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을 본다는게 능력이 더 뛰어나도 학벌이 안좋으면 다른 사람을 뽑는다는건가요? 능력이란게 좀 애매하긴 하지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07.19
BEST토익점수랑 똑같은거죠. 영어 실력을 그 많은 지원자에게 모두 test 할 수 없으니 서류에서 거를 수 있는 기준입니다. 그렇다고 시험 점수처럼 딱 짜르진 않지만(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니..), 고려할 수 밖에 없죠. 누군지도 모르는 두 사람을 영어 관련 일을 뽑는데 토익 500점보다 토익 900점자가 더 잘하겠거니 생각하고 뽑는거죠, 실제로는 500점인 사람이 영어를 더 잘할 수 도 있지만요. 회사에서도 관련 분야(대학으로는 전공과 겠죠?)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사원을 뽑는데 서울대랑 지방대랑 있으면 서울대를 뽑겠죠. 학벌만으로 사람을 판단할 순 없어도 학벌만 평가에서 부당하다고 배제되는건 옳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2025.07.18
네 "능력이 더 뛰어나도" 를 볼 기회가 없거든요 // 말은 이렇게 하지만, 사실 대기업이 그렇게 학벌만으로 뽑진 않더라구요
2025.07.18
평범한 학졸신입 지원자라면 볼 능력이 없으니까요.
2025.07.19
토익점수랑 똑같은거죠. 영어 실력을 그 많은 지원자에게 모두 test 할 수 없으니 서류에서 거를 수 있는 기준입니다. 그렇다고 시험 점수처럼 딱 짜르진 않지만(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니..), 고려할 수 밖에 없죠. 누군지도 모르는 두 사람을 영어 관련 일을 뽑는데 토익 500점보다 토익 900점자가 더 잘하겠거니 생각하고 뽑는거죠, 실제로는 500점인 사람이 영어를 더 잘할 수 도 있지만요. 회사에서도 관련 분야(대학으로는 전공과 겠죠?)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사원을 뽑는데 서울대랑 지방대랑 있으면 서울대를 뽑겠죠. 학벌만으로 사람을 판단할 순 없어도 학벌만 평가에서 부당하다고 배제되는건 옳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2025.07.19
개인이 능력이 얼마나 좋은지 어느세월에 평가합니까. 일단 학벌컷으로 확률을 높이죠. 확률과통계 활용입니다
2025.07.19
불편한 진실
학부로 연봉 테이블도 달라요 같은 입사동기라도
석사가 특히 학부 연봉테이블 따라감
박사는 케바케
대댓글 3개
2025.07.20
여기에 공감못하는 두명이 무표정 스마일 임티를 눌러놨네요 대기업 입장에선 당연합니다. 국내 기업처럼 연봉 협상권을 다 쥐고 있는 HR입장에선 알아보자니 정량화되기 어려운 연구 능력, 분야는 이해할 실력조차 안되고 맞는 사람은 뽑아야하니 JD를 만들어둬도 무의미합니다. 가장 의미있는건 학벌이죠. 심지어 여기에선 만연히 퍼져있는 석, 박사 학벌은 의미없다. 도 기업에선 그렇지 않습니다. 같은 박사끼리 잔뜩 모인 연구소, 학교와 다르게 학사, 석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그 마저도 알고보면 풀타임 학벌이 아닌 야간 대학교, 파트타임 석사도 많습니다. 여기에 spk 풀타임 석, 박사는 당연히 다릅니다. 학벌로써 인정이 될 뿐만 아니라 연봉 테이블도 달라집니다. 심지어 산학장학생으로 들어가면 첫해엔 12개월간 수혜금에 대한 세금을 직접 물어야하는데 spk출신들은 면제입니다. 해외대학 출신이라면 지금은 모르겠으나 20년차 책임(부장급) 보다 더 많이 쳐주더군요. 대학원을 선택하는 모든 분들은 좋은 학교가셔서 좋은 실적 많이 내시는게 중요합니다. 본인이 어느 풀로 가실지 모르니까요. 만약 어려우시겠다면 사기업 갈 분은 무조건 좋은 학교만 노리고 가시고 드는 시간과 관계없이 교수, 연구소를 가시겠다면 실적 잘나오는 곳에 교수님께 포닥 추천서를 부탁드리고 가셔서 실적 위주로 활동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5.07.21
지방대나 전문대에서 한양대 편입하면 어케 챠주나요
2025.07.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똑같은 한양대죠
2025.07.19
학/석: 학부안좋으면 커트 (공채 역사상 변하기 힘든 진리) 박사: 학부 안보진 않지만 본인 분약가 핏하거나 연구실적 좋으면 알아서 모셔감. (지잡대 출신 산학장학생 존재)
즉 박사부턴 본인하기 나름이지만 그게아니라면 나만의 강점을 키워가야함. 애초에 그걸 키우기가 어렵겠지만
2025.07.21
학벌로만 입사하는 시대는 끝난지 오래입니다. 시험 하나로만 대학가는시대가 끝남과 동시에 직무적합성이 중요합니다
2025.07.23
인생을 편하게 살려면 열심히 살아야하는 이유죠 뭐. 학벌을 비교했을 때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보다 일을 더 잘 할 확률은 현저히 떨어지더라구요. 높은 확률로 부서 내 빌런이 돼있음.
학벌이 다가 아니겠지만 절대 안볼 수는 없는 요소입니다.
2025.07.25
능력은 보이지 않음. 나이가 많다면, 이력으로 볼 수는 있겠으나 젊다면 볼 수 있는 것이 별로 많지 않음.
2025.07.19
2025.07.18
2025.07.18
2025.07.19
2025.07.19
2025.07.19
대댓글 3개
2025.07.20
2025.07.21
2025.07.25
2025.07.19
2025.07.21
2025.07.23
2025.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