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2025.08.10

25

7043

안녕하세요,

영재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자퇴 후 전액 장학금으로 미국 유학을 다녀온 한민성입니다.
제 LinkedIn 프로필을 공유합니다. (www.linkedin.com/in/minsung-han-31a6237b)

현재 제가 창업한 어드바이저로렌에서는 “연구 역량”이 뛰어난 ML 엔지니어/연구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우리은행, LIG넥스원, 한국평가데이터, 미국 드론 업체(보안상 언급 불가)등 주요 기업에 실제 도입되는 엔터프라이즈용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있으며, 다수의 정부 과제와 상용 프로젝트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에서 학교 석사 연구생들에 비해 1.5~3배 수준의 연봉을 받으면서, 해외 저널에 논문도 함께 쓰실 ML연구원을 구하고 있어요.
저희는 학점은 보지 않고 프로젝트 수행능력, 연구능력만 봐요. 회사에 많은 도움이 된다면 스톡옵션도 드리겠습니다.

편하게 커피챗도 좋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김박사넷 또는 LinkedIn메시지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민성 드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5.08.11

BEST 헛바람들은 소리 하지말고 정식으로 연구실 찾고 산학 과제로 시작하던 정규로 채용 공고를 올려라 절차없는 ㅈ소마냥 굴지말고

대댓글 1개

2025.08.11

정규 채용공고를 통해서는 간절한 분을 찾기 어려워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규모는 작을 수 있지만, 열정만큼은 국내 최고라 자부합니다. 원색적인 비난보다는 더 뛰어난 결과를 향한 노력으로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5.08.10

흠…

2025.08.10

개인 석사과정생이 참여할 시간이 되나..? 그냥 같이 협업할 랩실을 찾는게 낫겠는데

대댓글 1개

2025.08.11

랩실의 석사과정생에게 주어진 연구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연구에 참여할 수 있게 하겠습니다.

2025.08.11

헛바람들은 소리 하지말고 정식으로 연구실 찾고 산학 과제로 시작하던 정규로 채용 공고를 올려라 절차없는 ㅈ소마냥 굴지말고

대댓글 1개

2025.08.11

정규 채용공고를 통해서는 간절한 분을 찾기 어려워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규모는 작을 수 있지만, 열정만큼은 국내 최고라 자부합니다. 원색적인 비난보다는 더 뛰어난 결과를 향한 노력으로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5.08.11

뒤늦게 흥미 분야를 찾아 박사까지 진학하길 희망하는 학부생입니다. 공부에 흥미가 없었고, 연구는 상상도 하지 못했습니다. 공부를 소흘히 했고, 학점을 관리하지 않았습니다. 이로인해 기회가 제한되는 부분에 제 선택의 결과이니 납득하고 있으나 아쉬울 때가 많습니다. 간혹 아쉬움에 매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기회도 있다는 사실에 정신차리고 오늘도 열심히 해보자고 다짐했습니다. 물론 정식으로 연구실 찾고, 절차를 준수하여 업무를 진행하는게 매우 중요한 부분임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에서 홍보했고 일반적인 잘차와 다르다지만 회사나 연구실에서 승인했고, 나름의 검증절차를 거쳐 자신들의 니즈에 맞는 지원자를 선발할텐데 비난받을 일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더 나은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커뮤니티에 홍보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했고 거기에 법이나 도덕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되는게 아니라면 비난이 아닌 조언까지가 마지노선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다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8.11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가볍게 커피쳇 요청드리고 싶습니다. 링크드인 메시지 부탁드리겠습니다.

2025.08.11

위에 분이 다소 강하게 말씀하시긴 하였으나...지원자 입장에선 “절차와 기준이 명확한가?”가 중요 포인트라, 채용 프로세스, 역할, 보상 구조, 근무 방식, 팀 정보(규모 및 백그라운드) 같은 항목이 보완되면 “절차가 있는 조직”이라는 인상이 강하게 남을 것 같습니다. 의도하신 수준 높은 인재들에게도 이 방식이 더 공정하고 매력적으로 읽힐 것 같아요. 자기 소개 또한 살짝은 모호하게 읽히고 채용 공고에 적이게는 적절한 양식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응원 드립니다!

대댓글 1개

2025.08.11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다만, 위 내용은 관심을 가지실 분들을 위한 개괄적인 안내이며, 세부 조건은 메시지나 커피챗을 통해 직접 말씀드리겠습니다.

2025.08.11

1.5~3배 수준의 연봉이 정확히 알마인가요?

대댓글 1개

2025.08.11

링크드인 메시지 주시면 정확한 금액을 알려드리겠습니다.

2025.08.11

저렴하게 열심히 일하는 쥬니어 뽑고 싶어요!

대댓글 2개

2025.08.11

대부분의 대학원 석·박사 과정 인력은 사실상 저렴하게 일하는 주니어 인력이 아닐까요? 여러분은 랩실의 교수님을 진정으로 존경하고 계신지 묻고 싶습니다. 이미 최고의 연구는 기업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굳이 학교에만 머물러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2025.08.12

ㅇㅇ 그래서 대학원이 불합리하져 ㅎㅎ 그래도 학위가 나오니까.. ㅎㅎ 님의 기업에서 일하면 뭐가 나오나요?

2025.08.11

여기 도태되고 별 능력도 없고 학벌 안좋은 사람 천지라 이런거 올리면 부들거리며 욕만 함 ㅋㅋㅋㅋ

2025.08.11

원생분들 학위도 나오는데 돈도 2-3배 더준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좀 더 잘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대학원생은 직장인이 아니라 주 근무시간 제한도 없고 석사취업목표면 그나마 모를까 산학과제만 주구장창하면 개인연구할시간은...

2025.08.11

게이게이야 ... 괜히 affiliation꼬이게해서 애 하나 조질 생각하지말고 정상적으로 협업을 구해라 대표라는 양반이 벌써 편법 쓸 생각하냐

대댓글 2개

2025.08.11

대부분의 논문이 이제는 학교가 아닌 기업에서 나오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를 편법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2025.08.17

실적이 기업에서 나온다고 학위까지 기업에서 주진 않지. 그리고 대부분의 논문이 빅테크에서 나오는거아님? 본인이랑 해야할 무슨 건덕지가 있는건지 싶은데 ?

2025.08.11

절차가 있는 법이에요. 2배? 그게 얼마인데요.
정확히 조건 밝히고 인쿠르트가 되었던 아님 여기 취업란이 되었든 제대로된 절차 밟으세요.
아님 누구하나 현혹시키려는 사람으로 오해받습니다.

대댓글 2개

2025.08.11

절차대로 학사 4년, 석사 2년, 박사 5년을 모두 거치는 길을 정말 선택하시겠습니까? AI 시대에 학계의 오래된 관습을 그대로 따르는 것은 뒤처진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이미 대다수의 뛰어난 논문은 기업에서 나오고 있지 않나요?

2025.08.12

그 기업들의 메인 엔지니어 절대다수는 phD 이고요

2025.08.11

많은 관심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부 민감한 사항은 공개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려웠던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링크드인으로 메시지를 주시면 정확한 금액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확실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설포카의 일반적인 연구실보다 훨씬 더 큰 성장 기회와 금전적 지원을 제공해 드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좋은 논문과 경험은 반드시 학교 연구실에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해외 박사를 준비하시는 분들도 중간 단계에서 저희와 함께하며 충분히 의미 있는 성과와 경험, 그리고 안정적인 소득을 얻고 있다는 부분을 강조하고 싶었습니다.

2025.08.12

어우 전형적인 사기꾼 모먼트. 말만 번지르한 사람. 살면서 생각보다 자주 보는데, 특히 대부분 젋을 때부터 사업하는 사람 중에.
100에 90은 실속 없고 초반에만, 말만 번지르함. 내공도 없고, 기초가 없는 상태에서 헛바람과 허세만 들은 케이스.

2025.08.12

애매모호한 말로 그럴듯하게.
1.5~3배 라고 많은것 처럼 이야기 하시는데 기준이 학교 "석사연구생"들에 비해 라고 하심이...
풀인건비 기준으로 330-660인데 기준치가 맥스일까도 싶고.
학위를 따려는 학생과 직장인인 연구원을 돈으로 비교함에도 방향성이 다른거 아닐까 싶네요.
학위를 포기한 상태에서 다른 테크 기업, 연구소에 대비한 비전을 제시함이 맞지 않을까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