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올렸더니 몇몇 분들이 랩마다 다르다고 잘 주는 교수도 있다고 하셨네요. 아이고... 그걸 모르겠습니까?
요지는 그런 랩 차이 따위를 고려할 필요 없이 좋은 대학들은 시스템적으로 잘되어 있습니다.
돈 많은 랩 고르려다가 자기랑 안 맞는 연구 분야 고르게 될 수가 있어요.
반면에 교수가 연구비를 잘 못 따와도 학교에서 정해진 금액을 주도록 규정화 되어 있는 대학들이 있어요.
그런 시스템이 비교적 잘 되어 있는 게 서울대랑 -ist들이죠. 넓게 보면 이공계 스타이펜드 참여하는 29개 대학이 될 수가 있고요.
반면에 어중간한 인서울 사립대는 각종 구멍과 함정을 장학제도 내에 만들어서 그런 안전망을 무력화 합니다
예를 들어, '조교'를 하면 한 학기 360을 받을 수 있지만 인건비 지급이 아니라 '등록금 범위 내' 고지서 감면만 가능하다거나
박사과정은 전일제 학생의 등록금을 면제를 해주지만 반드시 부모님 소득증명서를 떼오도록 요구한다거나
(부모님 이혼 등의 문제로 관계 단절로 인해 타대로 진학한 학생들을 실제로 봄)
성적 장학금을 준다고 크게 떠벌리며 홍보해놓고 그 밑에 아주 작은 글씨로 동점자 수가 많으면 예산 범위 내에서 조정된다고 써놓고
4.5/4.5인데도 못 받는 학생들이 여럿이라거나 그런 일이 심심찮게 있습니다.
사실상 할 거 다 해도 장학금을 제대로 못 받는 거죠.
반면에 진짜 좋은 대학은 연구실이 돈이 많은지 그렇지 않은지 따위와 전혀 상관 없이 까다롭지 않게
'시스템적으로' 등록금 면제와 스타이펜드를 받으며 다닐 수가 있습니다.
이게 중요한 차이죠. 진짜 좋은 대학 다니고 장학금 지원 빵빵하게 받고 다니셔서 이런 구멍들 앞에서 좌절해보신 적이 별로 없나보네요.
그러니 어중간한 인서울 사립대는 비추천 하는 겁니다.
여기서 어중간한 인서울 사립대가 뭐냐고 물으신다면 ssh 밑이면서,
이공계 스타이펜드 29개 참여 대학에도 자발적으로 들기를 거부한 대학들을 말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2개
2025.07.25
BEST공대면 최소 SSH 이상으로 대학원가세요 여러분. 정말입니다. 대가 수준의 자대 연구실이 아니면 석사 이상은 비추이며 애초에 시작을 하면 안됩니다..ㅋㅋ
대댓글 2개
2025.07.26
SSH도 대학원으로는 개별론데 여기서 언급되는 불안한 상황들을 피하려면 spk가 시작임
2025.08.03
대가가 그런 대학교에 남아있을리가 없지 대가의 입장에선 연구환경과 인적 풀 차이 때문에 더 좋은 곳으로 갈 수 밖에 없음 게다가 대가니까 실적이 좋을 거고 그걸 싫어할 대학교는 없음
2025.07.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사실 여기서 그렇게 떠드는 애들 거의다 현실도 모르는 어중간한 학교일거라 생각합니다. 모든지 본인들이 그 세상을 보기전에는 모르는 법이니깐요.
대댓글 1개
못된 게오르크 헤겔*
2025.07.25
진짜 오만하네ㅋㅋ
2025.07.25
공대면 최소 SSH 이상으로 대학원가세요 여러분. 정말입니다. 대가 수준의 자대 연구실이 아니면 석사 이상은 비추이며 애초에 시작을 하면 안됩니다..ㅋㅋ
대댓글 2개
2025.07.26
SSH도 대학원으로는 개별론데 여기서 언급되는 불안한 상황들을 피하려면 spk가 시작임
2025.08.03
대가가 그런 대학교에 남아있을리가 없지 대가의 입장에선 연구환경과 인적 풀 차이 때문에 더 좋은 곳으로 갈 수 밖에 없음 게다가 대가니까 실적이 좋을 거고 그걸 싫어할 대학교는 없음
2025.07.25
애초에 대학원을 PKSKY 이하로 가는게 큰 문제
대댓글 3개
2025.07.26
이하?ㅋㅋㅋ PKSKY도 가지 말란 소리네?ㅋㅋ
2025.07.26
P는 대학원가믄 ㅈ댐이제 재정도없음
2025.07.27
PKS라고하는거 보니 P 다니다보네
못된 게오르크 헤겔*
2025.07.25
뭐 자꾸 남 한테 가라마라인지ㅋㅋ 좋은곳도 있고 나쁜곳도 있고 일반화는 하여간
2025.07.25
진짜 미친놈이세요?
대댓글 1개
2025.08.03
틀린말하나없는데 대체 어디서 긁힌건가요
2025.07.25
이건 학교 입결/수준 차이가 아니고 학교 재정 차이죠. 글쓴이 말에 따르면 지거국은 또 해당 안됨요. 지거국 좋은 랩실은 지원과 교수 모두 좋긴합니다.
2025.07.26
이걸로 논문한편 쓰겠네
2025.07.26
왜 긁히는거지 당연한거같은데
대댓글 3개
2025.07.26
나도 동의하는데 왜 댓글들 의견이 극으로 갈리는지 모르겠음.
2025.07.26
당연히 좋은 학교 다니는 애들에 비해 잡대생이 압도적으로 많으니 극으로 갈리지 ㅋㅋ
2025.07.26
잡대생들만 몰려서 다들 spk에서 미국 탑스쿨 코스프레까지 다양하게 하다가 현실을 마주하게 된거임
2025.07.26
케바케는 당연히 존재하지만 평균이란게 있는건데 댓글왜이럼
2025.07.26
서민의 구원을 외치던 예수는 서민들 손에 죽었음.
2025.07.26
저는 해당 글이 일반화가 있다고 봅니다 ssh바로 밑 학교에서 석사과정 1년차인데 교수님이 등록금 다 내주시고 월급도 270정도 받으면서 감사하게 대학원 다니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연구실적이 꾸지냐 ? 1년차에 상위 5퍼 저널논문 2저자 실적가지고 있고 이번달에 1저자로 상위 10퍼 저널에 투고해서 리뷰 기다리고있습니다. 대학원은 네임 벨류보다는 실적이 지배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카이스트 서울대다니며 졸업논문 하나쓰고 졸업하는 친구들보단 제가 더 경쟁력있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4개
2025.07.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 2저자는 님 실적 아닙니다. 2. 상위 10퍼 저널 투고가 무슨 의미죠..? 아직 리뷰 받은것도 아닌데요. 그리고 박사도 아니고 석사는 연구 제대로 한걸로 안쳐줍니다.. 학벌이 제일 중요합니다. 죄송하지만 아무도 님이 spk 보통 학생들보다 경쟁력 있다고 생각 안할 것 같아요.
2025.07.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 2저자는 님 실적 아닙니다. 2. 상위 10퍼 저널 투고가 무슨 의미죠..? 아직 리뷰 받은것도 아닌데요. 그리고 박사도 아니고 석사는 연구 제대로 한걸로 안쳐줍니다.. 학벌이 제일 중요합니다. 죄송하지만 아무도 님이 spk 보통 학생들보다 경쟁력 있다고 생각 안할 것 같아요.
2025.07.27
예전에는 석사 취업이 잘됐을때는 학벌이 중요했었습니다. 졸업논문 덜렁 하나 쓰더라도 SKP가 더 나았죠. 근데 분야 by 분야 감안해도, 지금 석박 공채 자체가 씨가 말랐어요. 결국 상시 채용으로 석사 졸업생도 경력직이랑 붙어야 할 판국이라, 학벌 학점의 의미가 전보다 훨씬 희석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경력직들도 대체로 석사급들 많습니다. 필드의 노련한 경력직 보다 프레쉬 석사급이 잘한다 어필할게 그나마 연구 실적인듯.
학업에 전념하지 못해서 어중간한 대학 가놓고 불평하는거 아닙니까? 대학 뿐만 아니라 나중에 기업이든 연구소든 어디든 급에 따라서 대우가 다르고 복지가 다릅니다. 그때마다 어중간한데 가지 마라고 불평할겁니까? 정말 글보는데 안타깝네요. 다들 사연이 있고 당장 좋은 환경이 아니고 힘든랩실이 있겠죠. 실제로도 지방에 정말 이름도 못들어보난 대학에서 개고생하는 대학학생도 많이 봤습니다. 그게 못견디겠고 비전없다 생각되면 포기하고 취업나가면 되고 뜻이 있어 대학원 갔으면 목표 보고 달리면 그만입니다. 불평할 시간에 한발 더 빨리 움직이시죠
2025.07.28
서울대서 박사하고 있는데 여기도 장학금 받으려면 부모 소득증명 떼야하고 등록금 고지서에서 감면림. 그리고 이 학교에 최소 인건비 지급액이 있었나?
아 대학원에서 성적 장학금 주는 곳도 있음? 카이는 논자시 면제라고 듣긴했는데
2025.07.29
불편한 진실은 어중간한 서울 사립대학보다 지거국이 환경이 낫다는 거다
2025.07.29
그 참 좋은 글입니다만 선생님... 하나만 정정하자면, "진짜 좋은 대학 다니고 장학금 지원 빵빵하게 받고 다니셔서 이런 구멍들 앞에서 좌절해보신 적이 별로 없는" 사람들은 어중간한 인서울 사립대 이름도 제대로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학부입시 때도 고려사항에 없었거든요...
대댓글 1개
2025.07.29
추천할 리도 없죠
2025.07.3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생각이 딱 거기까지
2025.08.03
현재 인서울 중하위권 대학원 진학 중입니다. 정확히 글쓰신 분 말씀 맞는 거 같아요... 장학금도 풀타임 조교인데도 불구하고 등록금의 50% 감면, 월급 개념도 없고 연구실에 프린터기도 없어 사비로 구매했습니다. 사정이 있어 자대 대학원 진학하였는데,,, 이런 사정을 알았더라면 조금 더 준비해서 상위권 대학원 진학했을 것 같습니다
2025.07.25
대댓글 2개
2025.07.26
2025.08.03
2025.07.25
대댓글 1개
2025.07.25
2025.07.25
대댓글 2개
2025.07.26
2025.08.03
2025.07.25
대댓글 3개
2025.07.26
2025.07.26
2025.07.27
2025.07.25
2025.07.25
대댓글 1개
2025.08.03
2025.07.25
2025.07.26
2025.07.26
대댓글 3개
2025.07.26
2025.07.26
2025.07.26
2025.07.26
2025.07.26
2025.07.26
대댓글 4개
2025.07.26
2025.07.26
2025.07.27
2025.07.27
2025.07.27
2025.07.28
2025.07.29
2025.07.29
대댓글 1개
2025.07.29
2025.07.30
2025.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