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ARR 2월도 말아먹고 5번째 리젝을 직감하며 글을 씁니다... 공대 연구실은 아닌데 AI/NLP 탑티어 컨퍼런스 써보겠다고 3년 내내 아등바등하는데 되는게 하나도 없네요 탑티어 컨퍼런스 실적 턱턱 내는 공대 연구실은 무슨 비법이 있으신건가요 ㅠㅋㅋㅋ 나이는 차오르고 박사 연차도 이제 너무 높아져서 컨퍼런스는 물 건너간 것 같습니다.. 물박사로 졸업하게 생겼네요 ㅠㅠㅠㅠㅠㅠ 넘 속상해서 푸념 좀 해봤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후회하는 요하네스 케플러*
2025.03.30
BESTAI탑티어는 실력 아니에요 ㅋㅋ
대댓글 3개
2025.03.30
그럼 뭔가요?
2025.03.31
운이 한 80% ? 요새 탑컨퍼들 보면 양식도 제대로 안갖추거나 실험부실한 경우도 많음
2025.03.31
아하.. 하긴 저희 교수님께서도 리뷰어 잘 만나는 것도 요인 중에 하나일거다 하셨는데 그 맥락인가 보네요ㅠ
후회하는 요하네스 케플러*
2025.03.30
AI탑티어는 실력 아니에요 ㅋㅋ
대댓글 3개
2025.03.30
그럼 뭔가요?
2025.03.31
운이 한 80% ? 요새 탑컨퍼들 보면 양식도 제대로 안갖추거나 실험부실한 경우도 많음
2025.03.31
아하.. 하긴 저희 교수님께서도 리뷰어 잘 만나는 것도 요인 중에 하나일거다 하셨는데 그 맥락인가 보네요ㅠ
2025.03.31
오럴 이런게 아니라 억셉을 생각하는거죠? 그럼 퀄리티 문제가 아니라 요령껏 하는거에요. 30%가 억셉 받잖아요. 그것도 탑티어 컨퍼런스라는 몇개 다 합치면 억셉이 매년 만개는 될텐데 그것들 읽어보고 패턴을 파악해보세요. 미국 박사과정생은 보통 1저자 5개 이상씩 AI 탑컨퍼런스 출판해서 졸업하던데 그게 항상 똑똑해서 된다기보다 프레임워크가 딱딱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3.31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전략을 재정비해봐야겠네요 ㅠ_ㅠ
2025.03.31
오랄이 아닌 그냥 포스터 억셉 자체는 대세인 연구주제를 다루면 상대적으로 더 쉽게 되는 편이긴 합니다. 혹시나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연구하시는건 아닌지 반문해보세요. 나한테 재밌는 연구주제가 아니라 연구자 커뮤니티에서 핫한 주제를 잘 포착하는게 정말정말 중요합니다. 커뮤니티에서 관심갖는 주제가 그 분야에서 현재 가장 중요한 챌린지 또는 키워드와 연관되거든요. 틈날때마다 링크드인, 트위터, 쓰레드 같은곳에서 회자되는 연구주제들을 팔로업/정리/분석 하시면서 연구주제를 설계하는걸 추천드려요. 물론 마이너한 연구주제를 다뤄도 좋은 연구라면 충분히 억셉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학생분들의 경우 졸업 후 진로선택의 폭이 좁아질 순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3.31
상상의 나래까지는 아닌 것 같은데 배경이 인문계 쪽이라 excitement가 낮게 나온 것일 수도 있겠네요!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
2025.03.31
저희도 맨날 실험 망하고 논문 리젝 당할 때마다 옆 실험실은 무슨 마법이라도 부리나 싶더라고요 그래도 오랫동안 고생하신 만큼 꼭 좋은 결과 있으실 거예요 힘내세요
대댓글 1개
2025.03.31
따뜻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ㅠ 될때까지 열심히 힘내요 우리 분명 잘 될거에요 ㅠ_ㅠ
2025.03.31
ACL 쪽은 챗지피티 나온뒤로 점점 퀄리티 하락중입니다. 어느 분야신지는 모르겠지만 인문학쪽이라면 CHI 나 관련 도메인 저널에 내시는게 노력을 인정받으시기 나으실겁니다. 3년동안 했는데 결과가 없으시다는건 해당 학회에서 현재 하시는 분야에 흥미가 없다는것으로 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3.31
HCI 말씀하시는걸까요? 벤치마크 분야로 도전 중인데 영 신통치 않네요 ㅠ_ㅠ 올해 2번 남은 것 까지만 용 써보고 안되면 앞으로 저널에 올인할 생각입니다ㅠ
2025.03.31
1. 지도교수 명성- 대가면 걍 억셉주거 같음. 2. 요즘 대세 분야, 키워드쪽으로
대댓글 1개
2025.03.31
1은 생각해보니 국내도 그러니 그렇겠구나 싶네요 ㅎㅎㅎ 2는 정말 따라가기가 힘드네요 AI 그만좀 발전했으면 좋겠습니다 ㅋㅋㅋ
2025.04.02
솔직히 공대랩은 인프라랑 GPU빨 큼 그리고 교수님이 네트워크 탄탄하면 co-work도 많아서 논문 퀄 올라갈 수밖에 없음 결론적으로 혼자 힘주고 달리면 답없음 가능하면 콜라보나 좋은 공동연구 찾아보는게 ㄹㅇ 현실적임 힘내세요 나도 작년 내내 reject만 먹다가 겨우 올해 하나 accept됨
대댓글 1개
2025.04.06
우와 억셉 축하드립니다! 타 연구실과도 콜라보를 적극적으로 해야겠네요 ㅠㅠ
2025.04.02
저도 생바과에서 괜히 딥러닝 한다고 뛰어들었다가 공대 애들 사이에서 멘탈만 털리고 있어요ㅠ 공감 백배입니다 우리 존버하다보면 언젠가 되겠죠 힘내요
대댓글 1개
2025.04.06
생바라니 전도유망하십니다! 해외가서 꼭 뵈어요^^
2025.04.06
AI는 탑컨퍼런스가 약간? 운도있고 약간 난이도도 낮은편.. 때로는 어렵기도
암튼 그래서 보통 아주 잘하는 사람들은 편수가 더 많어요. 타분야에서도 간간히 AI쪽 탑티어에 내기도 하구요.
대댓글 1개
2025.04.06
난이도가 낮다고 인식되는군요 ㅜㅜ 더 정진해야겠습니다!
2025.04.13
AI 탑컨퍼가 약간의 운빨이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내용이 탄탄하고 설득력있는 논문은 어떤 리뷰어를 만나도 좋은 평가를 받습니다. 그리고 댓글을 보니 벤치마크를 다루시는 것 같은데 ai 벤치마크 논문은 진입 난이도가 낮기 때문에 리뷰어들이 더 깐깐하게 봅니다. 벤치마크 데이터셋 만들고 ai모델 돌리고 이런 결과가 나왔다 최신 모델들도 잘 못한다. 이런저런 분석을 했다. 여기서 끝나면 매력 없는 논문이고, 그 다음에 그럼 이걸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에 대한 방법론도 있어야 합니다. (이 방법론에 최신 유행하는 여러 테크닉들이 섞이면 좋음)
대댓글 2개
2025.04.13
저는 ARR 10월에 4 4 3.5 떴던 연구실 선배가 리뷰어 아예 바꿔서 이번 ARR 2월 냈는데 4 4 4 뜬거 보고, 좋은 논문은 결국 어떤 리뷰어를 만나도 좋은 평가를 받는다는걸 알게 됐습니다. 내 논문이 리뷰가 안 좋게 나왔다고 운이 안좋네 운빨이 크네 이런 마음가짐보다는 누굴 만나도 설득이 가능한 탄탄한 논문을 쓰는걸 목표로 하는게 좋을듯합니다.
2025.04.23
지나치지 않고 자세히 조언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향후에 어떤 식으로 개선해서 다시 도전해볼지 생각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5.03.30
대댓글 3개
2025.03.30
2025.03.31
2025.03.31
2025.03.30
대댓글 3개
2025.03.30
2025.03.31
2025.03.31
2025.03.31
대댓글 1개
2025.03.31
2025.03.31
대댓글 1개
2025.03.31
2025.03.31
대댓글 1개
2025.03.31
2025.03.31
대댓글 1개
2025.03.31
2025.03.31
대댓글 1개
2025.03.31
2025.04.02
대댓글 1개
2025.04.06
2025.04.02
대댓글 1개
2025.04.06
2025.04.06
대댓글 1개
2025.04.06
2025.04.13
대댓글 2개
2025.04.13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