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회가 놀랄 새로운 발견 vs 실험적 실수 어떤 게 더 가능성 있나요

2025.06.27

11

3253

지금 실험했는데, 제가 한 것이 논문으로 없습니다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결과인데 어떤 것이 더 가능성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5.06.27

BEST 실험 해본 자기가 가장 잘 알겠지 ㅋㅋㅋ
그게 판단이 안돼서 여기다 물어보면 아무도 몰라요

2025.06.27

실험 해본 자기가 가장 잘 알겠지 ㅋㅋㅋ
그게 판단이 안돼서 여기다 물어보면 아무도 몰라요

2025.06.27

한번 더 해봐야죠 뭐

대댓글 1개

2025.06.27

재실험은 불가한 상태에요

2025.06.27

일반적으로 후자가 높고 pi가 말해주지 않나요?
이건 실험이 이상하다는 등.

대댓글 2개

2025.06.27

Pi의 지도 방식이 내세울 것을 가져와라 평가는 그다음이다 여서 의심찮네요 ㅋㅋㅋ

2025.06.27

그러니깐 스스로 생각해서 둘 중 놀라운 발견이여야 가져가야 합니다
안 그러면 뭐 이런 걸 가져와? 내가 이런 것도 봐줘야 돼? 입니다
그래서 혼자 찾아본 거에요

2025.06.27

그런 보고할때 통계적인 툴을 사용하는게 다 그런걸 통제하려고 하는겁니다.

2025.06.28

높은확률로 오만하던지 지식이부족하던지
1+1=3입니다 일 확률이 매우큼

2025.06.28

대조군이 없나요?
실험은 물론이거니와 심지어 transcriptome 분석 등에서도 실험조건에서 변하는 것이 확실히 알려진 유전자 하나 (예를들면 감염에서의 interferon 이라던지) 따라가면서 결과해석해야할텐데요.

대댓글 1개

2025.06.28

아니길 바라지만 만약 정말 대조군 설정 제대로 안되어있었다면, 진짜 발견이더라도 어차피 아무도 안믿습니다. 실험실수가 아니란걸 증명할 방법이 없으니까요. 글쓴분 pi성향은 모르겠지만 그 어떤pi의 지도방식이건 해당 데이터는 안받아들입니다.

2025.07.08

처할법한 상황인데 과학의 근본은 재현임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재현불가능한 상황에 처해있을 수는 있지만 그건 과학이 아닙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