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025.07.30

35

11641

학부 앙대-석사 Y입니다, 평소 김박사넷을 잘 보지 않다가 며칠 전부터 알게 되어 열심히 정보 보고 있네요.
그런데 P에 대한 여론이 되게 안좋은 것 같네요..
제가 박사 생각하고 컨택한 교수님이 P이고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서 희망찬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여론을 보니 좀 당황스럽습니다.
타대생으로서 제가 알지 못하는 부분이 있을거라 생각하여 어떤점 때문에 별로일지 선배님들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물론 여론 안좋다고 마음 바뀌진 않습니다만 마음의 준비라도 해가고 싶네용..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5개

2025.07.30

BEST SK에 비해서 선호도가 좀 떨어지긴 하지만 P는 여전히 명실상부한 최고의 공대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적고 지방에 있다는 이유로 일부 타대 훌리들이 내려치기하기 딱 좋은 타겟인거죠.
무슨 별 의미도 없는 대학 랭킹 같은거 들이밀면서 뭐라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연구 수준과 성과, 학생 지원 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고 수준입니다.

2025.07.30

SK에 비해서 선호도가 좀 떨어지긴 하지만 P는 여전히 명실상부한 최고의 공대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적고 지방에 있다는 이유로 일부 타대 훌리들이 내려치기하기 딱 좋은 타겟인거죠.
무슨 별 의미도 없는 대학 랭킹 같은거 들이밀면서 뭐라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연구 수준과 성과, 학생 지원 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고 수준입니다.

2025.07.30

학위 이후 학계에 그리 오래 있지는 않았지만, P가 별로인가 라는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포항공대는 누구나 최고의 역량을 가진 학교로 인정하고, 그 이름값을 하는 학교입니다. 최근 도전적인 투자도 많이 하구요. 서울대 카이스트와 어깨를 나란히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으니, 학교를 걱정하지 마시고 앞으로 오랜 기간 해야 할 박사과정의 주제와 목적의식에 집중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김박사넷 내에서 여론이 안좋다는 것도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김박사넷에서도 다들 서카포, SPK 등등 표현을 당연하게 쓰는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훌륭한 학위 과정 보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5.07.30

앙대앙대

2025.07.30

Pai Chai 는 아직 명문사학이죠

대댓글 1개

2025.08.01

배재출신이 여깄네 ㅋㅋ

2025.07.30

P로 진학하고 나서 탑티어 논문 1저자 2개 쓰고 빅테크 인턴까지 다녀왔습니다. 포스텍 아니면 이렇게 값진 경험 할 수 있나 싶어서 개인적으로는 정말 학교에 감사하고 있어요.

2025.07.30

걱정에 그런 글만 눈에 띄시는 것 같아요. 커뮤니티야 모두까기 하는 곳이고 여기 자주 오는 건 아니지만 그런 여론도 느껴본 적 없습니다

2025.07.30

깔게없어 지방에 놀게없다는거로 까이는거죠. 안와보고 까는데 있을거다있고 연구하기 너무좋습니다.

2025.07.30

현재 육사나 이대의 명성이 과거만 한가요? 다 시대가 바뀌면서 그렇게 변할 건 변해가는 거죠. P도 지방 쇠락에 맞춰서 선호도가 조금 떨어지고 있는 거라고 봅니다.

대댓글 3개

2025.07.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P는 지방쇠락이라기 보단 SK같이 비슷한 급의 대체대학이 있어서 경쟁력을 잃은 것이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파일럿을 할 수 있다는 강점 때문에 육사보다 공사를 더 선호하는 지원자가 생겨서 경쟁력이 떨어질 수도 있구요. 이대는 인서울임에도 불구하고 과거에 비해 많이 낮아진 사회적 인식이때문이죠.

2025.07.30

포공 처음 생긴 80, 90년대에
교통도 핸드폰도 없었는데
오히려 그때는 학부기준
간혹 포공 떨어지고 서울대 합격하기도 했는데?

지방쇠락은 핑계고
인터넷 조리돌림질 때문이지


2025.07.30

육사는 다른 직업 대비 직업군인에 대한 사회 인식과 이대는 남녀가 다니는 종합대 대비 여대에 대한 여자들의 인식 변화로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고, P대는 명문대라도 지방에 대한 선호도 저하가 이를 상쇄해 가고 있다고 봅니다. P대에 대한 이런 논쟁 자체가 자꾸 나온다는 것이 과거에는 생각도 못할일이지요.
성실한 마이클 패러데이*

2025.07.30

다 좋아요. 대학간판보고 대학원가나요

2025.07.30

SKP가 서로 대체제라는 의견과는 약간 다른 생각입니다. 세 대학은 엄연히 모토와 학풍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P 목표는 SK가 아닙니다 칼텍이죠. 그리고 S, K 목표는 하버드와 MIT 입니다. 서로 모델도 다른 학교들을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는게 이상한거 같습니다.

한국 최고 소수 정예 공대 = 포스텍
한국 최고 종합대 = 서울대
한국 최고 융합 공대(??) = 카이스트

카이스트는 공대지만 규모도 더 크고 포스텍 대비 문과 기반의 랩도 많은 등 MIT를 표방하고 있죠. 아무튼 위 기준을 부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SKP 라고 많이 묶어 부르는 것이구요.

대댓글 1개

2025.07.30

핸드폰으로 대충 적어서 두서가 없는데, P에서는 계속해서 학부생/대학원생 1인당 지원을 늘리고 있는게 체감이 됩니다. 윗분이 적으신것 처럼 단기유학, 연구참여, 학회, 심지어 최근에는 창업까지 굉장히 다양한 기회를 엄청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공학도로서 개인의 성장 측면에서 최고의 대학이라 생각하는데, 규모에서 불리한 측면으로 인해 인터넷상에서 단점이 더 크게 부각되어 보이는 것 같습니다

2025.07.30

냉정히 얘기하면 지방 사립대의 한계가 보이죠.
S는 굳건하고, K는 위치도 포항보다 좋고, 등록금도 없고, AI대학원과 관련 정책으로 이익을 많이 봤죠.
포공은 지방에다 사립이라... 서울 선호하는 학생들한테는 yk 보다도 선호가 밀리는 경우도 있고, 다른 지방 과기원들 또한 등록금 무료에 정부 지원금 많이 받다보니... 대체 대학들과 비교해서 p의 메리트가 줄어드는 느낌인것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8.05

등록금가지고 까는건 이해가 잘 안되네요..
엥간한 연구실 등록금에 생활비 이상은 다 얹어주는데.. 금전적인부분은 k+ist와 크게 다를건 없다 느낍니다

2025.07.31

분야에 따라 다를 듯 합니다. 기초과학은 P도 너무 좋은데산학협력이 중요한 분야들은 위치때문이 불리 합니다.

2025.07.31

지거국에서 대학원 진학 준비 중인데 P가 내려갔다는 인식이 점점 커지는 결정적인 이유는 석박 과정으로 지원하면 바로 뽑아주겠다고 하는 교수님들이 많아 SK보다 훨씬 무리 없이 들어갈 수 있는 것도 한 몫 한다고 봅니다. 물론 타대도 석박 과정을 이용하면 조금 더 수월하게 진학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유독 P에서 인턴을 하고 온 친구들이 석박 지원하면 확실하게 뽑아주겠다는 소리를 다 듣고오더군요, 아마 학교 성향 차이인 것 같습니다.

2025.07.31

다른건데

너무 틀어박혀서 자기들끼리 살아서 그런지 사회성 엉망임

거기에 박사까지하고 교수하고 있는 사람들 사회성 리얼 최강이다 가까이하기 싫다...ㅋㅋㅋ

2025.07.31

댓글은 포공 빨아주는것들 뿐이네요 인생 전체로봤을때 매우 손해입니다 시야를 넓게 가지세요 제발

대댓글 1개

2025.07.31

뭐에 손해죠ㅋㅋㅋㅋㅋㅋ 그냥 무작정 욕을 하시네요. 적어도 공대생이면 근거라도…

2025.07.31

그냥 까고 싶어서 까는 것이지 뭐 대단한 마땅한 이유가 없다고 봄. 만약 포스텍을 깔 것 같으면 대전이라는 정말 볼 것 없는 도시의 카이스트도 까야 하는데 이 것만 보더라도 그냥 포스텍을 까고 싶어서 까는 것임.

2025.07.31

포스텍을 까는 미친 소리에 신경 쓸 일이 조금도 없음. 그냥 포스텍은 자신의 길을 거기만 하면 됨. 요즘 인터넷으로 안되는 것이 거의 없는 세상에 서울이라고 뭐 그렇게 대단한 것이 있지도 않음.

대댓글 1개

2025.08.01

미친 소리라고 한 것은 사과함. 과격한 표현이었음. 하지만 다른 대학을 비난하는 것은 자제를 하여야 함.

2025.07.31

나도 대전 카이스트를 한 번 까볼까 한다. 하도 포스텍을 깐다고 하여 나도 뭐 대전 카이스트를 깐다 한들 뭐라 안하겠지. 대전 솔직히 뭐가 있나? 주말이면 다들 심심해서 죽을려고 한다. 갈 데라고는 어디 무슨 산에 등산하러 가든지 토속 음식 먹으러 가던지 백화점에 가야하는 것이 솔직히 다임. 그런데 요즘 빵을 많이 좋아하더지. 그럼 포항과 비교해보면 빵집은 많이 있으니 동점이고 산보다 바다가 좋으니 이 것은 압승이고 백화점은 대전이 많으니 그 것은 대전이 이기고 뭐 사실 대전이 포항보다 나은 점이 솔직히 뭐가 있나? 연구단지가 있다지만 포항에는 포스텍의 어머니 아버지 포스코가 있는데 비교가 되겠나?

대댓글 1개

2025.08.01

대전도 좋은 도시이고 카이스트도 좋은 대학임. 대전과 대학을 비난하는 것에 사과함. 다른 대학을 비난하는 행위는 이제 그만 하였으면 함. 특히 포스텍을 비난하는 일에 동참하지 말기를 바람.

2025.07.31

서울대도 깔 수 있는데 참는다.

2025.07.31

이제는 유가 올라오지

2025.08.01

근데 대학원 진학에 학교 네임밸류를 너무 보는거 아닌가? 다른 대학도 아니고 P 정도면 네임밸류 적당히 괜찮고 그냥 좋은 연구실 가면 되는 건데... S가 아무리 좋아도 연구실이 별로면 말짱 도루묵..

2025.08.01

오지마 ㅋ

2025.08.01

이름값만 보자면 국내 대학 최상급 중 하나임은 명백하고, 그것보다 중요한건 어떤 연구실에서 본인이 어떤 연구를 하느냐죠
학부생도 아니고 석사과정 마무리 중이시면.. 이미 잘 아실거라 생각되네요

2025.08.02

처우와 역량은 최고지!

2025.08.06

연구만 할거면 가세요.

2025.08.07

p가 좋은 대학인 것은 맞으나 대외적인 인식, 위치, 정책에 따른 수혜(국립 사립에 따른 지원 혜택), 교수님들의 잦은 이직(p와 u대학에서 교수님들이 이직 많이 하심), 인구수 등에서 sk에게 약간 뒤처지는 것은 사실이라 봅니다. 그럼에도 좋은 대학인 건 분명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