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 읽는 실력 미숙 2. 코딩실력 미숙 3. 영어 능력부족으로 논문 읽는데 어려움 4. 의지 부족..?(주변에 좀 보입니다) 5. 시키는것만함,능동적이지 않음 6. 논문을 많이 읽어 보지 않아서 아이디어가 안나옴 7. 연구에 투자한 시간이 적음(워라밸 지키려는 석사생) 8. 교수님과 사수의 방치(방목형) 9. GPT를 너무 많이 사용하여 본인 실력 향상 기회를 빼앗김 10. 연구하다가 주제를 자주 바꿈 11. 학부때 전공 지식이 부족해서
혹시 선배님들이 생각하시는 이유나 경험 하셨거나 주변을 보면서 알고계신 이유와 간략한 해결방법까지 알려주시면, 곧 석사를 시작할 저와 이 글을 읽는 저같은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7.07
BEST잘 생각해보면 석사가 논문 팍팍 써내는게 연구면 그게 연구 일까요?
2025.07.07
짧아서요
대댓글 4개
2025.07.07
박사까지 길게만 한다고 해서 실적이 다 잘 나오는건 아닌것 같더라고요...
2025.07.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진짜 짧아서임
학부연구생 말고 석사 시작하자마자 투입 되면 적응하는데 한학기 쓰게됨 여기다 코스웍? 사람 돌아버림
2025.07.07
코스웍 맞는 말씀입니다 역시 방학부터 빨리 들어가서 적응해야겠네요, 그리고 학부 학점은 4초반인데 대학원 학점은 출석 다하고 과제만 다하려고 학점은 크게 신경쓰지 않을 계획입니다 대학원생은 학점보다 실적이 중요하다 해서요
2025.07.13
어디학교길래 학점 신경을 안쓰나요? 저희는 풍토가 코스웍 열심히 하는 풍토라서요
2025.07.07
6,7이긴한데 운좋으면 나오기도 합니다. 전 석사 4기에 접어드는데 1저자 둘 2저자 하나 나왔어요. 박사 사수가 졸업하면서 두고 가신 실험 코드나 아이디어들이 그대로 남게됐고 이걸 잘만 활용하면 제꺼로 만들수있었거든요. 운이 좋았다고 생각해요
대댓글 1개
2025.07.07
제가 생각하는 원인중에 답이 거의다 있었군요 경험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7.07
잘 생각해보면 석사가 논문 팍팍 써내는게 연구면 그게 연구 일까요?
2025.07.07
ㅋㅋㅋㅋ제일 중요한게 빠졌네요 "교수 사업계획서 및 결과보고서, 발표 PPT만들기"
대댓글 1개
2025.07.07
그것도 안하면 랩에서 월급은 왜 받아요...? 진짜 모름
2025.07.07
우선, 배우는 시간까지 고려하면, 시간이 짧음. 예를 들어, 석사는 기본적으로 익숙해지는데, 반년~1년 빠지면, 1년정도 실험하여 결과내는 것이고, 박사과정은 이미 익숙하기에 4년이면 단순히 2년에 2배 차이가 아니라, 4년 실험할 수 있기에, 4배 차이라 봐야할 것임.
2025.07.07
전 HCI 쪽이긴 한데 학연생, 석사 포함해서 1저자 논문 2년 넘게 걸렸어요
대댓글 1개
2025.07.07
HCI 어느 계열이신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2025.07.08
짧아서지 뭔;;
2025.07.08
개소리를 참으로 구구절절히도 써놨네. AI면 그래도 석사가 논문 쓰기 쉬우니까 열심히 해보렴.
2025.07.07
2025.07.07
대댓글 4개
2025.07.07
2025.07.07
2025.07.07
2025.07.13
2025.07.07
대댓글 1개
2025.07.07
2025.07.07
2025.07.07
대댓글 1개
2025.07.07
2025.07.07
2025.07.07
대댓글 1개
2025.07.07
2025.07.08
2025.07.08
2025.07.08
2025.07.08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