치기 당할 수준인가요?
Trans 보다 안좋은 것은 알고있는데, 석사 졸업 후 정출연도 못 갈 수준의 저널인지 알고 싶습니다.
분야는 AI + 도메인 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9.03

BEST 주변을 나름 분석해본 바로는 석사때 탑티어 ai 학회 쓰는 학생은 spk에서도 에이스급이거나 지도교수님이 도와주거나 주제 잘 잡는 거처럼 잘 풀린 경우인듯
박사과정 진학할꺼면 진행하던 연구 더 잘 해서 좋은데 내면 되니 굳이 ieee access 쓸 필요 없음
따라서 ieee access 내지는 mdpi 같은 곳은 석사만 하고 나가는 학생이 한 연구가 뭐가 되긴 됐는데 그 연구를 더 이어나갈 사람이 랩실에 없거나 지도교수님도 실적 필요하니까 그냥 마무리 해버리자는 차원에서 내는 경우가 많은듯
ieee access면 그래도 있으면 면접에서 말할거리 하나 더 생기는거라고 보면 될듯 (mdpi는 더 안따지겠음)
없는거보단 낫고 그렇다고 있다고 해서 확실한 플러스 알파를 만들어주진 않는 느낌
참고로 마무리 차원에 ieee access나 mdpi 조차 안내고 더 밑에 급 전통있는 저널 내는 경우도 있음

대댓글 3개

2025.09.03

밑에 파스칼님 댓글 보고 추가로 말씀드리면 rapid publication 외에는 장점이 없음
진짜 말그대로 q2 수준이면서 mdpi가 아닌 rapid publication이 필요한 경우에만 낸다고 보면 됨

2025.09.04

랩바랩인데 ai 는 교수님에 따라 누구는 쓰레기같이 써도 통과 되던데

2025.09.05

@코르페니쿠스님

그거도 결국 잘 풀린 케이스라고 봐야겠죠
별 수 있나요
인생이 다 실력에 비례하게 풀리진 않는걸요

2025.09.03

주변을 나름 분석해본 바로는 석사때 탑티어 ai 학회 쓰는 학생은 spk에서도 에이스급이거나 지도교수님이 도와주거나 주제 잘 잡는 거처럼 잘 풀린 경우인듯
박사과정 진학할꺼면 진행하던 연구 더 잘 해서 좋은데 내면 되니 굳이 ieee access 쓸 필요 없음
따라서 ieee access 내지는 mdpi 같은 곳은 석사만 하고 나가는 학생이 한 연구가 뭐가 되긴 됐는데 그 연구를 더 이어나갈 사람이 랩실에 없거나 지도교수님도 실적 필요하니까 그냥 마무리 해버리자는 차원에서 내는 경우가 많은듯
ieee access면 그래도 있으면 면접에서 말할거리 하나 더 생기는거라고 보면 될듯 (mdpi는 더 안따지겠음)
없는거보단 낫고 그렇다고 있다고 해서 확실한 플러스 알파를 만들어주진 않는 느낌
참고로 마무리 차원에 ieee access나 mdpi 조차 안내고 더 밑에 급 전통있는 저널 내는 경우도 있음

대댓글 3개

2025.09.03

밑에 파스칼님 댓글 보고 추가로 말씀드리면 rapid publication 외에는 장점이 없음
진짜 말그대로 q2 수준이면서 mdpi가 아닌 rapid publication이 필요한 경우에만 낸다고 보면 됨

2025.09.04

랩바랩인데 ai 는 교수님에 따라 누구는 쓰레기같이 써도 통과 되던데

2025.09.05

@코르페니쿠스님

그거도 결국 잘 풀린 케이스라고 봐야겠죠
별 수 있나요
인생이 다 실력에 비례하게 풀리진 않는걸요

2025.09.03

내려치기가 아니라 솔직히 현재는 좋은 평을 내리기 힘든 저널입니다. 급격하게 몸집을 불리다가 퀄리티 유지에 실패하였고 여러 지표에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는 저널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저널의 전체 피인용수 자체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음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 이는 사람들이 해당 저널을 점점 안 읽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석사 학생이 access더라도 sci 한편을 쓰고 졸업한 것은 우수한 실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냉정히 access라는 저널만 놓고 보자면 좋은 평을 내리기 힘든 저널인 건 맞다고 생각합니다.

2025.09.03

역사를 봐야죠

Access If 뻥튀기

--> 사람들 마구잡이로 투고 및 돈만 주면 붙음

--> 문제 제기 및 논문 퀄리티 대참사

--> 이미지 나락

--> Access IF 나락

현재입니다.

2025.09.04

네.
본인이 공들여했다하는 리뷰 이상이 기본인게 Trans 논문입니다.
역사적으로도 논문질로도 내려치기 당하는게 당연합니다.
저는 실적심사시 IEEE Access 나 MBPI 있음 그냥 넘깁니다.
그거 없이 실적 채우는 분 많은데 굳이 집중해서 안보게 됩니다

대댓글 2개

2025.09.04

석사한테 기본이 IEEE Trans ㅋㅋㅋ
IEEE TAI가 한 라운드에 3달인데 석사가 리비전 없이 내자마자 한 라운드에 통과될 리 없고
IEEE TPAMI는 한 라운드에 6달 이상인데
석사 졸업하는 데 3~4년 걸릴 듯

2025.09.04

글을 제대로 읽지를 못하는군요.

내려치기 당할정도 인가요?에 대한 답 예스

IEEE Access 공들여 쓰고있다하는데 그 정도가 Trans 쓰는데는 기본이다 비교 내용.

석사가 Trans 쓰는게 기본이라 한적이 없는데 무슨 소리인지...

IEEE Access 가 비교 절하당하는게 당연하다는 말인데...

저런...

2025.09.04

윗분은 석사 졸업생을 대상으로 보는게 아니라, 박사졸업생을 보시는것 같고요.
석사졸업생의 실적, 혹은 박사졸업생도 서브실적으로는 충분한 저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나저나 석사 졸업하고 정출연도 못갈정도라는 말은 뭔말씀이신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전 규모가 큰 etri에 선임으로 근무하다가 퇴사했었지만, 큰 기관임에도 석사입학생은 흔치는 않았습니다. 예전에 갑작스럽게 퇴사/창업붐이 있고 규모불릴때 대거채용하면서 다양한 출신들 박사+석사졸업생 입사가 흔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건 한참전이고, 오히려 지금 그때 들어오신 분들이 x판을 치시는게 문제가 되고있긴하지만요.

2025.09.04

IEEE Access 내려는거면 AI쪽 포커스인거 같은데, 차라리 탑티어 워크샵에 내는게 나을수도

2025.09.04

석사라면 OK 잘했음. 뭐든 연구를 마무리 했다는 의미에서 허접하다느니 돈만 주면 된다느니 그런 내려치기는 2년이라는 기간동안 처음부터 연구실에서 전공 배우면서 마무리하기했다는 점에서 너무하다고 생각되며 고생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함.
다만 교수와 박사의 경우에는 실적이나 양을 채우려는 용도? 어디가서 대표 논문이라 말할 수는 없죠

2025.09.04

석사면 괜찮은 선택임
내가 박사할 땐 박사들 기준으로 지금(q2)과 달리 q1인데도 차라리 q2를 냈음냈지 access에는 안 낸다이긴 했었음. 그래도 mdpi급은 아니고

2025.09.04

JCR 은 Q2, SCIMAGO는 Q1. 즉 모든 저널중에 상위 10퍼는 됩니다. SCIE, SSCI 저널이면 엄청 대단한겁니다. 대신 다른 좋은 SCIE 보다 낮다, 예전보다 안좋다는 거구요. 여기 게재 안되어서 조교수에서 부교수로 승진 못하는 거점국립대 교수들도 있습니다.

2025.09.05

도처에 산재해 있는 심각한 문제가, 항상 남을 내려치면서 보다 쉽게 상대적 우위에 서고자 하는 얄팍함이라고 생각합니다.

2025.09.05

너무 자기평가 절하 하시지 말길요. 김박사넷은 모두가 노벨상 예비 수여자입니다. 석사는 물리적 시간 자체가 부족해서 실적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본인 학교 옆 연구실들 홈피 가서 퍼블리케이션에 석사가 1저자로 SCI나 BK=1점대 학회지 쓴 사람 있는지 살펴보면 알잖아요 ㅎㅎ 일단 대전 과기원인데 여기는 전혀 수두룩하지 않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